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가출충동 경험

Dalam dokumen 한국 어린이 - 청소년 행복지수 (Halaman 106-109)

<그림 4-11> 부모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과 주관적 행복 _ 고등학생

(단위 : %)

<그림 4-13> 부모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과 가출충동 _ 초등학생

(단위 : %)

• 다음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따라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 보았다. 흥미롭게도, 스마트폰을 3시간 이하로 사용하는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스마트폰을 사 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출충동 경험비율은 스마트폰을 1시간 이하로 사용 할 때 26.7%로 가장 낮았으며, 스마트폰을 3시간을 초과해 사용한 경우 42.3%로 가장 높았다.

<그림 4-14>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가출충동 경험 _ 중학생

(단위 : %)

• 부모와의 관계 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해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따라 가출충동 경험 비 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모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좋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 차이는 스마트폰 이용 시간이 1시간 이하일 때 가장 큰 폭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가 좋은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은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3시간 이하일 때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부모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 은 스마트폰 이용시간이 1시간 이하일 때와 3시간 초과할 때 2배 이상 큰 폭으로 차이가 났다.

<그림 4-15> 부모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과 가출충동 _ 중학생

(단위 : %)

• 다음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가출충동 경험 비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고등 학생의 경우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마트폰을 하루 3시간 이하 사용하는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낮게 나 타났으며, 스마트폰을 3시간 넘게 사용하는 집단의 가출충동 경험 비율도 36.7%로 스마트폰을 이용하 지 않는 집단(34.1%)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림 4-16>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가출충동 경험 _ 고등학생

(단위 : %)

• 고등학생도 부모와의 관계 질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해 스마트폰 이용시간과 가출충동 경 험 비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모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좋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의 가출충 동 경험 비율은 스마트폰 비이용자층에서 3배 이상으로 가장 큰 차이가 났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좋은 집단에서는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스마트폰 이용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 은 한편, 부모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집단의 경우 가출충동 경험 비율이 스마트폰을 3시간 넘게 사용 했을 때 크게 높아졌다.

<그림 4-17> 부모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과 가출충동 _ 고등학생

(단위 : %)

Dalam dokumen 한국 어린이 - 청소년 행복지수 (Halaman 106-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