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절대와 상대의 사유에 따른 개념 정립

II. 절대와 상대의 사유와 타이포그래피

4) 절대와 상대의 사유에 따른 개념 정립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적 사유를 통한 절대와 상대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① 동양과 서양의 인문학에서의 절대와 상대를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그러므로 본 장에서는 ②고찰한 결과를 토대로 각 사상에서 말하는 절대와 상대의 여러 가지 개념을 찾아내어, ③개념 정립으로 정리된 절대와 상대의 특성을 도출 하고자 한다. ④또한 도출된 여러 가지 특성을 유형화 작업을 거쳐 유사한 특성별 로 분류하여, ⑤분류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인문학적 사유를 통한 절대와 상대의 키워드를 도출 하고자한다.

[그림 22] 절대와 상대의 키워드 도출 과정

본 연구에서는 절대와 상대의 고찰을 위해 동양의 도가, 불교 그리고 힌두교의 사상을 들여다보았고, 서양의 사상으로는 소크라테스, 마르틴 부버, 폴 틸리히의 사상을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각 사상에서 추구하는 절 대 진리는 동양인문학의 ①도가에서는 ‘도(道)’, ②불교에서는 ‘참나(眞我), 불성(佛 性), 부처, 여래’, ③힌두사상에서는 ‘아트만(小兒)과 브라흐만(大兒)’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서양인문학의 ④소크라테스는 ‘진리’, ⑤부버는 ‘나와 너’, ⑥폴 틸리히는

‘하나님’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절대는 각 사상이 처한 문화와 언어적 환경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있으나 각 사상에서 추구하는 바가 형이상학적 사유의 궁극적 실재와 동일함으로 이는 본 연구에서 말하는 ‘절대’와 동일하다 판단된다. 또한 상대는 절대의 분화를 통해 만들어지며 대부분의 사상에서 언어를 통한 이분 법적 사고를 통해 형성되는 실존적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장에서는 고찰 결과

148) 본 연구는 절대와 상대의 인문학적 고찰을 진행함에 있어 관련 전문가 2인(조선대학교 철학 과 설헌영, 이철승 교수)의 자문(2018년 11월 21- 22일)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반영하여 절대와 상대의 개념 정립 및 유형화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절대와 상대의 사상별 개념을 통해 절대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개념의 특성 화를 거쳤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표 4]와 같다.

도가(道家) 불교(佛敎)

개 념 특 성 개 념 특 성

절대

도가에서는 절대를 도(道)라 하였음 하지만 이름 할 수 없는 완전함 궁극실재, 근본원리, 만물의 근원 도를 이룬 행동을 무위(無爲)라 함 지식과 생각으로는 알 수 없음 억지가 없으며 자연스러움 다듬지 않은 통나무처럼 투박함 자기를 낮추고 다투지 않음

‧ 진리적, 절대적 ‧ 완전적 ‧ 근본적, 근원적 ‧ 무위적 ‧ 직관적, 체험적 ‧ 순리적 ‧ 비정형적 ‧ 겸양적(謙讓的)

‧ 참나(眞我), 불성(佛性), 부처, 여래 등 ‧ 이해와 관념으로는 구할 수 없음 ‧ 무아(無我)의 세계

‧ 진여(眞如)의 세계 ‧ 독립된 개체는 없음

‧ 상(象)을 만들지 않은 청정한 마음 ‧ 언어로서는 전할 수 없음

‧ 생각 이전의 상태, 오직 모른다는 마음

‧ 영원적, 절대적 ‧ 비사변적 ‧ 비개체적 ‧ 진리적 ‧ 연기적, 비개체적 ‧ 무상적 ‧ 비언어적 ‧ 직관적, 무지식적

상대

지식을 통한 사변(思辨)의 대상 언어와 이름으로 이루어짐 상반관계

이분법적 시각 순리를 바로보지 못함

‧ 사변적 ‧ 언어적, 지식적 ‧ 상반적 ‧ 분화적 ‧ 비순리적

‧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 ‧ 언어를 통한 분별심으로 인해 형성 ‧ 거짓 나의 생성으로부터 생김 ‧ 지식과 이해의 영역

‧ 현상세계(現象世界), 상대세계(相對世界) ‧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 인식적 ‧ 언어적, 분별적 ‧ 가아적(假我的) ‧ 사변적, 지식적 ‧ 현상적, 상대적 ‧ 분별적

생성 ‧ 언어, 분별심(分別心) ‧ 분별심, 생각, 말

회귀 ‧ 심재(心齎), 오상아(吾喪我), 좌망(坐忘), 무위(無爲) ‧ 간화선, 위빠사나, 사띠, 염불삼매 등

힌두교 소크라테스

개 념 특 성 개 념 특 성

절대

(절대의) 아트만(小兒) - 최초의 존재, 불멸의 존재 - 개인의 본질, 만물의 궁극적 원리 - 참된 자아

- 직관적 자아 브라흐만(大兒)

- 우주, 우주의 혼, 자의식, 아난다.

- 최초의 존재, 궁극적 원리 - 만물을 창조한 후 만물 속에 아트만 으로 존재 하는 자

- 스스로 아트만으로 자각하는 자 - 근본적 자아

인식작용의 범위를 넘어선 자 언어로서 표현이 불가능 함 진리중의 진리

이 세상의 모든 것이며, 존재 그대로인 것 ‧ 절대적 -시초적, 불멸적 -본질적, 궁극적 -진아적 -직관적 ‧ 절대적 -우주적, 전체적 -시초적, 궁극적 -창조적, 근원적 -자각적 -근본적 ‧ 비인식적 ‧ 비언어적 ‧ 진리적 ‧ 진리적 ‧ 본질적, 절대적

‧ 절대적 진리 ‧ 너 자신을 알라의‘너’

‧ 모르는 마음(무지의 지) ‧ 본질

‧ 생각과 지식으로는 알 수 없음 ‧ 인간의 인식의 범위를 넘어 존재 ‧ 누군가가 알려 줄 수 없음

‧ 진리적, 절대적 ‧ 근원적 ‧ 무지식적 ‧ 본질적 ‧ 비지식적 ‧ 비인식적 ‧ 비교육적

(상대의) 아트만(小兒) - 육체적 자아, 생기로 된 자아 - 지성적 자아

- 호흡, 바람, 몸, 생명, 영혼

‧ 상대적 -육체적, 자아적 -지성적 -물(物)적

‧ 이분법적 사고의 영역 ‧ 생각과 지식의 영역 ‧ 언어의 영역

‧ 이분법적 ‧ 사유적, 지식적 언어적 생성 ‧ 무명(無明), 실존하지 않은 인식

회귀 ‧ 목샤(해탈) : 무명을 몸소 채득하여 깨달음 ‧ 무지의 지를 통한 자각, 대화를 통한 자각

마르틴 부버 폴 틸리히

개 념 특 성 개 념 특 성

절대

나와 너의 관계 영원자 너 인격적 관계 근원적 존재 주체와 주체의 관계 홀로 온 천하에 군림하는 존재 자신만으로 전체를 이룰 수 있는 자 모든조합을 포함한과 동시에 초월하는 존재 경험할 수 없고 알 수가 없음

‧ 인격적, 대화적 ‧ 영원적 ‧ 인격적 ‧ 근원적 ‧ 비개체적 ‧ 유일적 ‧ 유일적 ‧ 초월적 비경험적, 비지식적

‧ 신, 하나님, 본질 (존재자체) ‧ 존재와 존재자의 세계를 초월 ‧ 모든 존재의 구조적 근거(근원) ‧ 아담과 하나님이 합일된 상태

‧ 젖먹이 아이와 같이 생각의 분별이 없는 상태 ‧ 자아의 생성 이전

‧ 이분법적 사고가 없는 상태 ‧ 유한성과 무한성을 초월

‧ 본질과 실존의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 존재

‧ 본질적, 절대적 ‧ 초월적 ‧ 근원적 ‧ 합일적 ‧ 비분별적 ‧ 비자아적 ‧ 비분화적 ‧ 초월적 ‧ 무한적

상대

나와 그것의 관계

지각하며, 의식하고 또한 짐작하는 관계 개체(그것들)가 사는 세계, 분리적 세계 직접적인 지식

주관과 객관의 이해관계 사물적 관계

이용자와 이용대상과의 관계

‧ 비인격적, 비대화적 ‧ 지각적 ‧ 개체적 ‧ 경험적, 지식적 ‧ 주관-객관적 ‧ 사물적 목적적

‧ Seperation(분리, 절대로부터 분리), 소외 ‧ 실존

‧ 자아의 형성으로 생긴 세계 ‧ 이분법적 사고의 세계

‧ 개체적 인식으로 말미암은 극복의 대상

‧ 분리적 ‧ 실존적 ‧ 개체적 ‧ 이분법적 ‧ 상충적 생성 ‧ 대상을 ‘너’가 아닌 ‘그것’으로 봄, 인식작용 ‧ 본질로 부터의 분리‧소외, 자아(ego)‧존재의 형성 회귀 ‧ 적극적‘동(動)’통한 수동적 ‘정(靜)’: 무위(無爲) ‧ 사랑을 통한 본질과의 재결합

[표 4] 동서양 인문학에서의 절대와 상대의 개념과 특성

이처럼 고찰을 통해 정리된 사상별 절대와 상대의 특성의 분류를 위해 다시 유 형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그 결과는 [그림 23, 24]와 같다. 유형화 결과 절대와 상 대 각 5가지의 유형으로 분류가 이루어졌으며, 유형화된 5가지 특징들을 살펴 종 합한 후 같은 범주에 있는 특징들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각각의 키워드를 [표 5]와 같이 도출 하였다.

[그림 23] 절대 특성의 유형별 분류

[그림 24] 상대 특성의 유형별 분류

유형별 분류 키워드

① 직관적, 비사변적, 비지식적, 비교육적, 비언어적, 체험적, 비경험적, 무지식적, 자각적,

비인식적, 무위적, 비정형적, 무상적 비언어적 직관성

②영원적, 불멸적, 초월적, 무한적, 우주적 초월적 영원성

③절대적, 진리적, 본질적, 근본적, 근원적, 궁극적, 창조적, 시초적, 진아적 근원적 본질성

④유일적, 비개체적, 비자아적, 완전적, 합일적, 연기적, 비분화적, 동질적, 비분별적 비분화적 완전성

⑤순리적, 인격적, 조화적, 겸양적, 대화적, 평화적 순리적 조화성

①지식적, 언어적, 사변적, 사유적, 지성적, 인식적, 지각적 언어적 사유성

②실존적, 현상적, 물(物)적, 육체적, 사물적 현상적 실존성

③상대적, 이분법적, 분별적, 비인격적, 분화적, 비대화적, 분리적, 상반적, 주관-객관적 이분법적 분리성

④개체적, 자아적, 가아적, 부분적 개체적 자아성

⑤비순리적, 목적적, 극복적 비조화적 상충성

[표 5] 절대와 상대의 유형별 분류를 통한 키워드 도출

절대와 상대의 특성의 유형화를 통해 도출된 키워드는 절대에서는 ①비언어 적 직관성, ②초월적 영원성, ③근원적 본질성, ④비분화적 완전성, ⑤순리적 조 화성이며, 상대에서는 ①언어적 사유성, ②현상적 실존성, ③이분법적 분리성,

④개체적 자아성, ⑤비조화적 상충성이다. 도출된 키워드를 지금까지의 고찰과 특성의 유형적 분류를 통해 개념화 시켰으며, 그 정의는 [표 6]과 같다.

키워드 개념화를 통한 재정의

① 비언어적 직관성 (非言語的 直觀性)

절대는 언어 또는 언어를 통한 지식과 교육을 통해 이해될 수 없으며, 체험적이며, 직관적이다.

② 초월적 영원성 (超越的 永遠性)

절대는 인간의 생각의 범위를 초월하기 때문에 굳이 표현하자면 영원하고 무한하며 불멸하다.

③ 근원적 본질성

(根源的 本質性) 절대는 모든 생성의 토대가 되는 근원이며 본질이다.

④ 비분화적 완전성 (非分化的 完全性)

절대는 분화되지 않은 완전함이요 유일함이다. 그러므로 절대적인 관점에서는 개체란 존재 하지 않은 하나의 완전함이다.

⑤ 순리적 조화성 (順理性 調和性)

절대는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 순리적이며 서로 상충하지 않는 조화 그 자체이다.

① 언어적 사유성 (言語的 思惟性)

상대는 언어를 바탕으로 한 분별심에 의해 절대가 분화되어 나타난다.

그러므로 상대는 언어를 바탕으로 하는 지식, 사유, 지각, 사변, 이해의 영역이다.

② 현상적 실존성 (現象的 實存性)

상대의 세계에서는 마치 바다위의 파도와 같이 나타나는 현상을 독립적인 개체로 보고 그것이 변하지 않을 것처럼 바라보기 때문에 물(物)적, 실존적이다

③ 이분법적 분리성 (二分法的 分離性)

상대에서는 관점과 생각이 이분법적이며 분별적이다. 그러한 분별적인 마음, 옳고 그름을 따지는 마음으로 인해 선악미추고저장단

(善惡美醜高低長短)과 같은 상대가 생겨난다.

④ 개체적 자아성 (個體的 自我性)

상대의 시작은 나와 세상의 분화다. 그러므로 모든 상대의 생성은 나(ego)로부터 시작되며 그로부터 만물이 생겨난다.

⑤ 비조화적 상충성 (非調和的 相沖性)

상대는 분화된 관점으로 말미암아 서로 조화하지 못하여 서로를 바라봄에 상충적이다.

[표 6] 절대와 상대의 키워드 재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