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직 내에서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는 구성원 신뢰, 만족을 통해 구성 원의 성공적인 행동변화와 구성원 경력개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Dinh, Lord, Gardner, Meuser, Liden, & Hu, 2014). 리더십이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사회정보처리이론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Salancik & Pfeffer, 1978)과 사회 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Bandura, 1977)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 한 리더의 행동이나 언어를 구성원들은 자신의 행동이나 직무에 임하는 자세에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를 하게 된다는 의미의 관리(management of meaning) 관점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다양한 리더십 이론이 발표된 가운데 Burns(1978)에 의해 제시되고 Bass(1985)에 의해 발전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구성원의 직무, 조직에 대한 주관 적 태도와 행동, 그리고 집단과 조직 수준의 성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Dumdum, Lowe, & Avolio, 2002; Wang, Oh, Courtright, & Colbert, 2011). 변혁적 리더십이 개인수준에서 과업성과, 맥락성과, 창의적 성과, 종합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있다(Wang et al., 2011). 개인수준에서 구성원의 성과는 조직 목표와 연 계되면서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구성원의 행동과 산출물로 정의되고 있 다(Campbell, 1990; Viswesvaran & Ones, 2000). 개인수준의 성과는 과 업성과, 맥락성과, 역할 외 행동(예; 조직시민행동)과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하고 준비하는 적응성과로 세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Dalal, Bhave,

& Fiset, 2014; Rotundo & Sackett, 2002). 이와 같이 적응성과도 개인수 준의 성과로 구분된다면 기본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성과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리더십이라는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변혁적 리 더십과 적응수행 간에는 매우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이 지향하는 비전을 창출하고 이러한 비전을 구 성원과 공유하여 이에 몰입하게 한다(Avolio, 1999). 이와 같은 결과로 변혁적 리더는 구성원의 행동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조직 에서 주어진 공식적인 역할이나 목표 이외에 개인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취하는 역할 외 행동, 조직시민행동, 창의적 행동,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 외 행동에는 집단이나 조직의 성공에 좀 더 초점을 둔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CB)이나 조직 내에서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둔 잡 크래프팅 (job crafting)이 있다. 조직시민행동은 공식적인 규정이나 지침은 없지 만 조직의 효율적, 효과적 기능을 촉진하기 위해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 하는 행위를 말한다(Organ, 1988). 이런 맥락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 시민행동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Mackenzie, Podaskoff, & Fetter, 1991), 실증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구 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이 높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Koh, Steers, &

Terborg, 1995). 구성원들의 이타적 행동은 변혁적 리더에 대한 신뢰와 공정한 대우에 기초하고 있다(Pillai, Schriesheim, & Williams, 1999;

Podsakoff, MacKenzie, Moorman, & Fetter, 1990). 변혁적 리더십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오현 아·정재삼(2017)과 배재윤·신제구(2016)는 변혁적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구성원들이 자신의 업무에 대한 의미를 확대하 고 실제 업무 영역을 확장하는 등의 행위를 보이는 잡 크래프팅은 개별 적 배려와 미래에 대한 변화요구 등을 강조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하였다. 두 연구에서는 모두 조직 동일시가 두 관계를 매 개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배재윤·신제구(2016)는 조직 공정성의 조절효과 가 있음을 밝혔다.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두 변수는 모두 변화지향 변수이다(Yukl, Gordon, & Taber, 2002; Griffin et al., 2007). 즉 두 변수가 모두 변화를 전제로 변화하는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리더십이론이며 성공적 행동이

라는 측면에서 두 변수관계는 매우 유의미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변 혁적 리더십과 카리스마적 리더십은 그 이론적 배경에 변화지향성을 어 느 정도는 포함하고 있다고 하고 그 효과성도 언급하였다(Lowe, Kroeck, & Sivasubramaniam, 1996). 즉, 변혁적 리더십은 미래를 예측하 여 영감적 비전을 수립하고 이를 구성원들에게 전파하는 리더이다. 또한 적응수행은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변화에 대비한 선제적이며 적극적인 행동이다(Ghitulescu, 2013). 또한 동태적이고, 예측이 어려우며, 변화의 속도가 빠른 요즘 같은 시대에는 변화지향행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Griffin, Parker, & Mason, 2010). 변화지향행동은 변화상황에서의 적응 수행과 새로운 환경에 대한 선제적 행동을 포함하는데, 심리적 임파워먼 트(Spreitzer, 1995), 조직시민행동(Organ, 1988), 주도성(Crant, 2000;

Grant & Ashford, 2008), 개인적 주도권(Frese & Fay, 2001), 책임감 (Morrison & Phelps, 1999), 잡 크래프팅(Berg, Wrzesniewski, &

Dutton, 2010; Wrzesniewski & Dutton, 2001), 자기개발 및 경력개발(권 오직·김주일·윤동열·송웅범, 2019; 김현수·윤동열·홍권표, 2019; 문현태·윤 동열, 2016; 최다은·윤동열·김성훈, 2019) 등에도 유사한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볼 때, 리더가 보이는 미래지향적 행동, 변화를 예측하여 비전을 수립하고 그것을 구성원들에게 제시하고 독려하는 행동 을 보게 되는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그들도 변화에 대응하려는 행동을 보이게 된다. 또한 리더가 하는 행동이나 언어에서 단서를 얻어(리더가 표현하는 미래의 모습, 미래모습을 달성하기 위해 수립된 비전, 미래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하는 행위 등) 자신의 행동변화에 투영하려 것은 사회 정보처리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자기개념 기반 이론(self-concept - based theory)에 따르면 변혁적 리더는 언어와 상징적 행동을 사용하여 부하직원의 자기개념을 변화시키고 또한 동기부여 시킨다(Shamir, House, & Arthur, 1993). 변혁적 리더는 부하직원들의 역할모델로 작용 하여 이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간의 변수 간 관련성에 대한 언급과 중요성 은 Griffin & Hesketh(2005)에 의해서 언급되었다. 적응수행은 창의적 업 무수행, 신기술에 대한 빠른 학습, 대인관계 관리, 스트레스 관리, 물리적 환경관리, 이질적 문화관리 등의 행위를 포함하고 있다(Han &

Williams, 2008; Pulakos et al., 2000). 이러한 행위들은 변혁적 리더십에 영향을 받고 있다. 즉,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개인적 배려와 지적자극 은 모두 구성원의 미래에 대비한 변화, 창의성, 그리고 조직혁신과 같은 적응수행 요소들을 촉진하기 때문이다(Shin & Zhou, 2003; Jung, Chow,

& Wu, 2003). Charbonnier-Voirin, Akremi, & Vandenberghe(2010)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서 혁신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살펴 보았는데, 변혁적 리더십은 적응수행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조직 혁신 분위기가 높을수록 변혁적 리더십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연구로 박소희(2018)는 조직혁신풍토 와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구성원의 주도성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를 매개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 다. 김병호·신호철(2018)의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정 (+)의 영향을 미치고, 그 관계는 개인-환경 적합성이 매개한다고 하였다.

즉, 개인-조직, 개인-직무, 그리고 개인-상사의 적합성이 모두 상사의 변 혁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적응수행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중소기업 종사자와 팀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 수행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변화몰입은 직접 매개효과라 있고, 자기존 중감과 학습지향성은 변화몰입을 거쳐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밝혔다(안주리·정진철, 2013). 한편 변혁적 리더십이 군 특수팀 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도 있다. 팀 적응성의 선행변수로 공유 멘탈 모델이 라는 통합개념을 설정하고, 변혁적 리더십과의 관계에 대해 밝힌 연구다 (배범수·노명화, 2016). 정동섭·배범수·김학수(2014)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관계는 팀 지식공유와 개인지식획득의 교차매개 효과가 존재함 을 밝히기도 하였다.

변혁적 리더십 외 진성리더십이 자기 권능감을 매개로 적응적 수행성 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최우재·조윤형, 2013)와 진성리더십과 Big5의 성격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강호 촐·이도화, 2016), LMX(배범수 외, 2016), 참여적 리더십과 변화지향리더 십(김태홍·한태영, 2009), 카리스마적 리더십(김학수·배범수, 2016), 성취 지향 리더십(박혜진·유태용, 2009)이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구조적 임파워먼트, 팀 효능감, 조직변화몰입, 실책관리풍토를 매개로 적 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변혁적 리더십 과 적응수행의 관계는 두 변수가 가지는 변화지향성, 이론적 근거와 실 증 연구들을 기반하여 변혁적 리더십이 적응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 고, 그 영향력은 매우 긍정적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 다.

가설 1 :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