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3> 개선전략의 관점에서 유엔 인권시스템의 비교
구분 조약기구 특별절차 UPR
성격 법적 정치적 정치적
숫자
현재 7개 조약위원회 (장애인 조약위원회 설립 예정)
약 35개(주제별, 나라별)
참가자 독립적 인권전문가 (12-25명까지)
독립적 인권전문가(1인 특별보고관 또는 5인 실무그룹)
47개 이사국 전체와 유엔 회원국
심의시간/
심의주기
하루(6시간) 하루 반(9시간)/2-4년
약 1시간(보고서 발표 및 정부 대표 및 NGO의 의견 청취)/매년
실무 분과 3시간 보고서 채택 1시간/
매4년
장점
- 정기적(2-4년마다) - 상대적으로 깊이 있는
검토
- 주제별 및 부문별(아동, 여성, 장애인 등) 접근
- 신속
- 보편성(모든 국가를 대상, 단 나라별 보고관은 제외) - 주제별 및 나라별 접근
가능
- 개인별 인권침해 다룰 수 있음
- 종합성
- 정치적 압력 효과 (공개화, 다자간 참여) - 이해당사자의 참여
제도화 및 다양화 (유엔기구, NGO, NIRI 등)
단점
- 느리다
- 제한적(비준한 국가에만 해당)
- 개인별 인권침해를 다루는데 어려움
- 특별보고관의 개인 성향과 관심에 따른 편차
- 정치화(봐주기 및 분풀이)
- 피상적 검토(3시간, 전문성 결여)
- 이해당사자 발언권 없음 (실무분과 심의 중)
Ⅰ
Ⅱ
Ⅲ
Ⅳ
Ⅴ
Ⅵ
행동계획(VDPA)’을 승인하는 결의와 함께 ‘모든 인권의 증진과 보호 를 위한 고등판무관’에 관한 결의(Resolution 48/141, 1993)를 통해 인 권고등판무관 제도를 신설했다. 인권고등판무관의 임무는 모든 인권의 증진과 보호, 인권증진과 보호를 위한 국제협력의 강화, 인권센터의 전 반적인 감독의 수행, 발전권을 포함한 모든 시민‧정치‧경제‧사회‧문화 적 권리의 보호증진, 인권실현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의 제거‧예방, 인권 기구와 조약감시기구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권고등판무관 실은 인권침해가 문제될 때 초기단계에서 유엔의 통합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은 개별 국가에서 인권보호 및 증진의 일 환으로 인권 분야에서 기술협력(Technical Cooperation) 활동을 전개 하고 있다. 인권 분야 기술협력이란 국제인권기준을 국내법, 정책, 실천 관행에 통합시키고 이러한 기준을 수행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국가역량 을 구축함으로써 국가와 지역수준에서 인권을 증진하려는 국가를 지원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권분야 기술협력 프로그램(Programme of Technic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Human Rights)은 유엔의 정규 예산과 인권분야 기술 협력 자발적 기금(United Nations Voluntary Fund for Technical Cooperation in the Field of Human Rights)으로부터 기금이 충당되 고 있다. 이외에도 특별 프로젝트는 OHCHR의 파트너에 의해 자금이 충당되기도 한다.
인권분야 기술협력 자발적 기금은 1987년 사무총장에 의해 설립되었 다. 동 기금은 자발적 공헌에서 기금을 조성하고 정부의 요청에 따라 국가에 기술협력을 제공한다. 프로젝트는 인권고등판무관에 의해 관리 되는 기술협력 프로그램의 틀 내에서 수행된다. 유엔 인권위원회는
1993년 3월 10일 결의안(resolution 1993/87)에서 사무총장에게 인권 분야 기술협력 자발적 기금의 행정을 담당할 이사회(The Board of
Trustees)를 임명하도록 사무총장에게 요구하였고, 동 이사회는 1993년
12월에 설립되었다. 이사회는 기금 조성을 지원하고 자발적 기금을 위
한 전문가 조언과 지원을 제공한다. 이사는 3년 임기로 사무총장에 의 해 임명되며 독립성, 인권분야와 기술협력에서 폭넓은 경험을 가진 사 람으로 선택된다.
1999년 4월 이후 선임기금조성관이 OHCHR에서 활동하고 있다. 새
로운 기금조성전략의 일환으로 조성관은 2000년에 시작된 세계적 연례 호소(Annual Appeal)를 만들어 오고 있다. 연례호소는 계획된 활동에 대한 상세한 검토를 제공하고 보다 예측가능하고 시의적절한 기금조성 을 증진하며 장기적 활동계획을 허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 례호소는 기술협력 자발적 기금에서 충당되는 프로젝트를 포함한다.
1993년 유엔 인권위원회는 1987년 설립된 자발적 기금 아래 기술협 력 프로그램을 위한 일반적 시각과 지침을 만들었다(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1993/87, March 1993). 첫째, 기술협력은 법치를 보장하고 국제인권기준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기제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기술협력은 최우선 순 위로서 국가‧지역 제도를 창설하고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셋째, 기술협력은 전문가 서비스, fellowships과 scholarships, 교육과 정과 세미나로 구성된다. 넷째, 부가적으로 서비스는 실천적이어야 하 며 OHCHR이 기구간 조정의 구심점과 정보센터가 되어야 한다. 다섯 째, 법률의 기초 지원, 보호를 위한 모델 프로젝트, 사법 독립에 특별한 관심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UNDP와의 기구간 협력이 강조되었다.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의 기술협력 프로그램은 관련 정부의 요청에
Ⅰ
Ⅱ
Ⅲ
Ⅳ
Ⅴ
Ⅵ
의해 수행되고 있다. 유엔 인권분야 기술협력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정부가 사무총장에게 그러한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 이러한 요청에 대응하여 인권고등판무관실은 해당 국가의 특별한 인권필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다. 그러한 평가는 사무국 구성원과 함께 국제전문 가로 구성된 임무단에 의해 수행된다. 필요평가단(needs assessment
missions)은 정부, 비정부기구, 개인 등 여러 당사자와의 협의(con-
sultation)를 거쳐서 필요한 분야를 평가한다. 지원프로그램은 포괄적
이고 조율된 방식으로 평가에서 드러난 필요에 대처하기 위해 개발된 다. 실행 단계에서 국가 프로그램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지원의 효과를 측정하며 후속계획을 개발하기 위해 실행 후 평가를 실시한다.
프로젝트는 가능한 해당 국가 사회의 다양한 부문-시민사회, 국가인권 위원회, 의회, 법정-에서의 광범위한 참여 속에 형성되고 수행되고 있 다. 프로그램의 개발, 실행, 지원과 후속조치는 OHCHR의 활동‧프로그 램부(Activities and Programme Branch)에 의해 수행된다. 구체적으 로 프로그램 활동들은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첫째, 국제인권기준을 국내법, 정책, 실천관행으로 통합시키려는 노 력 지원
둘째, 독립적인 국가인권기구의 설립과 기능 수행에 대한 조언 셋째, 자신들의 작업에 관련된 국제기준에 대해 사법부, 군부, 경찰,
의회 대상 조언
넷째, 조약 이행 국가보고서 작성(treaty body reporting activity) 조언
다섯째, 국가인권행동계획에 대한 지원 여섯째, 인권교육에 대한 조언 등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의 기술협력은 다음과 같은 시각에서 접근하 고 있다.
첫째,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의 정책 및 우선순위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고 있다. 기술협력 활동을 고안할 때 어느 정도 인권조약기구와 특별절차로부터의 권고사항이 고려되고 있는가?
기술협력 프로그램에 의해 다루어지는 상이한 권리의 범주 사이에 균형 이 있는가? 기술협력 활동이 어떻게 성인지적 시각을 통합하고 있는가 등이다.
둘째, 효과성과 효율성의 확보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 이 고려되고 있다. 인권분야에서의 기술협력 활동이 어느 정도 다른 개 발활동과 통일성이 있는가? 기술협력 활동이 유엔의 개발지원의 통합 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기부와 기구 간 조정에 관한 유엔인권고 등판무관실의 이행과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인가? 유엔고등판무관실의 기술협력이 인권의 증진과 보호를 위해 어떻게 역량을 구축하고 있는 가? 프로젝트를 선택하는데 어떤 기준이 사용되고 있는가? 강점, 약점, 기회/성취, 위협/장애는 무엇인가? 등이다.
셋째, 관리와 접근의 문제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이 고려되고 있다. 기술협력 활동은 수혜국에서의 정치‧문화적 상황을 어 떻게 다루는가? 어느 정도 기술협력 프로그램은 수혜국에서의 가치가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의 지도적 결정과 다를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하 는가? 어느 정도 그러한 고려가 프로그램 사고에 도입되는가? 프로젝 트의 고안과 이행에 지방 파트너가 관여하고 있는가? 어떻게 주인의식
(ownership)과 지방의 참여가 증진되는가? 어느 정도 수혜국 내 파트
너들이 적용된 평가방법의 형성에 참여하고 있는가? 실행 파트너를 선 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등이다.
Ⅰ
Ⅱ
Ⅲ
Ⅳ
Ⅴ
Ⅵ
2003년 ‘유엔 인권고등판무관실 기술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세계적 검토 종합보고서(Synthesis Report of Global Review of the OHCHR Technical Cooperation Programme)’가 발표되었는데 동 보고서를 통 하여 인권분야 기술협력 국가 사례와 주제별 기술협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가. 기술협력 국가 사례
1)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BiH)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에 대한 기술지원은 조약기구 보고 활동, 권 리에 기반한 도시 평가 프로그램(Rights-based Municipal Assess- ment Programme: RMAP), 빈곤감축전략계획(Poverty Reduction Strategy Plan: PRSP)의 설계, 인신매매, 인권교육 등의 프로그램이다.
첫째, 조약기구 보고활동(treaty body reporting)이다. 조약기구 보 고활동은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가 1990년대 초반 주요 국제인권조 약을 비준하였지만 조약모니터링 기구에 보고서를 제출하는 데 실패했 다는 사실이 관련되어 있다. 유엔인권고등판무관실은 국가 내에서 열렬 히 활동하려는 강력한 시민사회 조직들이 있는 여성차별철폐협약과 아 동권리협약에 우선순위를 두기로 하였다. 국가가 이를 이행할 물적‧인 적 자원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UNICEF가 기술지원을 제공하였다.
다른 유엔기구들이 자신들의 활동과 관련이 있는 국제인권협약 아래 국가 보고서 제출을 촉진하기 위한 구상들을 제안하였다.
둘째, 권리에 기반한 도시 평가 프로그램(RMAP)이다. RMAP는 보 스니아‧헤르체고비나 전역에서 선택된 도시에 대한 권리에 기반한 개 발 평가를 통해 분석 데이터와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내용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