3. 2가설의 설정
기존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평생교육프로그램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응력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Ⅰ :평생교육만족과 사회적응력
평생교육과 사회적응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김경미(2005)는 평생교 육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을 통해 사회적 적응에 관련된 개념으로는 욕구만족(생활만족),생활의 질,자아실현,환경에 대한 능동적 변 화,사회화 등을 들 수 있다고 하였다.
김봉소(2003)는 사회적응력을 3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윤서영(1999)은 사회적응력을 가족적응,대인적응,자아적응,정서적응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 분하였다.또한 임선화(2004)는 가족관계,대인관계,현실 적응성,대응성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고,전미향(2006)은 대인관계,적응성,책임성,충동성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관한 현황과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 검토하였다.
김재순(2004)은 평생교육을 통해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와 사 회적응력에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 한 정책 방향 제시는 평생교육 강화와 평생교육기관 확충 그리고 평생교육 프 로그램 개발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경희(2004)는 평생교육과 관련하여 개인 배경과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교육 만족도,교육 욕구,사회 참여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였 다.조사 연구 결과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지 않으면 교육활동에서도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에 만족하면 교 육 욕구와 사회 참여 욕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그리고 사회활동 참여가 많 은 학습자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사회활동에 대한 참여 욕구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따라서 이와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Ⅰ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은 사회적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Ⅰ-1: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은 사회적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Ⅰ-2:평생교육강사에 대한 만족은 사회적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Ⅰ-3:평생교육환경에 대한 만족은 사회적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Ⅱ : 평생교육만족과 사회적응력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자기효능감은 타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여 실천할 수 있는 용기 로 이는 교육훈련의 전이에 영향을 주며(Gist,1992)또한 교육이 끝나는 시점 에서의 자기효능감은 교육훈련의 전이에는 물론 직무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Mathieu,etal,1992).임효창과 박경규(1999)의 연구에서도 자기효 능감과 교육훈련의 전이간에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다.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확장하여 연구자는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수로 평생교
육 프로그램 학습동기․교육강사의 능력을 채택하고 그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 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왜냐하면 교육참가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학습동기와 교육강사의 능력이 교육훈련의 전이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의 결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 동기,교육강사의 능력과 교육훈련의 전이수준 간에 교육참가자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Ⅱ :자기효능감은 평생교육에 대한 만족과 사회적응력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 Ⅱ-1:자기효능감은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과 사회적응력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 Ⅱ-2:자기효능감은 평생교육 강사에 대한 만족과 사회적응력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 Ⅱ-3: 자기효능감은 평생교육환경에 대한 만족과 사회적응력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