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안 수산생물 군집 생태조사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84-88)

○ 조간대 및 조하대 수심별 서식생물 정보 검색

- 울릉도 조간대 및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표 부착생물은 따개비류, 홍합류 등이 있 으며, 이중 홍합류 생물은 조간대 5m 이내 수심이나 조류흐름이 느린 지역에서는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가 주로 서식하고, 조하대에서는 울릉도․독도 에 자생하는 토종 홍합(

M. coruscus

)이 넓게 분포하고 있음

- 홍합은 울릉도 대표 특산 해양생물로 자연산을 채취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 는 종으로 최근에는 동해안의 수온상승으로 인해 자원량이 감소하는 추세임

그림 58. 울릉도 연안 홍합 및 지중해 담치 분포

○ 조간대 및 조하대 수심별/계절별 서식 유용 수산생물 분포 조사

- 홍합 서식형태는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개체수가 감소하고, 서식범위가 좋았으나 개체의 크기가 낮은 수심에 서식하는 개체에 비해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연령 또한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개체의 연령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음. 이와 같은 결과는 홍합류 생물의 경우 성장과정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깊은 수심을 선호하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그림 59. 울릉도 연안 홍합 및 지중해담치 수심별 분포

- 울릉도에 서식하는 지중해담치는 조간대 상부에서 수심 1m 이내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음. 지중해담치의 크기는 개체간의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관찰되었 는데, 이는 수심에 따른 개체간의 차이보다는 크기 및 연령에 상관없이 생존에 적 합한 환경(부착기질, 수온, 염분, 해수유동 등)이 조성되면 조간대 지역에 기회적으 로 부착하여 생존하려는 지중해담치의 생존전략으로 판단됨

○ 울릉도-독도 어류자원(어란 및 난자치어) 모니터링 1) 조사개요

- 어란 및 자치어는 2018년 봄철(6월 4일)에 독도(북쪽 및 남쪽 연안)와 울릉도(관 음도)의 3개 정점, 가을철(11월 1∼2일)에 울릉도와 독도사이에 한 개 정점을 추 가하여 4개 정점에서 각각 2회씩 반복 채집함.

계절 조사정점 횟수 위도(N) 경도(E)

봄철 (2018.6.4.)

독도 북쪽 연안 2 37. 15. 150 131. 51. 980 37. 15. 560 131. 52. 540 독도 남쪽 연안 2 37. 14. 130 131. 52. 520 37. 14. 310 131. 53. 000 울릉도(관음도) 2 37. 32. 550 130. 55. 860 37. 33. 150 130. 55. 970 가을철

(2018.11.1 .~11.2)

독도 북쪽 연안 2 37. 16. 987 131. 51. 779 독도 남쪽 연안 2 37. 13. 912 131. 51. 754 울릉도~독도 사이 2 37. 19. 552 131. 26. 236 울릉도(사동항 외해) 2 37. 27. 913 130. 55. 493 표 15. 울릉도 및 독도인근의 자치어 조사정점

- 봄철에 독도인근 정점에서는 RN150네트(망구직경 150cm, 망목 440㎛, 길이 10m) 를 이용하였고 독립문바위에서 두 번째 채집 시 네트가 파손되어, 울릉도(관음도) 에서는 RN100네트(망구직경 100cm, 망목 440㎛, 길이 3m)를 사용함. 가을철에는 모든 정점에서 RN150네트를 이용함.

- 정량분석을 위하여 네트입구에 유량계를 부착하였고, 네트의 궤적이 V자 모양이 되게 경사채집 하였으며, 정점별로 1.5∼2 knot 속도로 10∼15분 동안 예망함.

- 채집된 시료는 현장에서 99% 알콜로 고정하여 실험실로 옮겨서 sorting 후 입체 해부현미경(Stemi 2000, Zeiss)으로 형태동정을 실시하였고, 체장은 Axio zoom v16(Zeiss)을 이용하여 0.1mm 단위까지 측정하고, 측정 후에는 현미경에 부착된 Axio cam 506(Zen 2)을 이용하여 촬영함

- 종 동정은 Okiyama(1988, 2014), 김 등(2011), 윤창호(2002), 김 등(2005) 등을 따랐 음.

그림 60. 울릉도 독도 연안 어류자원 시료처리 과정.

2) 봄철 주요 결과

- 어란은 1.5∼128.3 개/1,000m3 출현함. 독도의 가제바위에서 출현량이 높음.

- 자치어는 독도(북쪽 가제바위 주변, 남쪽 독립문바위 주변) 2개 정점에서 8종 출 현, 울릉도(관음도)에서는 자치어 출현 없음.

- 정점별 출현량은 16.4∼25.0 개체/1,000m3

- 우점종은 돛양태류(

Repomucenus

sp.)와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

)로 각 각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47.3, 26.7%를 차지함(Table 2)

- 정착성 어종(돛양태류, 밀망둑류) 및 회유성 어종(전갱이, 고등어) 출현.

- 저서성 어류(용가자미, 양동미리류, 홍갈치) 출현.

- 봄철 출현 종 중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는 전 세계의 아열대 및 열대에서 서 식하는 어종이지만 우리나라 전 해역을 회유하므로 기후변화의 지표종은 아니라 고 판단됨.

그림 61. 2018년 6월의 어란(자치어) 조사 개요 및 주요 지점의 출현양.

학명 국명

정점

평균 비율 독도 (%)

가제바위

독도 독립문바위

울릉도 관음도 Eggs

fish eggs others

58.7 69.6

48.8

23.8 1.5

107.4 94.9

53.1 46.9 total 128.3 72.5 1.5 202.3 100.0 Larvae

Repomucenus

sp.

Hippoglossoides pinetorum Maurolicus japonicus Trachurus japonicus Scomber japonicus Parapercis

sp.

Cepola schlegeli Rhinogobius

sp.

돛양태류 용가자미 앨퉁이 전갱이 고등어 양동미리

류 홍갈치 밀망둑류

4.1 2.7 4.1 1.4 1.4 1.4 1.4

15.5 8.3

1.2

19.6 11.1 4.1 1.4 1.4 1.4 1.4 1.2

47.3 26.7 9.9 3.3 3.3 3.3 3.3 2.9

total 16.5 25.0 41.5 100.0

표 16. 봄철 울릉도, 독도 인근해역의 난자치어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8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