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한국관광 품질인증
Ÿ 조직: 한국관광공사 내 한국관광 품질인증사무국 Ÿ 대상: 숙박업체 및 외국인관광객면세판매장 Ÿ 정보: 한국관광 품질인증 웹사이트 운영
F 인증신청 및 심사 정보:
https://koreaquality.visitkorea.or.kr/main.kto#
F 소비자 대상 홍보 사이트(외국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제공):
https://qualkorea.com/index.html
나. 인증심의위원회 구성과 역할
○ 인증심의위원회는 단기적으로 인증심사, 인증심사결과의 심의, 이의제 기 및 분쟁 조정 등 다양한 역할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게 됨
○ 그러나 향후 인증전담조직이 생기고 생태관광인증이 자리를 잡아가는 시점에서는 심사와 심의를 분리하는 것을 제안함
○ 인증심의위원회는 단기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함
- 전문가 그룹 풀 구성: 생태관광, 환경, 여행 전문가 등 다양한 전문인 력을 중심으로 풀 구성
- 내부 전문가 풀 구성: 탐방복지처, 국립공원연구원, 생태탐방원 등 현 장경력이 풍분한 내부 전문가 풀 구성
- 위원회는 내부 전문가(2-3 명)와 외부 전문가(2-3 명)로 함께 구성
그림 21. 인증심의위원회 구성과 역할
다. 인증모니터링
○ 생태관광 인증이 서류심사로만 이루어지는 초기 단계에서는 인증받은 상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모니터링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인증모니터링의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실제 프로그램 진행 시 인증 기준과 지표가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
확인
- 인증의 오·남용 등 인증취소사유 발생 여부의 확인
- 인증 프로그램의 품질 유지를 위해 요구되는 지원사항 검토
○ 모니터링은 다음의 절차로 진행하되 다음을 원칙으로 함 - 모니터링은 인증서 발급 후 1 년 내 시행
-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해봄으로써 전체 과정을 모두 점검
- 모니터링 결과 발견 내 문제점에 대하여 시정조치를 요구하되, 시정 조치의 기한을 1 달 정도로 하고 시정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증취소를 결정할 수 있음
○ 인증취소에 해당하는 사항으로는 다음의 에를 들 수 있음 - 인증의 내용, 범위, 인증서, 인증로고 등의 오용과 남용 - 인증 시 제출한 서류의 허위성 발견
- 인증받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법적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
- 합당한 이유 없이 주어진 기간 내 모니터링을 받지 않은 경우
-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수차례의 민원이 발생한 경우
그림 22. 생태관광 인증 프로그램 모니터링 진행절차
라. 잠재 인증 수요자 관리방안
○ 인증 이해 증진 교육
- 생태관광 인증에 대한 홍보 및 생태관광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책임 있는 관광실행 훈련을 돕는 교육과정 또는 워크숍 운영
○ 사전 평가 서비스 제공
- 웹기반 자가 평가 툴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신청 이전에 손쉽게 생태관광 실행수준을 평가하고 개선하도록 지원
마. 보상 및 보완 관리방안 1) 실행 개선 지원
○ 기후변화 대응(저탄소프로그램, 탄소발자국 측정, 탄소 상쇄)을 위한 구체적 실행 전략과 이용가능한 온·오프라인 평가도구 개발, 지원
○ 프로그램 개선 지원
- 대상: 인증받은 프로그램 및 미인증 프로그램 모두를 대상으로 함 - 방법: 인증 시 부족했던 부분에 대하여 맞춤 컨설팅 제공 (희망시) -
국립공원공단 전문가 연계, 합동 워크숍 등 진행
2) 홍보와 마케팅 지원
○ 인증 프로그램 별도 소개 웹사이트 개설 및 기존 생태관광 관련 웹사 이트와의 연계 (한국관광공사, 한국생태관광협회 등과의 협력)
○ 인증 프로그램 소셜미디어를 통한 홍보 (한국관광공사, 한국생태과광 협회 협력)
○ 국내외 관광박람회(내나라박람회 등) 등 관광 이벤트에 인증 프로그램 홍보 코너 마련
3) 국립공원공단 한정 보상 방안
○ 성과 가점 부여
○ 외국 생태관광 벤치마킹 방문 기회 제공 : 별도로 기획한 벤치마킹 방 문, 국외 관련 콘퍼런스, 워크숍, 박람회 등 참여를 위한 전체 비용, 일 부 비용 지원 등 다면적 방식으로 지원
○ 외국인 대상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지원 (외국어 번역, 외국어 가능 해 설사 지원, 외국인 대상 팸투어 지원 등)
○ 환경부 탄소발자국, 저탄소인증 신청 지원
제 Ⅶ 장 국립공원 생태관광 인증서류
Dalam dokumen
국립공원 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표준과 인증체계 개발
(Halaman 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