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혁적 리더십 외 진성리더십이 자기 권능감을 매개로 적응적 수행성 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최우재·조윤형, 2013)와 진성리더십과 Big5의 성격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강호 촐·이도화, 2016), LMX(배범수 외, 2016), 참여적 리더십과 변화지향리더 십(김태홍·한태영, 2009), 카리스마적 리더십(김학수·배범수, 2016), 성취 지향 리더십(박혜진·유태용, 2009)이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구조적 임파워먼트, 팀 효능감, 조직변화몰입, 실책관리풍토를 매개로 적 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변혁적 리더십 과 적응수행의 관계는 두 변수가 가지는 변화지향성, 이론적 근거와 실 증 연구들을 기반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 고, 그 영향력은 매우 긍정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 다.

가설 1 :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Flint-Taylor, 2009).

심리적 웰빙은 대표적인 긍정정서 중 하나이다. 긍정정서는 정서이론 중 하나로, 긍정정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직무요인, 리더십, 보상, 작 업집단 특성 등이 있다. 리더십은 과업수행 중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매 우 직접적인 상황변수이다. 그리고 리더십은 종업원의 직무정서에 영향 을 미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때문에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들이 리더와 정서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Gooty, Connelly, Griffith, & Gupta, 2010).

선행 연구에서도 리더십이 근로자의 정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은 상당부분 설명되고 있다(Gooty et al., 2010; 이창준·윤정구, 2007). 특 히 변혁적 리더십이 근로자의 정서적 반응을 크게 이끌어낸다고 보고 있 다.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를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는 추종자의 긍정정서 에 정의 영향을,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Ashkanasy & Tse, 2000; Seo, Taylor, Hill, Zhang, Tesluk, &

Lorinkova, 2012; 권석균·최보인, 2010). 결국,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 들인 비전제시(McColl-Kennedy & Anderson, 2002; Seo et al., 2012), 개별적 배려(Nifadkor, Tsui, & Ashforth, 2012), 지적 자극(Lowe, Kroeck, & Sivasubramaniam, 1996)은 모두 구성원이 긍정적인 정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변혁적 리더십의 결과변수를 유형별로 정리한 Hiller, DeChurch, Murase, & Doty(2001)에 의하면 동일시, 냉소주의, 조직몰입 등 태도 변 수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고 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도 집단성과 인식, 팀 혁신성, 조직냉소주의, 정서적 몰입, 직무만족, 조직몰입, 창의성, 리더 신뢰, 동기부여와 같은 태도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기 해란·곽원준·이상호, 2018; 박종근·김용근, 2018; 강리경·김선혁, 2017; 원 문희·문재승, 2017; 오세희·이지혜, 2017; 양동민·김은희, 2016; 손무권·장 영철, 2012; 채주석·이길환·김찬중, 2011; 김동주·양봉희, 2011; 채순화·배 성현·김정원, 2007; 권석균·이춘우, 2004; 신구범·박봉규·송경수, 2002; 이 상호·이원우, 1995). 따라서 정서적 태도변수인 심리적 웰빙과 변혁적 리

더십과의 관계는 분명 의미있는 결과를 보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을 많이 보이는 상사를 두고 있는 구성원들은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을 가지게 되고 이를 통해 성장을 경험함으로써 심리적 웰빙 이 증가하는데 리더에 대한 신뢰를 매개변수로 확인한 연구와(Kelloway, Turner, Barling, & Loughlin, 2013), 구성원의 자긍심이 주는 조절효과 를(Nielsen & Munir, 2009) 직무명확성과 직무참여(Arnold et al., 2007;

Nielsen et al., 2008)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연구, 그리고 Arnold 등(2007) 은 변혁적 리더십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 일에 대한 의미(meaningful work)를 매개변수로 그 역할을 연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변혁적 리더십 은 구성원들에게 비전과 이상을 제공하고, 높은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 가능하도록 만들며, 지적 자극과 개별적 배려를 통해 구성원의 성 장을 돕는다(Bass, 1998).

한편 진성리더십도 리더 자신뿐만 아니라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에 영 향을 미친다(김가진, 2011; 정예지·김문주, 2012; Ilies, Morgeson, &

Nahrgang, 2005; Torr & Ofori, 2009). 진성리더는 자기인식과 자기규제 를 통해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낸다. 이때 구성원은 진성리더의 행동을 보고 자신의 가치, 목표, 정서, 정체성 동기를 이해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수정해 나간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구성원은 리더에게 진성 팔로워십을 보이고, 신뢰, 몰입, 웰빙과 같은 긍정적인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리더가 보이는 자기인식과 자기규제 행동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역 할모델이 될 수 있다. 또한 진성리더가 보이는 개인적 관심과 배려, 경청 의 자세는 리더가 자신을 전적으로 지원하고 배려하고 있다는 정서적 공 감대를 형성하게 된다(Peterson, Walumbwa, Avolio, & Hannah, 2012).

진성리더는 조직의 목표와 구성원의 목표를 연결시키되, 구성원이 스스 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개발하도록 유도하며(Luthans & Avolio, 2003),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일깨워 목표 달성을 돕는다는 점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심리적 웰빙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행복과 즐거움을 넘어서는 개념으로

써 사회적 존재로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를 말한다(Menard & Brunet, 2010; Ryan & Deci, 2001). 조직 구성원이 자신이 몸담고 생활하는 삶의 터전에서 매일 만나게 되는 리더와의 관계가 좋은지 아닌지에 따라 그 구성원의 삶의 행복, 심리적 웰빙은 좌우될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구성 원의 심리적 웰빙에 리더십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변화의 시대 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언급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과 밀접한 관련이 있 다.

직무 요구-통제-지지 이론(job demand - control - support theory, Karasek, 1979)에서는 직무가 주는 스트레스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고, 이런 관계를 사회적으로 지지받을 때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은 높아진다 고 하였다. 구성원이 스스로 직무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이겨낼 수 있 는 능력이 있고 이를 상사의 개별적 배려와 지적 자극을 통해 강력하게 지지를 받게 될 때,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은 높아지게 된다. 자원보존이 론(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Hobfoll, 1989)에서는 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요구를 받을 때, 조직에서 지원해 주는 자원, 물리적, 정신적, 시 간적, 인적, 관계, 정보를 적극적으로 지원받을 때 심리적 웰빙이 높아진 다고 하였다. 변혁적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심적으로 물리적으로 지지하 고,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하는 것은 구성원의 심 리적 웰빙 상태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특질발현이론 (trait activation theory, Tett et al., 2013) 관점에서 볼 때, 개인의 특질, 성격, 행동 등은 외부환경에 의해 정립된다고 하였는데, 이 점으로 볼 때, 외부 환경요인으로서의 변혁적 리더의 비전제시행위, 개별적 지원과 배려 행위, 코칭과 멘토로서 자극하는 행위들은 구성원의 긍정적 정서인 심리줙 웰빙을 높이게 하는 또 다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구성원이 리더가 보이는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신뢰를 보이고, 또한 그들로부터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때 보다 심리적 웰빙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변혁적 리더가 발휘하는 비전 제시행동이 나 구성원 개개인에 맞춤형으로 보여주는 개별적 배려 행동, 그리고 항

상 도전하고 새로운 것을 찾아보려는 지적자극 행동이 진정성 있다고 신 뢰하게 될 때, 그리고 그 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할 때, 구성원은 자기를 수용하고, 개인적 성장과 삶의 목적의식을 뚜렷하게 설정하며, 대 인관계를 건설적이고 유용하게 유지할 것이며, 본인을 둘러 싼 모든 환 경을 지배하며 자율적으로 행동하려는 심리적 웰빙 상태는 매우 높아지 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 리적 웰빙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며,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2 :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3. 심리적 웰빙과 적응수행과의 관계,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