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빈곤감축을 위한 개발전략

Dalam dokumen 국제개발이론 현황 (Halaman 69-73)

제3장

3. 빈곤감축을 위한 개발전략

인권개선과의 통합관점에서 빈곤문제에 접근하는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 되어 왔다. 아마티야 센의 역량 접근(capability approach)은 저소득에 초점을 두는 빈곤개념을 다면적 관점으로 대체함으로써 빈곤개념을 확대하는데 중

개 발 이 론 현 황

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빈곤에 대해 역량접근으로부터 권리접근으로의 전이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즉, 빈곤 퇴치는 경제발전 전략만으로 성취될 수 없고 인권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빈곤이 발생하게 되는 복합적 요인에 대한 인식은 빈곤 감축을 위해 인권이 통합되 어야 한다는 인식을 수반하게 되었다. 특히 심각한 빈곤은 인권위반의 하나 라고 규정하고 있다. 심각한 빈곤은 인권위반의 하나이고, 빈곤 그 자체는 수많은 인권위반의 근본 요인 중의 하나라는 사실이 인정되고 있다. 또한 인권 위반은 빈곤의 원인인 동시에 결과이다.68) 2001년 5월 10일 성명에서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는 빈곤을 인권에 대한 다면적 거부 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1993년 비엔나 선언과 행동계획에서는 “극심한 빈곤과 사회로부터의 소외는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것임”을 확인하고 있다. 빈곤은 인간의 자유를 속박하며 개인으로부터 존엄성을 앗아간다. 빈 곤은 인권의 비실행의 결과이고 경제자원의 제약이다. 센의 고전적 분석에 따르면 빈국이든 부국이든 어떠한 국가가 민주적 정부체제를 가지고 있고 비교적 자유로운 언론이 있는 경우 그 국가에는 기아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이다.69)

위에서 언급한 빈곤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박탈과 주변화, 차별 및 배제는 인권적 접근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인권을 존중하겠다는 공약은 모든 형태의 박탈에 대항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가난한 사람은 모든 사회에서 가장 불이익을 당하고 주변화된 사람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빈곤감 축전략은 특별한 욕구뿐만 아니라 차별당하지 않을 권리를 다루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전통적 빈곤 분석은 수입과 경제적 지표만으로 판단한 반면, 인권분석은

무력함(powerlessness) 현상과 사회적 배제를 포함하여 가난한 사람 자체에

대한 부가적 관심을 갖는다. 일부 부문별 개발 매트릭스가 선택된 경제부문 에 배타적으로 집중하는 반면, 보다 포괄적인 인권접근은 인간개발의 모든 영역 - 건강, 교육, 주거, 개인안보, 정의 관리, 정치적 참여 - 에 관한 지침을

68) OHCHR, Human Rights and Poverty Reduction: A Conceptual Framework, 2004, pp. 5-6; Tomas Pogge, ed., Freedom from Poverty as a Human Righ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69) UNDP, 인권과 인간개발 (서울: UNDP 한국대표부, 2000), pp. 74-75.

장 - 제공한다. 빈곤감축에 대한 인권접근은 협의의 경제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에

서 차별의 구조를 유지시키는 사회·문화·정치적·법적 제도를 다루는 보다 광범위한 전략으로 빈곤감축 전략을 재설정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인권접근 은 자신들에게 해로울 수 있는 흥정논리(trade-offs)에 대항하여 가난한 사람 을 보호하는 조건을 부과한다. 흥정논리(trade-offs)의 명분으로 퇴행하거나 최소한의 핵심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려는 것에 대해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70)

인권은 빈곤감축전략 형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요소와 원칙이 포함될 것을 요구한다.

첫째, 최극빈자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행동을 밝히고 우선 순위 설정 둘째, 권력관계와 차별의 근본 요인 분석

셋째, 개발과정과 구체적 빈곤감축 대상이 국제인권기준과 일치하도록 보장

넷째, 거시경제, 부문별 구상, 거버넌스 요소, 투명성·책무성과 같은 원칙들 사이에 긴밀한 연계 보장

다섯째, 정보의 자유, 결사의 자유를 포함하여 활동적이고 자유로우며 의 미 있는 참여를 위해 시민적·정치적 권리 기준의 보장71)

빈곤감축에 대한 초기의 접근과 달리 인권접근은 목적 그 자체 만큼 발전 목표가 달성될 수 있는 과정에 중요성을 부여한다. 특히 인권접근 빈곤감축 전략의 형성, 이행, 모니터링에서 가난한 사람에 의한 활동적이고 정보에 근거한 참여를 보장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인권접근 참여가 다른 목 적에 대한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자체로 실현되어야만 하는 기본인권으로 서 가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둔다. 권력이 없이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성공적으로 논쟁할 수 없다. 권력에 대한 관심은 친빈곤적(pro-poor) 변화에 대한 공유된 관심에서 연유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빈곤감축은 규범적 변화를 통해 가난한 사람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달려 있다. 효과적으로 권력 관계를 변화시키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가난한 사람의 상대적 지위를 변화시키는 정치구조와 과정에

70) OHCHR,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a Human Rights Approach to Poverty Reduction Strategies (2006).

71) OHCHR,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a Human Rights-based Approach to Development Cooperation (2006), p. 9.

개 발 이 론 현 황

영향을 끼치는 것을 포함한다. 가난한 사람들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 가 개발기구로 하여금 기술적인(technical) 의제를 정치적(political) 의제로 전환하도록 만들고 있다. 친빈곤적 변화란 한 국가 내에서 새천년개발목표의 성취를 촉진하는 정치·경제·사회적 구조와 체계의 변화를 의미한다.72)

72) Ibid., p. 5; Ruth Alsop, ed., Power, Rights, and Poverty: Concepts and Connections, World Bank (Washington: World Bank, 2005), pp. 6-16.

장 -

Dalam dokumen 국제개발이론 현황 (Halaman 6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