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절대와 상대의 사유와 타이포그래피
2) 타이포그래피의 시지각(視知覺) 인지에 따른 표현 양상
산업 기술의 발전과 다각화된 관점 그리고 활성화된 생산 소비의 과정에 의 해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수많은 정보를 접하며 살아가고 있다. 바쁜 현대인의 삶 속에서 디자이너들은 스쳐가는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 는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러한 정보의 바다 속에서 우리는 많은 부분의 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타 이포그래피를 통해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 결과 정보의 표현과 전달에 있어서 타이포그래피의 중요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 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전달 수단으로서 타이포그래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양상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첫째, 판 독적·가독적 정보전달을 위한 시각적 표현, 둘째, 조형적 심리적 해석에 따른 시 각적 표현, 마지막으로 융·복합적 인지해석에 따른 시각적 인지 표현으로 구분 하여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1) 판·가독적 정보전달을 통한 텍스트
아이린 스트리즈버(2009)159)는 판독과 가독은 모두 서체를 읽는 데 있어 쉽고 분명한 의미전달과 관련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두 단어는 다른 의미로 쓰이고
159) Ilene Strizver. 디자이너가 꼭 알아야할 타이포그래피. 신병일, 이지현, 이재선 역. 서울: design house, 2009. p.75.
있다 하였으며, 판독성(legibility)은 서체의 실제적 디자인과 관련되며, 가독성 (readability)은 서체의 설정과 관련된 것이라 하였다.
문자는 눈으로 보고 읽음으로서 메시지가 전달되기 때문에, 시각정보전달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 의미가 명료한 매체임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이러한 문자의 명료한 의미 전달을 위해 판독성과 가독성은 타이포그래피에서 가장 기본적이 고 중요한 요소로 숙고되어야 한다. 이는 과거의 문자를 손으로 필사하던 시대 로부터 인쇄술이 도입되어 수동적으로 문자를 배열하던 시대, 그리고 지금의 디 지털 시대에 이르기까지 판 가독성은 문자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즉 읽혀져야만 그 기능을 할 수 있는 문자의 특성상, 읽히느냐와 안 읽히느냐의 차이는 문자의 존재의 근본적 이유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판독성과 가독성은 특히 책이나 신문, 잡지와 같이 정보의 양이 현저히 많아지는 매체에 서 중요성이 더욱 크게 인식된다. 사람이 많은 분량의 정보를 문자로 접할 때 글이 자연스럽게 읽혀지지 않으면, 독자는 문맥에 집중하기 보다는 그 문자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할 것이고, 그에 따른 집중도가 떨어 지게 될 것이므로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이루어짐에 무리가 따를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타이포그래피의 판 가독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타이포그래피의 판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가 무엇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알아보았다.
첫째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래와 같이 문자 그 자체가 가지고 있 는 형태적 특성으로부터 기인한다.
(a) 세리프가 있는 명조와 세리프가 없는 고딕 중 어떤 서체가 잘 읽히는가? (b) 카운터(counter)의 크기와, 소문자의 x-height의 높이는 고려하였는가? (c) 정자와 이탤릭 중 어떤 서체가 더 잘 읽히는가?
(d) 서체의 폭의 길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e) 서체의 획의 두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둘째, 서체가 본문에 사용되었을 때 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레이아웃상의 특징 으로 생겨나는 공간적 가독성이다. 이는 서체의 선택 이후 서체의 사용에 있어 서 제시된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적절한 크기, 배치, 간격 등과 관련되며 구 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공간에 따른 서체의 크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b) 자간과 행간은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
(c) 글줄과 문단의 길이는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d) 각 상황에 가장 적절한 문단의 정렬방식은 무엇인가?
(e) 배경에 색상 이미지의 사용은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 타이포그래피의 판독성과 가독성을 결정 짖는 요인을 알아보았으며, 이 를 표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표 8]과 같다. 이처럼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의 발생 부터 지금까지 형태와 공간을 통한 판 가독적 문자 해석의 정보전달 수단으로 사 용되고 있으며 이는 타이포그래피의 기능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이라 사료된다.
판독성 가독성
명조와 고딕의 사용 서체의 크기
Counter의 크기와 x-height의 높이 자간과 행간
정자와 이탤릭 글줄과 문단의 길이
서체의 폭 문단의 정렬방식
서체의 두께 배경에 색상이나 이미지 사용 [표 8] 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을 결정 짖는 요인
(2) 심미적 형태변형을 통한 시각 유희성
클레와 칸딘스키는 “선은 점으로부터 시작되며, 모든 형태는 움직이는 점에서 시작된다.”160)라 하여 모든 형태를 이루는 기본단위로서의 점을 말하였다. 그러 므로 점은 선, 면, 입체로 발전되어 형태를 구체화 시키는 기본단위로 인식되며, 이는 공간 레이아웃으로 정형화되는 서체 하나하나를 인식하는데 있어 같은 맥
160) 원유홍, 서승연, 송영민.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서울: 안그래픽스, 2015. p.68.
락으로 여겨진다. 원유홍(2015)161)은 타이포그래피에서 ①낱자(letter)는 큰 공간 에서 점으로 인식되며, ②단어(word)는 짧은 선, 글줄(sentence)은 긴 선으로 인 식된다 하였으며, 또한 ③여러 줄의 글줄(paragraph)과 칼럼(column)은 면으로 인식되며, ④계속되는 페이지는 공간적이며 시간적인 부피를 가진다 하였다. 그 러므로 가독성을 중요시 하는 타이포그래피가 적절히 사용되어야 하는 책이나 잡지 디자인에서, 디자이너는 서체의 속성과 점, 선, 면, 입체로 이해되는 타이 포그래피의 심미적 구성으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한과 동시에 가독성을 높이는 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그림 30] 점‧선‧면‧입체의 관점에서 본 타이포그래피 출처 :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안그래픽스, 2015, P.69.
신문이나 잡지에서 본문 구성 위주로 사용되는 크기가 작고 양이 많은 타이 포그래피와 달리, 큰 글씨로 사용되며 심미성과 유희성이 부각되어야 하는 타이 포그래피가 있다. 잡지나 책의 커버 포스터 음악 앨범 표지의 표제로 사용되는 타이포그래피 그리고 각종 회사나 브랜드의 로고타잎이 이에 속하며, 이는 이미 존재하는 서체를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손을 사용하여 직접 서체를 그리는 레터링 작업이 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서체의 종류가 다양해져서 기존의 서체 를 사용하는 경우 또한 많지만 컨셉에 맞는 적절한 서체의 선택과 상황에 맞는
161) Ibid., p.68~69.
적절한 변형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디자이너는 작품의 컨셉을 조형 적 변화에 반영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그림 31] 형태 변형을 통한 타이포그래피의 시각 유희 Designer : Carol Anthony, Linda Dronenburg, Rebecca Spnga 출처 : Rob Carter, Ben Day, Philip Meggs, 타이포그래픽 디자인 형태와
커뮤니케이션의 원리, 김성학 옮김, 비즈앤비즈, 2009. P.77.
문자는 색상, 질감, 형태 중 형태의 변화에 따라 그 뜻이 다르게 인식된다. 그 러므로 문자의 의미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형태의 인식이 선행 되어야 한다. 문 자의 조형적 변화를 통한 심미적 효과는 이러한 부분에서 문자를 문자라 인식 하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제반적인 시각활동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독자는 문자 를 인식하기 이전에 조형적 변화를 가진 문자의 시각적 메시지를 인식한 다음, 그 문자의 본 의미를 인식하게 되므로 그 전달 방법은 가독성에 기인한 문자보 다 더욱 효과적으로 독자의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다. 아이린 스트리즈버(200 9)162)는 이러한 제목용 서체들을 사용함에 중요시 되는 것은 강한 개성과 정교 한 표현적 형태 그리고 더욱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으로, 이의 표현을 위해 본문 의 디자인에서 필요한 판독성과 가독성은 무시될 수 있다 하였다. 그러므로 조 형적 변화를 통해 심미성이 높아진 제목용 타이포그래피의 경우 문자의 형태 변화로 인해 판독성과 가독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아래와 같이 주의하여야 한다.
(a) 제작 시 형태상 최소한의 판독성은 확보 되여야 한다.
(b) 의미전달이 되는 한도 내에서 문장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c) 너무 작은 크기로 사용할 경우 가독성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주의 하여야 한다. (d) 색상이나 배경에 이미지 적용 시 일반 서체보다 가독성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62) Ilene Strizver. 디자이너가 꼭 알아야할 타이포그래피. 신병일, 이지현, 이재선 역. 서울: design
house, 2009. p.83.
[그림 32] 형태변형을 통한 타이포그래피의 시각유희를 적용한 작품의 예
이처럼 타이포그래피는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해 판 가독성에 입각한 문자 적 표현을 넘어 심미적 형태변형을 통한 시각유희적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판 가독적 정보전달방식과 더불어 타이포그래피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판단된다.
(3) 소재의 다양화를 통한 융 복합화
시대의 변화에 따라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방법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판 가 독적 정보전달의 기능으로만 여겨지던 타이포그래피는 그 영역을 확대하여 심 미적 유희적 표현으로 발전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색상 또한 다양해 져 과거 단일 색을 사용하였던 타이포그래피는 명암을 더하고, 이미지와 색상을 더했으며, 투명도를 활용한 겹침의 표현과 다양한 질감을 더하게 되었다. 하지 만 타이포그래피는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그동안 추구해 왔던 기능적이며 유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