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의 숙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양육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Busch-Rossnagel, Knauf-Jensen, & DesFosiers, 1995;
Heckhausen, 1993). 영유아는 부모의 신념, 가치관,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성장·발달하기 때문이다. 특히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양육자인 어머니는 영유아의 숙달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Mahler, Pine, & Bergman, 1975). 따라서 영유아의 숙 달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숙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행 동, 태도 및 숙달동기 과제 상황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반응에 집중하 였다. 최근 어머니의 인지적 변인인 양육신념이 영유아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나(신은주, 2011; Miller, 1988), 양육신념과 영유아의 숙달동기의 관계에 대해 논의한 선행연구는 찾기 어려우며,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태도, 양육 환경과 영유아의 숙달동기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Heckhausen(1987)은 어머니의 비계설정과 영유아 숙달동기 발달에 관 한 연구에서 과제 수행 중에 어머니가 제공한 비계는 영유아에게 과제 해결에 대한 도움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어머니가 보고한 양육행동은 영유아의 사물·사회적 숙달동기, 표현성, 문법적 언어 발달과 긍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는 숙달동기에 관한 양육과 영유아 의 사회적 숙달 동기를 매개하였다(Dichter-Blancher, 1999).
어머니-자녀 관계는 영유아의 숙달동기와 통제인식에도 중요한 영향 을 미친다(Baumrind, 1971; Deci & Ryan, 1985; Erikson, 1963).
Baumrind(1971)는 어머니가 자녀의 연령에 적합한 도전을 지지해주고 자녀의 노력을 인정해주며 온정적인 양육을 할 때 자녀는 성공하는 기회 를 제공받으며, 실패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숙달동기와 긍정적 통제인식의 발달을 초래한다. Kelley와 동료 들(2000)은 어머니의 긍정적 피드백이 영유아의 과제 지속성을 예측해준
다고 하였다. 어머니의 온화한 지도는 영유아가 도전적인 과제에 대해 덜 회피적이게 하며 어머니의 부정적 피드백은 영유아의 수치심을 초래 한다.
영유아의 숙달동기는 어머니의 자극과 같은 외적 요소에 의해 촉진되 며 어머니가 자율성에 대해 지지적인 20개월 영아들은 어머니가 통제적 인 영아들에 비해 과제 지속성을 보이고 비교적 유능했으며, 긍정적인 정서를 보였다(Yarrow et al., 1983). 어머니의 민감성은 1세 영아의 지 속성 및 유능성과 관련이 있으며, 12-20개월에 비처벌적인 어머니의 양 육태도는 영아의 숙달행동과 관련이 있다(Frodi, Bridges, & Grolnick, 1985). Gaiter와 동료들(1982)은 양육자가 좀 더 다양한 인지적 지향 활 동을 제공할 경우 영유아의 숙달동기가 향상된다고 보았다.
위의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보았을 때, 어머니의 평상시 양육행동, 과 제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어머니의 반응행동,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은 영 유아의 과업수행 및 숙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어 머니가 자녀의 발달 및 과제수행에서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중요한 환경 요인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은 영유 아의 숙달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자녀의 성 장과 발달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하고. 어머니의 행동 및 실제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양육신념 또한 영유아의 숙달동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ell(1979)은 어머니의 양육행동보다 어머 니의 양육신념과 같은 인지적인 요인이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더 직접적 인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어머니가 자녀와 자녀양육에 대해 가지는 신념에 따라 어떠한 교육전 략을 취하며, 궁극적으로 자녀의 과제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영유아 자녀의 교육전략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중요한 지표이다(Wise, 2007) 자녀 가 주변 환경을 충분히 탐색하고 다양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통하여 성장 할 수 있다고 믿는 어머니들은 자녀에 대해 여유를 가지고 양육을 하며
자녀가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아갈 수 있도록 질문을 통해 교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자녀의 인지 과제 수행 점수가 그렇지 않은 어머니들의 자녀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McGillicuddy-De Lisi, 1985).
자녀의 성장과 발달을 존중하며 자녀를 능동적인 존재로서 인식한 어머 니는 인지적 표상 수준을 신장시키는 교육법을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영 유아 자녀에 대해 수동적인 존재라는 신념을 갖는 경우 자녀의 표상능력 을 자극하는 교육방법을 채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Siegel, 1985;
신은주, 2011 재인용).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영유아 자녀의 발달 을 존중하고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하는 양육신념을 가질수록 영유아 자 녀에 대한 양육 및 교육에 영향을 미쳐 결론적으로 자녀의 과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해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어머니가 자녀에 대해 이해하는 수준과 양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 및 신념이 실제양육 상황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육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머니 가 자녀에 대해 가지는 양육신념이 평소의 어머니-자녀 관계 및 어머니 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영유아 자 녀의 발달과 과제 상황에서의 숙달동기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어머니의 양육 및 신념과 영유아의 숙달동기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선 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Frodi와 동료들의 연구 결과(1985)에 의하면, 어머니가 영아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경우 12개월 여아들이 높은 과제 지속성을 보였으며 20개월에는 숙달에서 더 높은 유능성을 보였다.
어머니가 2세 영유아의 과제 수행 노력에 대해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경 우 영유아 자녀는 3세 때 도전적인 과제 수행 동안 수치심을 표현하였 다. 반면 2세에 온화하게 가르치고 좀 더 지지적이었던 어머니의 영유아 는 3세에 도전을 회피하는 경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Kelly et al., 2000).
McGillicuddy-De Lisi(1985)는 122명의 부모와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부모의 신념이 영유아의 과업 수행 및 인지발달에 큰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urner와 Johnson(2003)은 위기에 처한 169명의 유아와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모의 양육 신념이 부모-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유아의 숙달 및 학업성적에도 영향 을 미친다고 보았다. Wise(2007)는 어머니가 영유아 자녀의 자율성을 지 지해주는 경우 숙달동기의 과제 지속성, 과제 즐거움과 정적 상관을 보 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어머니의 양육 및 신념이 자녀의 과업 수행 및 도전적인 과제 상황에서의 과제지향적 행동과 지속성, 도전, 정서 등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선행연구들을 모두 종합해 보았을 때, 자녀의 발달에 대한 이론 적 관점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발달 과제 및 목표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신념은 양육 행동을 이끌어 내는 근원지로서 자녀의 양육·교육 방 법, 언어적 상호작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결과적으로 영유아의 숙달 동기 발달 및 성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자녀의 발달 전반에 대한 목표나 가치관과 같은 인지적인 내용이 포함된 어머니의 신념은 양 육행동 자체보다 자녀 발달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서 강조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어머니의 양육신 념, 특히 어머니가 자녀의 발달에서 인성을 중요시 여기는지 혹은 지적 성취를 중요시 여기는지, 영유아의 타고난 것을 인정하며 스스로 성장하 는 것이 옳다고 여기는지 혹은 환경의 영향력을 중요시 여기는지에 따라 숙달동기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