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문항수 출 처
변혁적 리더십 12 Bass & Avolio(1995), MLQ Form 6S 적응수행 14 Charbonnier-Voirin & Roussel(2012).
심리적 웰빙 19 Ryff and Keyes(1995) 개인-환경 적합성 12 Sake & Ashforth(1997)
통제변수 6
합계 63
<표 10> 설문지 구성
제4장 실증분석
제1절 응답자 일반적 특성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와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공공기관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전체 표본은 236명이며 분석한 결과는 <표 11>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해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보면, 먼저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이 146명(61%)를 차지하였고 여성은 90명(38%)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 12.7%, 30세 이상∼40세 미만 51.7%, 40세 이상∼
50세 미만 32.2%이며, 마지막으로 50세 이상은 3.4%로 집계되어 30세 이상∼40세 미만이 가장 높게 집계된 것을 알 수 있다. 학력은 고졸 2.5%, 전문대졸 1.3%, 대졸 66.5%, 대학원졸 29.7%로 대졸이 가장 많 았으며, 다음으로 근속연수는 2년 미만이 7.2%, 2년 이상∼3년 미만은 5.9%, 3년 이상∼5년 미만은 22.0%, 5년 이상∼10년 미만은 28.0%, 10년 이상∼20년 미만은 34.3%, 20년 이상은 2.5%로 집계되어, 10년 이상∼20 년 미만이 가장 많이 집계된 것을 알 수 있다. 업무유형은 기획운영(감사 포함) 28.8%, 능력개발(숙련기술포함) 18.2%, 능력평가(NCS포함) 36.4%, 국제인력 16.5%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직위는 사원/주임이 1.3%, 대리급이 23.3%, 과장급/연구원은 37.3%, 차장급/선임연구원은 35.2%, 부 장/책임연구원 이상은 3.0%의 분포를 보여 과장급/연구원이 가장 많은 것 을 알 수 있다.
개인특성 (N=236)
구분 내용 빈도 비율(%)
성별 남성 146 61
여성 90 38
연령
30세 미만 30 12.7
30세 이상∼40세 미만 122 51.7
40대 이상∼50세 미만 76 32.2
50세 이상∼60세 미만 8 3.4
학력
고졸 6 2.5
전문대졸 3 1.3
대졸 157 66.5
대학원졸 이상 70 29.7
근속연수
2년 미만 17 7.2
2년 이상∼3년 미만 14 5.9
3년 이상∼5년 미만 5 22.0
5년 이상∼10년 미만 66 28.0
10년 이상∼20년 미만 81 34.3
20년 이상 6 2.5
업무유형
기획운영(감사포함) 68 28.8
능력개발(숙련기술포함) 43 18.2
능력평가(NCS포함) 86 36.4
국제인력 39 16.5
직위
사원/주임(6급) 3 1.3
대리급(5급) 55 23.3
과장급/연구원(4급) 88 37.3
차장급/선임연구원(3급) 83 35.2
부장/책임연구원(2급) 이상 7 3.0
<표 11> 응답자 일반적 특성
제2절 표본의 구성
본 연구에서는 A공공기관의 근로자를 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활용하 여 연구모형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상 선정에 있어 공공기관으로 특정 한 것은 전체 조직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공공기관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는 조사하여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의 미있다고 생각한다(손종배·윤동열·장준원, 2018; 최다은·윤동열·김성훈, 2019). 설문조사는 직접 팀을 방문하여 부장과 부서원에게 설문에 대한 설명을 실시하고, 본 조사방법에 대해 동의한 부서만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상사용, 직원용으로 구분하여 2종류의 설문지를 각
각 다른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대상은 1개의 부서당 1명의 부장과 3
∼5명의 부원이 1조가 되는 형태로 구성하였고, 부장은 적응수행 14개 문 항을 부원의 수만큼 작성하였고, 부원은 부장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 등 57개 문항에 대하여 설문을 작성하였다. 부장은 최대 5명의 부원에 대한 설문을 각각 실시하고, 5명의 부원이 작성한 설문지를 조합하여 최종 측 정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9년 7월 15일부터 8월 15일까지 30일 동 안 실시하였으며, 총 57개 부에 총 342부(부장 57, 부원 287의 설문을 배 부하였다. 그 중 52개 부, 52부장과 237명의 부원이 작성한 총 289부의 설문을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3건의 설문을 제외하고 236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제3절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 분석에 앞서 SPSS 18.0와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과 신뢰 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구 조방정식모델링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설문문 항이 비교적 많았던 변수들에 대해서는 척도의 신뢰성을 높이고 보다 연속적인 정규 분포화된 특성을 얻고자 항목묶음(item parceling)방식을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