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생물-환경 연계 모니터링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41-47)

- 수온의 경우, 여름철을 제외하고 5,10,20m 등 전 층이 비교적 잘 혼합된 상태임 (여름철에는 10~20m 사이에 강한 수온 약층 발달하였음.

- 광량의 경우, 관측기간 중 (2017년 3월~2018년 10월)에 6월에 최대가 나타나며, 1 월에 최소가 나타나는 연변동이 나타남. 5월의 경우, 10m 층은 5m층에 비해 60%, 20m층은 10m층에 비해 24% 수준으로 감소함.

그림 17. 독도 연안의 광량 및 수온계 계류 위치 및 관측장비

그림 18. 2017년 3월~2018년 10월 동안의 5m, 10m, 20m의 층별 수온 및 광량 분포

2018/10/25 계류중 10

혹돔굴 20m

2017/03/11 17:40 2017/06/06 13:40

10 2017/06/13 17:00 2017/10/14 14:00 10 2017/10/28 11:00 2018/03/26 14:40 10 2018/03/26 14:20 2018/07/11 12:00 10 2018/07/11 14:00 2018/09/20 09:00 10

2018/10/25 계류중 10

그림 19. 2017년 3월~2018년 10월 동안의 5m, 10m, 20m의 층별 각월 별 평균 수온 및 광량 분포

그림 20.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5m, 10m, 20m의 층 별 각월별 평균 수온 및 광량 분포

- 독도연안에서 기상청 독도 파고부이에서 관측된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0월 까지의 최대파고 분포에 따르면, 관측기간의 경우, 겨울철 보다는 6월, 8월, 9월에 최대파고 7m 이상의 이상 고파가 관측되었음. 2018년 6월 27일의 경우, 최대파고 7.6m, 8월 24일의 경우 태풍 솔릭(Soulik)의 영향으로 11.0m, 10월 6일의 경우 9.2m의 최대파고가 관측됨. 이러한 이상고파는 독도 연안의 퇴적물의 이동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됨.

- 실제, 2016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의 독도 동도 연안에 대한 드론 촬영 모니 터링에 따르면, 2016년 3월 7일과 2016년 6월 11일 사이에 동도 연안의 몽돌밭이 약 448m2 소실됨. 이러한 변동은 2016년 4월과 5월의 최대파고 9m 이상의 이상 고파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됨.

그림 21. 2017년 11월~2018년 10월 동안의 기상청 독도 파고부 이(독도 동도 인근)에서 관측된 최대파고 분포

그림 22. 2016년 3월부터 2017년 3월 동안의 독도 동도 해안선의 변동 모 니터렁 결과와 2016년 4월~5월 동안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독도 해양관측 부이에서 관측된 최대파고, 최대풍속 및 바람벡터 분포.

○ 환경오염인자(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 울릉도 및 독도 주변 부유, 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 조사 실시 - 부유 미세플라스틱 시료 확보 (2018년 6월, 8월, 11월)

- 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 시료확보 (2018년 4월, 7월: 독도 혹동굴, 7월: 독도 해녀바위, 8월: 울릉도 현포항)

- 울릉도-독도 부유 미세플라스틱 풍도는 6월 (평균 1.43 particles/m3)보다 8월 (평균 1.73 particles/m3)에 소폭 증가하였음.

- 조사해역에서 출현한 부유 미세플라스틱은 EPS(expanded polystyrene), 파편 (fragment), 페인트 입자(paint particles), 섬유(fibers), 필름(film) 형태였음 (표 1).

그림 23. 부유 및 퇴적물 미세플라스틱 채집 정점

그림 24. 부유 미세플라스틱 채집 모습

Date Station EPS Fragment Paint

particles Fibers Film Sum 2018.06

St.1 0.09 0.34 0.22 0.43 0.00 1.08 St.2 0.02 0.14 0.10 0.10 0.00 0.37 St.3 0.05 0.32 0.21 0.21 0.00 0.80 St.4 0.36 0.91 0.91 1.27 0.03 3.48 2018.08

St.1 0.95 0.19 0.00 0.43 0.00 1.57 St.2 0.54 0.27 0.00 0.54 0.00 1.34 St.3 1.59 0.61 0.06 0.66 0.00 2.91 St.4 0.20 0.28 0.06 0.56 0.03 1.12 표 2. 울릉도-독도 부유 미세플라스틱(0.33-5 mm) 형태별 풍도 (단위: particles/m3)

- 6월 부유 미세플라스틱 풍도가 가장 높았던 현포항에서는 섬유(fibers), 파편 (fragment), 페인트 입자(paint particles)가 우점하였음

- 8월 부유 미세플라스틱 풍도가 가장 높았던 사동항에서는 EPS(expanded polystyrene), 섬유(fibers), 파편(fragment)이 우점하였음.

- 6월에 비해 8월에 모든 정점에서 EPS 형태의 부유 미세플라스틱 상대풍도가 증가하였음.

- 11월에 채집한 부유 미세플라스틱 시료는 현재 분석 중임.

- 퇴적물 내 미세플라스틱 풍도는 16.54-27.16 particles/kg 이었고, 모든 정점에 서 섬유형태의 미세플라스틱이 우점하였음.

그림 25. 부유 미세플라스틱 크기 및 형태별 분포

그림 26. 부유 미세플라스틱 형태별 상대 풍도

그림 27. 퇴적물내 미세플라스틱(0.35~5mm) 크기 및 형태별 풍도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4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