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울릉도·독도 기후자료 수집 및 주요 환경요소의 통계 분석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35-41)

엽록소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지형적인 요인일 수 있음 식물플랑크톤 성 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물리적인 요인은 수층 안정도임 수층 안정도가 높아야 식물플랑크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음 두 항의 지리적인 특성을 보면 도동항은 외항 직접적으로 연결된 반면 저동항은 방파제에 의해 외 항과 다소 분리되어 있어 도동항에 비해 수층 안정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고 이로 인해 엽록소 농도가 배 이상 높았던 것으로 사료됨

그림 8. 울릉도 저동항의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량, 규산염, 인산염, 용존성무기질산염, 엽록소-

a

농도 분포

3. 울릉도·독도 기후자료 수집 및 주요 환경요소의 통계 분석

그림 9. 울릉도 주변 정점(105-09)의 수심별 수온분포, 1961-2017년 동안의 울릉도로부 터 거리에 따른 200m층의 수온 분포, 2006-2017년 8월의 200m층의 수온 분포, 울릉도 보정 해수면 변동

- <표층수온> 20OC 이상일수 : 최근 51년간 47일 증가 추세, 10OC 미만일수 : 최근 51년 간 30일 감소 추세

- <해상기상> 2009년 이후 겨울철을 중심으로 풍랑특보 발령일 증가 추세

그림 10. 울릉도 조위관측소 표층수온 분포 및 수온 20℃ 이상일수 및 수온 10℃미만 일수, 동해 중부먼바다 풍랑특보 발령분포

○ 울릉도·독도의 기후요소(수온, 표층바람) 변화 추세 분석

- 울릉도·독도의 기후요소(수온, 표층바람) 변화 추세를 다른 지역과 비교분석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29개 지점)과 기상청(98개 지점) 지상풍 월평균 관측 자료를 확보함

- 기상청 관측소 중 관측기간을 50년 이상 보유한 관측소의 표층풍속 시계열 및 풍 속 선형경향성을 분석한 결과, 겨울(1월) 일부 관측소(수원, 전주, 여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관측소에서 표층풍속 감소 경향을 보임

그림 11. 최근 50년(1966-2015년) 동안의 관측 자료를 보유 한 기상청 관측소 1월 풍속 시계열 (**: 95% 신뢰수준에서 유의, *: 90% 신뢰수준에서 유의)

- 울릉도 기상관측소(130.88E & 37.46N)에서 관측한 77년 5개월(1938.08 ~ 2015.12) 동안의 바람자료 수집 및 선형추세 분석- 관측기간 동안 약 2 m/s 감소함. 최근 (2003/04년 이후) 에는 증가하는 추세임

그림 12. 울릉도 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풍속 장기변화

- 20개 기후모형(CMIP5)의 미래기후 전망 결과를 수집하고 상층특성(해면수온, 해면 염분, 혼합층깊이) 기후변화를 동해를 중심으로 살펴봄

그림 13. 기후모형(CMIP5)에서 전망한 21세기 대비 22세기말 동해상층 미래변화 전망

- 동해 영역 평균한 해면수온과 해면염분은 20세기초에 비해 20세기말에 각각 평균 2℃ 상승, 0.1 감소할 것으로 나타남

그림 14. 20개 기후모형(CMIP5)에서 예측한 동해 해면수온(SST) 변화 및 모형 평균

그림 15. 20개 기후모형(CMIP5)에서 예측한 동해 해면염분(SSS) 변화 및 모형 평균

Dalam dokumen 그 림 목 차 (Halaman 3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