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I. 연구방법

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가. 자료의 수집

1) 문헌 자료

이 연구는 연구 주제와 관련된 각종 문헌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문헌자료는 신문자료(동아일보, 중앙일보, 매일신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기 독신문, 매일경제, 연합신문 등)를 수집했다. 신문은 주로 ‘네이버 뉴스 아카이 브7)’와 ‘빅카인즈8)’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네이버 뉴스 아카이브는 1910년부 터 1999년의 신문(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한겨레)을 제공하 고 있다. 빅카인즈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54개의 언론사에서 발행한 신문 기 사를 제공하고 있다.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신문은 문화체육관광부 국 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9)’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법무부 자료(『교정통계연보』, 『대한민국 교정사 Ⅰ』, 『대한민국 교정 사 Ⅱ』, 『대한민국 교정사 Ⅲ』, 『교정』, 『새길』, 『법무연감』 등), 정부 보고서(『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 정부 보도자료, 교도관이나 출소자의 기 록물(자서전, 일기, 회고록), 교정교육에 활용된 교재, 포럼이나 토론 등을 포 함한 학술논문 등도 수집하였다. 교도소와 관련된 유관 기관(예컨대, 형사정책 연구원이나 교정학회, 관련 상담 센터 등)에서 발표한 보고서나 보도자료도 수집하였다. 당대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기 위해 대통령 담화집 등도 자료로 수집하였다.

7) https://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8) https://www.bigkinds.or.kr/

9) https://www.nl.go.kr/newspaper/index.do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 ‘우리역사넷’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와 서대문역사 박물관과 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자료도 수집하였다. 각종 정책 보고서와 문서들은 각 기관의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았는데, 비공개 문서의 경우 책임자 및 관계자 등에게 자료를 요청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중 절판된 책이나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ISS 홈페이지에서 볼 수 없는 자료는 RISS 복사 신청을 통해 서울대학교 도서관에서 받거나, 국회도서관의

‘우편복사서비스’나 학교 도서관에서 이용하였다. 예를 들어, 김형탁(1971)은

‘교도소 재소자들의 성인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 대구교도소를 중심으로’의 석사학위논문은 RISS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여 ‘복사/대출신청’ 한 후, 서울대 학교 도서관에서 복사본을 받았다. 그리고 절판된 책인 『범털과 개털』이나 온라인에서 볼 수 없는 교정교육에 대한 학위논문(고재유, 1984; 이일노, 2008) 등은 국회도서관을 통해 복사본을 받았다.

자료 수집은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10)의 복사 서비스를 통해서도 이루어졌 다. 국가기록원 홈페이지는 공개된 자료에 한하여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자료도 있지만, 홈페이지로는 제공하지 않고 복사를 통해 받아볼 수 있는 자 료도 있다. 예컨대, ‘군산교도소 100년사’나 ‘전주교도소 100년사’, ‘목포교도소 100년사’는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지만 지침이나 시달 등의 내용은 대부분 비 공개이고, 공개되어 있는 것은 복사 신청할 수 있다. 연구자는 국가기록원 홈 페이지에 방문하여 연구의 분석에 필요한 자료를 검색한 후, 꼼꼼히 살펴보면 서 복사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신청하였고, 이후 복사본을 받았다. 예를 들어,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 ‘교도소’, ‘교도소 교육’, ‘교정교육’, ‘교도소 처우’, ‘수 용자 교육’ 등을 검색하여 ‘교정교육 실시결과 보고’(2005), ‘수용자 정보화교육 규정’(2003), ‘수용자 교육, 교화 운영지침 시달’(2004) 등의 자료를 복사 신청 한 후, 복사본을 받아 연구의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인 발행 근 현대신문잡지 DB’를 통해서도 이루어졌다. ‘한인 발행 근현대신문잡지 DB’는 한국에 유통되었던 667개 종류의 잡지 자료를 소장하고 있고, 자료 복사 서비 10) https://archives.go.kr/next/viewMain.do

스를 통해 필요한 자에게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자는 교도소 수용자용 잡지인 『새길』 중 교정교육이나 수용자 관리 등과 관련된 내용의 글을 복사 신청했다. 예를 들어, 『새길』에서 ‘회개의 의미’(1956), ‘도의교육의 근본태 도’(1957), ‘근로정신의 함양’(1959) 등의 잡지 내용 복사를 신청했다. 그리고 DB에서 ‘교정교육’ 혹은 ‘수용자 변화’ 등을 검색했을 때 나오는 자료를 복사 신청했다. 예를 들어, 『마을문고』라는 잡지에서 ‘교도소에도 책 읽는 소리 가’(1966)라는 글, 『선데이서울』 잡지에서 ‘무기수 작가의 인간 수업 수 기’(1969) 등의 자료를 복사 신청했다. 각 시대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새 교육』에서 ‘도의교육의 당면목표와 그 성격’(1956), 『기능』에서 ‘도시와 농 촌을 잇는 가교 1인1기 운동의 기수’(1977) 등의 자료를 복사 신청했다. 이렇 게 하여 총 65개의 자료를 복사 신청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경매를 통해 구하기도 했다.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하던 중 1960년대 초반 『새길』 잡지를 ‘인터넷 규장각’11)이라는 곳에서 경매로 판다는 것을 알 게 되었다. 『새길』은 아카이브 홈페이지 등에서 볼 수 있는 자료도 있지만 1960년대 초반의 자료는 구할 수 없었다. 연구자는 1962년 11월호 『새길』

잡지를 34,000원에 경매하여 구하였다. 1960년대 초반 『새길』 잡지에서는 당시 사회적으로 강조되던 반공 등의 내용과 수용자 규율 등을 볼 수 있었다.

교정교육에 사용되었던 교재 등도 수집하였다. 연구자는 예비조사에서 교정 교육 강사를 만나 면담을 한 적이 있다. 이 때 만났던 연구참여자를 통해 교정 교육의 교재를 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정교육을 제공했던 단체에서 주최한 포럼이나 세미나 자료도 수집할 수 있었다. 총 5권의 자료를 받아 분석에 활용 하였다. 주요 분석 자료는 다음과 같다.

11) http://www.e824.com/auction/

자료유형 주요 발행기관

신문기사 동아일보, 중앙일보, 매일신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기독신문 등

대한민국 교정사, 교도소 100년사 등 법무부

연속 간행물(『새길』 , 『교정』 등) 법무부

대통령 담화문 등 국가기록원 등

범죄 통계 자료, 교도소 현황 등 법무부

교정교육 운영 지침 및 운영 계획안 등 법무부

각종 역사 자료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등

교정교육 강의 자료 인권 연대 등

교정교육 운영 결과 보고 각 교도소

교정교육 현황 분석, 교정교육 효과 분석,

수용자 처우 등 형사정책연구원, 관련 학회 등

교도관 및 출소자 수필, 자서전 각 출판사

범죄 통계 자료 통계청, 법무부 등

교정시설 문화예술 교육 운영 방안 등 문화관광부 등

학술 논문, 포럼, 세미나 등 각 학회

<표 Ⅲ-1> 주요 분석 자료

2) 면담 자료

두 번째, 자료는 면담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교정교육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는 시대마다 어떻게 변화하며 운영 되었는지, 교정교육의 기능은 어떠한 맥락과 담론 등의 영향으로 변화했는지 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 주제와 관련된 교정공무원과 교정 처우 담당자, 출소 자를 면담하였다.

면담은 특정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과 이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 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 과정이다(유기웅 외, 2012). 자료 수집 방법으로서의 면담은 일종의 형식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정 주제에 관심이 있는 연구 자와 그 주제와 연관된 연구 참여자 간의 대화라고 할 수 있다. 수집한 자료에 는 면담의 녹취파일, 연구노트, 주제와 관련하여 연구참여자가 지니고 있는 다 양한 자료 등이 포함된다.

연구자는 2017년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예비 조사를 위해 교정공무원과 이 야기를 나누고, 교도소를 방문한 적이 있다. 당시 일부 교정공무원과 교정교육 강사, 출소자와 면담을 하였다. 또한 교도소를 방문하여 교정 교육에 참여관찰 하였다.

번호 면담 대상 면담 날짜 및 시간 면담 내용

1 교정교육 강사 1인

2017년 1월 12일

약 1시간 수용자 인문학 교육의 목적과 내용, 의미, 내용 등

2017년 2월 23일

약 1시간 수용자 생활, 수용자 인문학 교육 과정, 만족도, 수용자 설문조사 결과 등 2 교정 공무원

1인

2017년 2월 21일 약 1시간 30분

수용자의 생활, 교정교육 참여 현황, 과정, 특징, 효과 등 3 교정 공무원

1인, 출소자 3인

2017년 3월 1일 약 2시간

수용자 생활, 교정교육 과정, 교도소의 규율 등

<표 Ⅲ-2> 예비조사 단계에서의 면담 일자와 내용

또한, 연구자는 본격적인 연구 수행에 앞서 2019년 ‘법무부 교정기관 국민참여 조직진단을 위한 국민참여단’에 참여하였다. 국민 참여 조직진 단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국민이 원하는 것 이 무엇인지 함께 논의하고, 국민의 시각에서 정부 조직·인력 운영과 업

무 처리 절차 등을 재검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12). 2019년 3월부터

4월간 사전워크숍, 1차 현장진단(서울남부구치소, 안양교도소 방문), 2차 현장진단(대전교도소, 청주여자교도소 방문), 집중토론회, 결과보고회 등 에 참여했다.

12) 2019. 2. 11. 뉴시스. 국민이 직접 재범방지 진단한다...법무부, 참여단 모집.

번호 방문 교도소 날짜 및 시간 관찰 내용

1 성동구치소 2017년 4월 6일 약 3시간

인성교육으로 진행되는 인문학교육(인권 교육), 강사의 태도, 수용자의 태도, 강사와

수용자의 상호작용, 교정공무원과 강사, 수용자의 상호작용 등 관찰

2 안양교도소, 서울남부구치소,

서울남부교도소

2017년 5월 1일 약 6시간

교도소와 구치소를 방문하여 수용자가 생활하는 수용실, 독방 등 관찰, 분류센터와 심리검사센터, 상담실 등 관찰, 직업교육(기계 배우는 교육, 한식조리반)과

도예품 만드는 모습 관찰

<표 Ⅲ-3> 예비조사 단계에서의 참여관찰 일자와 내용

번호 활동 제목 일자 및 장소 활동 내용

1 사전워크숍 2019. 3. 12.

안양교도소

국민참여 조직진단에 대한 정보와 사업에 대한 안내 사항 등 안내받음.

2 현장진단

2019. 3. 19.

대전교도소, 청주여자교도소

현장 공무원과 동행하여 직접 현장을 보고 토론함.

3 집중토론회 2019. 3. 21.

정부과천청사 현장진단에서 제시된 의견과 제안에 대해 심층 토론함.

4 결과보고회 2019. 4. 30.

서울동부구치소 서울동부구치소 둘러봄.

조직 진단한 과정과 결과를 공유함.

<표 Ⅲ-4> 국민참여단 참여 활동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