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389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교육학박사학위논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에 관한 연구

2021 년 8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평생교육전공

유 주 영

(3)
(4)
(5)
(6)

국 문 초 록

오늘날 감옥, 즉 교도소는 수용자의 교정교화를 목적으로 교정교육을 제공 하고 있다. 교도소(矯導所)는 형무소(刑務所)로부터 명칭이 변경되었다는 점 에서 교도소의 평생교육적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교도소가 교정교 육을 통해 수용자의 재사회화에 도움을 주고 있지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 도소의 기능은 충분히 조명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교육 기능의 변천을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기관으로 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정교육 의 기능을 분석하고,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본 후, 교정교육 기능의 유래와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각종 문헌 자료를 포함하여 교정공무원과 교정처우 관련자, 출소자를 대상으로 총 14명을 면담 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계보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정교육의 기능은 교정교육의 목적이 수행되면 서 나타났다. 교정교육의 목적은 내재적 목적인 함양과 개선, 외재적 목적인 자기규율과 국민의 범죄 불안감 해소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목적이 수 행되면서 나타나는 교정교육의 기능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노동 력 준비 기능과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 선택적 재사회화 기능이다.

첫째, 교정교육의 노동력 준비 기능은 수용자가 경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수용자를 출소 후 지식과 기술을 활 용할 수 있는 자, 인성을 함양한 노동자, 노동 기술 전수자로 변화하게 하였다.

둘째,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가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고 제 한할 수 있는 자로 변화하게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정교육의 절제자 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고 제한할 수 있는 자, 타인과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자로 변화하게 하였다.

셋째,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교육이나 작업 활동 등에 다소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자로 변화하게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정

(7)

교육의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무지에서 벗어난 자, 타율적 인 자로 변화하게 하였다.

넷째, 선택적 재사회화의 기능은 수용자가 출소 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다 양한 요소 중 일부만 재사회화가 되게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교정교육 의 선택적 재사회화의 기능은 수용자를 마음이 치유된 자, 출소 후 취업을 위 해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자로 변화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교정교육 기능의 유래와 변천을 분석하기에 앞서 평생교육기관 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10년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약 110년의 역사를 7개의 시대로 구분하여 시대마다 교도소의 운영과 전개, 수용자의 관리 방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 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는 다음과 같이 시대마다 운영과 수용자 관리 방식이 다르게 전개되었다. 첫째, 1910년부터 1945년 일제강점기 감옥의 명칭 은 형무소로 변경되었고, 처벌의 주된 방식은 신체형이었다. 형무소는 조선인 수감자를 황국신민으로 변화시키고자 통제를 강화했고, 수형기록카드를 통해 이들을 관리하였다.

둘째, 1946년부터 1961년 형무소는 혼란 속에서 교정 조직을 정비하였다. 일 본으로부터 해방된 이후 우리나라는 미군정기와 한국 전쟁을 겪으며 혼란을 겪었고, 형무소의 수용자 인원도 급증했다. 한편으로 1950년 행형법을 제정함 으로써 교정 행정의 틀을 마련하기도 했다. 당시 형무소는 사상범에 대한 관 리를 강화했고, 모범 수형자를 선발하여 수용자의 통제를 강화하기도 하였다.

셋째, 1962년부터 1979년 형무소는 교도소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응보행형에 서 벗어나 교육행형을 추구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교도소는 사회에서 부 조리를 근절하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났던 것의 영향으로 교도소에서도 각종 부조리가 고발되었다. 교도소는 분류처우와 교도소 내부의 규칙 등을 마련하 여 수용자를 관리했다.

넷째, 1980년부터 1992년 교도소는 수용자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이 시기 교도소는 각종 탈주 사건이 벌어지면서 ‘범죄학교’라고 불렸다. 당시 정부는

「사회악 일소 특별조치」, 범죄와의 전쟁 등을 발표하여 불량배와 폭력범 등

(8)

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교도소는 「사회보호법」과 특별권력관계론을 통해 수용자를 관리했다.

다섯째, 1993년부터 2006년은 수용자의 학습권이 확대된 시기다. 이 시기에 는 인권 담론이 확대되면서 수용자의 읽을 수 있는 권리, 교육받을 권리 등이 확대될 수 있었다. 이 시기 교도소는 IMF 외환 위기의 여파로 과밀 수용 상태 가 되었지만, 인권 담론의 확대로 가석방 기준이 완화되어 많은 이들이 가석 방될 수 있었다. 교도소의 과밀수용을 해소하기 위해 민영교도소 설립 근거도 마련되었다. 수용자의 관리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수용자를 선발하거나 배제하는 방식으로 수용자를 관리했다. 사회보호법이 폐지되면서 수용자의 신 체를 통한 관리는 축소되었다.

여섯째, 2007년부터 2013년은 교정에 치료적 관점을 도입한 시기다. 이 시기 교도소는 교정국이 교정본부로 승격되면서 교정 조직이 확대되었다. 2008년 조두순 사건과 2010년 김길태 사건이 벌어지면서 심리치료 등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등 많은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영향으로 교도소는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범죄자를 위주로 관리했다. 한편으로 수용자의 인권 인 식이 신장되면서 고소와 고발 등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교도관은 수용자를 달 래는 방식으로 이들을 관리하기도 하였다.

일곱째, 2014년부터 현재의 시기는 수용자 처우의 과학화가 이루어진 시기 다. 교도소는 사회에서 범죄에 대한 불안감이 상승한 것의 영향으로 과밀수용 상태가 되었다. 교도소는 수용자를 평가하고 분류하는 도구를 만들어 이들을 분류하며 관리하였다. 또한, 민간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수용자의 관리 방식 에 변화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한 것을 토대 로 교도소 기능의 유래와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우선, 노동력 준비 기능은 일제강점기 수용자를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자가 되게 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후 노동력 준비 기능은 수용자를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자, 노동 기 술 전수자로 변화하게 한 것으로 기능이 변화하였다. 1960년대 노동력 준비 기능은 수용자를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자가 되게 했고, 이는 199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1997년 IMF 외환 위기 이후 노동력 준비 기

(9)

능은 수용자를 생계를 해결할 수 있는 자로 변화하게 했다. 현재 노동력 준비 기능은 직업훈련의 확대로 수용자가 출소 후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자가 되게 하고, 인성 담론의 영향으로 인성을 갖춘 노동자로 변화하게 한다.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은 전옥서 시대 수용자를 타인과 어울려 살 수 있는 자로 변화하게 한 것에서 유래했다. 이후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은 일제강점기 에는 권력에 순응하는 자, 행동을 조절하고 제한하는 자, 1950년대는 공산주의 사상을 갖지 않는 자로 변화하게 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는 반공 이데올로 기가 사회에 확산되면서 수용자를 공산주의 사상을 갖지 않는 자로 변화하게 하는 기능이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당시 사회에서 근면, 성실 등이 강조된 영 향으로 수용자를 근면하고 성실한 자로 변화하게 하기도 했다. 1980년대는 신 군부 정권이 지배했던 시기로,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정부에 저항 하지 않는 자로 변화하게 했다. 현재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은 성폭력 담론의 영향으로 수용자를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고 제한하는 자와 타인과 어 울려 살 수 있는 자로 변화하게 한다.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일제강점기 수감자를 기초학력 소지자로 변화하게 한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당시 일본은 조선인 수감자를 황국신민화 하기 위해 학과교육 등을 제공하였던 것에서 이를 알 수 있었다. 해방 이후 1950년대는 문맹퇴치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던 영향으로 기초학력 소지자가 되게 하는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확대되었다. 1970년대 형식적 참여 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무지에서 탈출한 자로 변화하게 했다. 당시에는 범죄자를 가난하고 무지한 자로 보는 담론이 확대된 것의 영향으로 교도소는 수용자에게 학과교육을 제공하였다. 1980년대 교도소는 수용자에게 정신교육 에의 참여를 강요하여 이들을 타율적인 자로 변화하게 했다. 1990년대 후반 고등교육이 확대된 것의 영향으로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다시 무지에서 탈출한 자로 변화하게 했다. 2014년 이후의 시기는 수용자가 의무적으로 집중인성교육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에서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이들을 타율적인 자로 변화하게 했다. 현재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은 수용자를 무지에서 탈출한 자, 타율적인 자로 변화하게 한다.

(10)

마지막으로, 선택적 재사회화의 기능은 일제강점기 수감자를 출소 후 취업 을 위해 지식과 기술을 다시 습득해야 하는 자로 변화하게 한 것에서 유래했 다. 당시 수감자는 형무소에서 익혔던 지식과 기술을 출소 후 활용하는 데에 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출소 후에 취업을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을 다시 습 득해야 했다. 해방 이후 선택적 재사회화의 기능은 수용자를 반공 사상을 지 닌 자로 변화하게 했다. 1970년대는 1인 1기가 시행되면서 수용자를 출소 후 취업을 위해 다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자로 변화하게 하는 기능이 다시금 확대되었다. 현재 선택적 재사회화의 기능은 수용자를 출소 후 취업을 위해 다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해야 하는 자가 되게 하고, 심리치료 등이 본격 적으로 시행되면서 수용자를 마음이 치유된 자로 변화하게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정교육의 기능과 평생교육의 기능은 차이가 있음을 논의하고, 교정교육과 평생교육의 실천과 학문 분야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평 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 과정을 논의하였다. 교도소는 우연하게 일어난 사건과 사고에 의해 정부나 법무부, 일반 시민, 수용자의 인식에 영향 을 미쳤다. 인식은 학습자로서 수용자에 대한 인식을 말한다. 인식의 주체들은 우연히 일어난 사건과 사고로 학습자로서 수용자를 이전 시대와는 다르게 인 식했고, 이는 인식의 격차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의 격차는 평생교육기관으 로서 교도소의 기능에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학습이라는 개념의 의미가 변화했다는 점을 논 의하고, 학습 개념의 발전에 대해 논의하였다. 넷째, 교정교육이 과학적이고 체계적 발전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계보학 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정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대했다. 둘째, 평생교육의 기 능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였다. 셋째, 학습자로서 교도소 수용자를 재조명하였 다. 넷째, 시대마다 학습 개념의 의미가 변화했다는 것을 논의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을 관리하는 행정기관과 연 구기관이 수용자를 학습자로 이해하고 교정교육을 출소 후에도 꾸준히 지원

(11)

할 필요가 있으며, 교정교육의 운영에 있어 평생교육 전문가가 참여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교도소 교육, 교정교육, 평생교육, 학습자로서 수용자, 평생교육기관

학 번 : 2014-31184

(12)

목 차

국문초록 ···i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6

3. 주요 용어의 정리 ···8

가. 수용자 ···8

나. 교도소 ···9

II. 이론적 배경 ···10

1. 평생교육과 교정교육 ···10

가. 평생교육 ···10

나. 교정교육 ···15

2. 한국 교도소와 교정교육의 현황 ···20

가. 한국 교도소의 현황 ···20

나. 한국 교정교육의 현황 ···26

다. 교정교육 관련 선행연구 분석 ···34

3. 학습자로서 수용자 ···46

(13)

가. 성인학습의 개념과 이론 ···46

나. 수용자 학습권 논의 ···57

III. 연구방법 ···61

1. 계보학 연구방법 ···61

2. 자료의 수집 및 분석 ···66

가. 자료의 수집 ···66

나. 자료의 분석 ···74

3. 연구의 윤리 ···78

IV. 연구 결과 ···80

1. 교정교육의 목적과 기능 ···80

가. 교정교육의 목적 ···82

나. 교정교육의 기능 ···111

2.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 ···140

가. 전옥서 시대: 인본주의 처벌 ···140

나. 1910년-1945년: 형무소로 명칭 변경과 신체형 처벌 ···143

다. 1946년-1961년: 혼란 속에서의 교정 조직 정비 ···154

라. 1962년-1979년: 교도소로 명칭 변경과 교정 이념의 도입 ···· 162

(14)

마. 1980년-1992년: 수용자 통제의 강화 ···173

바. 1993년-2006년: 수용자 학습권의 확대 ···188

사. 2007년-2013년: 교정에의 치료적 관점의 도입 ···201

아. 2014년-현재: 수용자 처우의 과학화 ···219

3. 교정교육 기능의 유래 및 변천 ···230

가. 노동력 준비 기능의 유래 및 변천 ···230

나. 절제자로의 변화 기능의 유래 및 변천 ···236

다. 형식적 참여자로의 변화 기능의 유래 및 변천 ···252

라. 선택적 재사회화 기능의 유래 및 변천 ···271

V. 논의 및 결론 ···279

1. 요약 ···279

2. 논의 ···284

가.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284

나.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 과정 ···286

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화에 담긴 학습 개념의 가변성 ···296

라. 교정교육 발전에 대한 논의 ···301

3. 결론 ···303

(15)

참 고 문 헌 ···308

<부록 1> 연구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교정공무원 등) ··· 339

<부록 2> 연구참여자용 설명서 및 동의서(출소자) ···345

<부록 3> 인터뷰 질문지(교정공무원) ···350

<부록 4> 인터뷰 질문지(목사, 강사, 교정처우 관련자) ···351

<부록 5> 인터뷰 질문지(출소자) ···352

<부록 6>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 ··· 353

Abstract ···361

(16)

표 목 차

<표 Ⅱ-1>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12

<표 Ⅱ-2> 교정교화에 관한 다양한 정의 ···17

<표 Ⅱ-3> 교정교육에 관한 정의 ···19

<표 Ⅱ-4> 수용자 성별 인원 ···20

<표 Ⅱ-5> 수형자 연령별 인원 ···21

<표 Ⅱ-6> 수형자 죄명 인원 ···22

<표 Ⅱ-7> 수형자 형명·형기별 인원 ···23

<표 Ⅱ-8> 수형자 입소경력별 인원 ···24

<표 Ⅱ-9> 경비처우급별 인원(2019.12.31. 기준) ···25

<표 Ⅱ-10> 검정고시반 참여 인원 ···27

<표 Ⅱ-11> 검정고시 합격 인원 ···27

<표 Ⅱ-12> 전문대학 위탁교육으로 전문학사를 취득한 수형자의 수 · 28 <표 Ⅱ-13> 방송통신대학교 참여자 및 졸업자 수 ···30

<표 Ⅱ-14> 수형자 인성교육 현황 ···30

<표 Ⅱ-15> 수형자 외국어 교육 현황 ···31

<표 Ⅱ-16> 수형자 정보화 자격 취득 현황 ···32

<표 Ⅱ-17> 전문대학 위탁교육으로 전문학사를 취득한 수형자의 수 · 33 <표 Ⅱ-18> 성폭력 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수료 현황 ···34

(17)

<표 Ⅱ-19> 수형자 하위문화의 분류 ···42

<표 Ⅲ-1> 주요 분석 자료 ···69

<표 Ⅲ-2> 예비조사 단계에서의 면담 일자와 내용 ···70

<표 Ⅲ-3> 예비조사 단계에서의 참여관찰 일자와 내용 ···71

<표 Ⅲ-4> 국민참여단 참여 활동 내용 ···71

<표 Ⅲ-5> 연구 참여자 주요 특징 ···73

<표 Ⅳ-1> 집중인성교육 영상자료 주제 및 교육 내용 ···85

<표 Ⅳ-2> 집중인성교육(Ⅱ) 시간 배분표 ···87

<표 Ⅳ-3> 직업훈련 직종 및 종목 분류 ···91

<표 Ⅳ-4> 직업훈련 수료 인원 ···91

<표 Ⅳ-5> 기능경기대회 입상 현황 ···92

<표 Ⅳ-6> 인문학 교육의 주요 내용 ···95

<표 Ⅳ-7> 성폭력 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내용 ···98

<표 Ⅳ-8> 전체 수형자 대비 고등교육 참여자 수 비율 ···102

<표 Ⅳ-9> 성폭력 사범 재범 위험성 평가지 ···104

<표 Ⅳ-10> 교정시설 성폭력 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과정 구분 ··· 104

<표 Ⅳ-11> 교정시설 성폭력 사범 심리치료 프로그램 과정 구분 ··· 105

<표 Ⅳ-12> 위험관리수준 평가 항목 ···106

<표 Ⅳ-13> 규율위반자 심리치료 프로그램 수료 현황 ···107

<표 Ⅳ-14> 교정교육의 기능 ···111

(18)

<표 Ⅳ-15> 기능자격 취득 현황 ···114

<표 Ⅳ-16> 집중인성교육 Ⅱ와 Ⅲ의 공통 프로그램 교육목적 및 주요 내용 ···131

<표 Ⅳ-17> 소망교도소 영성스쿨 과정 ···133

<표 Ⅳ-18> 모범교도소 집금대상자 처우반 편성 내용 ···170

<표 Ⅳ-19> 1982년부터 1991년 교도소 수용자의 입소경력 ···182

<표 Ⅳ-20> 가석방인원과 전체수형자 석방인원 ···194

<표 Ⅳ-21> 교육카드 예시 ···213

<표 Ⅳ-22> 수용자 정보공개청구 현황 ···215

<표 Ⅳ-23> 교정공무원 피고소 고발 현황 ···216

<표 Ⅳ-24> 제1심 형사공판사건 재판결과별 누년 비교표 ···223

<표 Ⅳ-25> 수감자 동작시한표(動作時限表) ···238

<표 Ⅳ-26> 1960년대∼1970년대 신입 수용자 교육 과정 ···239

<표 Ⅳ-27> 1960년대∼1970년대 출소예정자 교육 과정 ···239

<표 Ⅳ-28> 순화교육 교육내용과 시간 계획 ···245

<표 Ⅳ-29> 정신교육 내용 ···247

<표 Ⅳ-30> 성폭력 사범 교화프로그램 ···249

<표 Ⅳ-31> 소망교도소 영성스쿨 변천 과정 ···251

<표 Ⅳ-32> 소망교도소 공감인성 변천 과정 ···252

<표 Ⅳ-33> 1969년 교정시설 수용자 학력별 현황 ···257

<표 Ⅳ-34> 1970년 교육단계별 취학률 ···258

(19)

<표 Ⅳ-35> 1971년 대구교도소 성인교육 과정 ···259

<표 Ⅳ-36> 1971년 대구교도소 성인교육 수업 시간표 ···259

<표 Ⅳ-37> 집중인성교육의 종류 ···266

<표 Ⅳ-38> 집중인성교육 유형별 교육대상, 교육시간, 교육기관 ··· 267

<표 Ⅳ-39> 집중인성교육 변경 주요 내용 ···269

<표 Ⅳ-40> 개정된 정신교육 내용 ···276

<표 Ⅳ-41> 누리품 교육 1단계 교육 내용 ···277

<표 Ⅴ-1> 교정교육 기능의 변천 ···282

<표 Ⅴ-2>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화 ···288

<표 Ⅴ-3> 학습 개념의 의미 변화 ···297

(20)

그 림 목 차

[그림 Ⅳ-1] 수용자의 교정교화 모습을 설명하는 사진 ···135

[그림 Ⅳ-2] 유관순과 의열단원의 수형기록카드와 인물카드 ···151

[그림 Ⅳ-3] 비전향자 표식 ···153

[그림 Ⅳ-4] 틀 밥(일명 ‘가다밥’) ···160

[그림 Ⅳ-5] 철창 속의 별천지 ···168

[그림 Ⅳ-6] 1980년대 후반 금서의 해제 ···177

[그림 Ⅳ-7] 교정시설에서 사회보호법의 적용 모습 ···199

[그림 Ⅳ-8] 2013년 여성가족부 ‘성범죄 알림e’ 홍보 영상 장면 ···208

[그림 Ⅳ-9] 범죄 피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 및 직간접적인 위해 경험률 ···222

[그림 Ⅳ-10] 1972년 재소자 정서교육 조례행사 ···242

[그림 Ⅳ-11] 1970년 대구교도소 수용자 생활 수준별 분류 ···257

[그림 Ⅳ-12] 1967년 서울교도소 신문열독실 ···273

[그림 Ⅴ-1]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 과정 ···287

(21)
(22)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에서 평생교육은 5·31 교육개혁을 기점으로 눈부신 양적 성장을 이루었 다. 학습자의 범위도 확대되어 장애인, 새터민, 이주 여성, 노숙인 등에게도 교 육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범죄를 저지른 자인 교도소 수용자에게도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최영신 김선희, 박선영, 2016; 유주영, 강대중, 2019). 이에 따라 교도소도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도소가 평생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교도소라는 명칭은 평생교육의 방향성을 내포하고 있다. 교도 소는 형무소에서 그 명칭이 변화한 것이다. 형무소(刑務所)는 형벌에 대한 업 무를 하는 곳이라는 의미로서 범죄자에게 죄에 합당한 벌을 주는 응보행형을 추구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1961년 죄를 지은 사람을 바로잡아 인도하는 곳이 라는 의미로 “교정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를 목적으로 하는 교도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를 위해 교도 소는 교정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수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교도소는 성인의 변화를 추구하는 가장 역사가 깊은 형식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이 등장하면서 성인은 학습할 수 있는 존재로서 주목받 았고, 사회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평생교육기관들이 생겨났다. 그러 나 이러한 평생교육기관들이 본격적으로 생겨나기 이전에 죄를 지은 성인을 수용하는 교도소에서는 이미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했다. 예컨대, 조선 의 ‘옥(獄)’에서는 인본주의에 바탕을 두고 죄인을 단순히 격리하는 것을 넘어 반성의 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이 교정교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법무부, 2007;

이언담, 2007).

(23)

셋째, 교정교육이 평생교육의 한 유형이라는 것은 대학 평생교육의 시초에 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학 평생교육은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 는데, 이때 핵심적인 학습자 중 하나가 교도소 수용자였다(양흥권, 2019). 예를 들어, 대구대학교는 1975년 경주, 대구, 안동 등의 교도소를 방문하여 수용자 를 대상으로 방문형 평생교육을 운영했고, 1978년에는 김천교도소 방문대학을 설치하였다(양흥권, 2019). 이와 같이 교정교육은 평생교육의 확대라는 사회적 맥락 속에서 확장되어 왔다. 오늘날 교도소는 수용자에게 검정고시, 독학에 의 한 학사학위 취득 과정, 방송통신대학교, 전문대학 위탁교육, 직업훈련, 집중인 성교육 등의 다양한 교정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법」에 따르면, 교정교육은 평생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평생교육법」 제2조(정의) 제1항에서 평생교육이란 “학교의 정규교육 과정을 제외한 학력보완교육, 성인 문자해득교육, 직업능력 향상교육, 인문교 양교육, 문화예술교육, 시민참여교육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 육활동”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교정교육도 학과 교육과 인문 교육 등을 제공 한다는 점에서 평생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교정교육은 교도소 수용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행하는 모든 교육 이고(송태호, 1995; 남상철, 1998; Davis et al, 2014), 평생교육은 인간의 전 생 애 동안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교육이라면(한숭희, 2010; 강대중, 2019) 교 정교육은 범죄자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평생교육의 일 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도소는 수용자를 교정교화하여 이들이 출소 후 사회에 안정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교육행형을 추구하는(법무부, 2007;

조기룡, 2007; 조흥식, 이형섭, 2014) 특별한 형태의 평생교육기관이다.

그러나 평생교육의 양적 발전 속에서 사회에서는 범죄자에게 교정교육을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찬반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신문기사에 의 하면, 국민 대부분은 수용자에게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부정적이다(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뉴스. 2019. 10. 4., 머니투데이. 2019. 1. 4.). 그러나 교도소 수용자 는 다시 사회로 복귀할 국민의 한 사람이고, 복귀 이후 사회 속에서 사람들과 공존해야 한다는 점에서 교정교육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될 필요가 있

(24)

다. 따라서 더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모두에게 기회가 열려있는 평생 학습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교정교육은 그 필요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요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평생교육기관으 로서 교도소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소수에 불과하다. 수용자를 학습자로 인정 하고, 이들에게 제공하는 교육인 교정교육에 관한 연구 역시 매우 부족하다.

교정교육에 관한 연구는 주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김형탁, 1971; 고재유, 1984; 이훈규, 이정규, 1996; 신용해, 2012; 천 정환, 2012; 최영신, 김선희, 박선영, 2015; Tewksbury & Stengel, 2006)과 교 정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안경선 외, 2000; 양혜 경, 2013; 이상범, 2019; Hawke & Ritter, 1988; Hrabowski & Robbi, 2002;

Steurer & Smith, 2003; Chappell, 2003; Case et al, 2005; Davis et al, 2014).

학습자로서 수용자의 교육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Costelloe, 2003; Hall &

Killacky, 2008; Behan, 2014; Addae, 2020; Manger et al, 2020)와 교도소 문화 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민수홍, 2011; 윤옥경, 2011; 장종선, 2015;

Clemmer, 1940; Bottoms, 1999; O’DONNELL & Edgar, 1999). 이러한 연구들 은 교정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그 효과를 수치로 제시하거나 수 용자의 교정교화를 위해 교육참여 동기와 교도소 문화가 중요한 요소임을 밝 혔다는 점에서 교정교육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 중 교정교육을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 는 매우 소수에 불과하다. 매우 소수의 연구자만이 교정교육의 평생교육적 성 격에 주목하였다(김형탁, 1971; Baldursson, Karsikas, & Kuivajärvi, 2009). 예 를 들어, 국내 연구 중에서는 교도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성인교육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연구가 수행되기도 하였다(김형탁, 1971). 그러나 이마저도 교도소의 평생교육적 기능에 대한 검토로 확장되지 못하였다.

또한, 교정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교정교육 프로그램 단위에 주목하여 교 정교육의 효과 혹은 영향요인을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계 가 있다. 즉,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가 현재의 기능을 수행하기까지의 통

(25)

시적 변천 과정에 주목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평생교육의 수행기관으로서 교 도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정교육의 기능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 습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탐구할 필요가 있다.

교정교육과 같은 교육 장치는 정책과 제도, 담론 등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 다는 점(하연섭, 2010; Makse & Volden, 2011; Link & Reece, 2021)에서 교정 교육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등의 맥락에 따라 목적과 내용 등이 변화했을 것이고, 이에 따라 교정교육의 기능도 달라졌을 것이다. 교정교육 기능을 거시 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은 교정교육과 평생교육을 이해하는 데 있어 기본이 되는 분석 작업이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기 위 해서는 현재 교정교육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어떠 한 맥락과 담론 속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평생교 육기관으로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평 생교육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 평생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이 어떠한 과정 을 통해 변화하는지, 그리고 더 나아가 평생교육을 포함하는 학습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정교육의 목적과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후 교정교육 기능의 유래와 변천을 분석하기에 앞서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을 분석하였다.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은 일제강점기 인 1910년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약 110년의 역사를 7개의 시대로 구 분하여 어떠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과 담론의 영향에서 교도 소의 운영이 달라졌으며, 수용자의 관리 방식이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정교육의 기능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학문적, 실천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학문적 으로 교정교육의 기능이 시대마다 변화했던 맥락과 담론 등을 분석함으로써 교정교육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로서 수용자와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여 평생교육의 학

(26)

문적 논의를 확장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실천적으로는 수용자 학습권의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발전을 위한 실천적 시 사점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7)

2. 연구 문제

이 연구의 목적은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평생 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 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교육의 목적과 기능은 어떠한가?

교정교육이 수용자의 교정교화를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에서 평생교육이 라고 할 수 있다면, 교도소는 평생교육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평생교육기 관으로서 교도소에 대한 이해는 교정교육의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교정교육의 기능은 교정교육의 목적이 수행되며 나타나는 결과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정교육이 어떠한 목적 을 지니고 있는지, 이러한 목적이 수행되면서 나타나는 교정교육의 기능은 어 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둘째,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역사적 흐름은 어떠한가?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도소가 시 대마다 어떻게 변화하며 운영되었고, 수용자 관리 방식은 어떻게 달라졌는지 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교정교육은 시대마다 교도소 운영의 전개와 수용자 관리 방식에 따라 변화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대마다 교도소가 어떠한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과 담론 속에 서 어떻게 변화하며 운영되었는지, 수용자 관리 방식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정교육의 기능은 어떠한 과정으로 어떻게 변화했는가?

교정교육의 기능은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맥락과 담론의 영향 속 에서 변화하였을 것이다. 교도소를 평생교육기관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정

(28)

교육이 어떠한 맥락과 담론 속에서 어떻게 기능을 수행했고, 어떻게 변화했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정교육 기능의 유래를 찾고, 각 기능이 어떠한 맥락과 담론의 영향으로 변화하여 현재의 기능을 하고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29)

3. 주요 용어의 정리

가. 수용자

교정시설에 수용된 자는 수용자와 수형자 등으로 불린다.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법률 제16925호) 제2조는 수용자, 수형자, 미결 수용자, 사형확정자에 대한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수용자란 “수형자·미결수용자·사형확정자 등 법률과 적법한 절차에 따라 교 도소·구치소 및 그 지소(이하 “교정시설”이라 한다)에 수용된 사람”을 말한다.

수형자란 “징역형·금고형 또는 구류형의 선고를 받아 그 형이 확정되어 교정 시설에 수용된 사람과 벌금 또는 과료를 완납하지 아니하여 노역장 유치명령 을 받아 교정시설에 수용된 사람”이다. 미결수용자는 “형사피의자 또는 형사 피고인으로서 체포되거나 구속영장의 집행을 받아 교정시설에 수용된 사람”

이고, 사형확정자는 “사형의 선고를 받아 그 형이 확정되어 교정시설에 수용 된 사람”이다. 즉, 수용자는 형이 확정된 수형자와 형이 확정되지 않은 미결수 용자 등을 포함하여 부르는 말이다.

교정시설에 수감된 자를 수용자라고 부르는 것 외에도 재소자나 재감자 등 으로도 부르는데, 이는 시대마다 다르다. 예컨대, 일제강점기까지는 대부분 수 감자나 수인, 재감자 등으로 불렸다면 해방 이후에는 대부분 재소자라고 불렀 다. 이후 2018년부터는 공식적으로 재소자는 수용자로 불리게 되었다. 법무부 가 2018년 5월 24일 보도자료를 발표함에 따라 행정용어 순화가 대대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를 교정시설에 수용된 자라고 정의하고, 대부분 서술 은 수용자라고 하였지만, 시대적 배경과 맥락상 수감자 혹은 재소자, 수형자 등으로 부르는 것이 적합할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혼용하였다.

(30)

나. 교도소

수용자를 수용하는 시설은 교정시설이라고 불린다. 교정시설은 크게 교도소 와 구치소로 나뉜다.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법률 제 16925호) 제 11조에 의하면 교도소는 19세 이상의 형이 확정된 자인 수형자를 수용하는 곳이고, 구치소는 형이 확정되지 않은 미결수용자를 수용하는 곳이 다. 교정시설에서는 수용자의 교정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데 목 적이 있고, 이를 위해 수용자에게 교정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수형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에 집중하여 평생교육기관으 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분석 및 해석하였다. 구치소에서도 수용자에게 교 육을 제공하고 있지만 본 연구는 평생교육기관으로서 교도소의 기능 변천을 고찰하고자 했기 때문에 교도소에 집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31)

II.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과 교정교육

가. 평생교육

1)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은 학교 교육의 학교와 아동, 청소년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전 생애 중심,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되며 도입된 개념이다(김신일, 2010;

한숭희, 2010; 강대중, 2019). 평생교육론의 초기 주창자였던 Lengrand는 1965 년 12월 파리 유네스코의 ‘성인교육발전위원회(International Commitee for the Advancement of Adult Education, INESCO)’의 ‘평생교육(L’education premanenté)’이라는 보고서에서 인간은 평생동안 교육받을 권리가 보장되어 야 한다고 하였다(한숭희, 2010). 1970년에는 유네스코 사무국이 ‘세계교육의 해(International Year of Education)’의 기본 이념으로 평생교육을 제창했다.

1972년에는 Faure가 『존재를 위한 학습(Learning To Be)』를 펴내면서 “모 든 국가는 평생교육을 장래 교육정책의 중심 개념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다 (Faure, 1972: 181-182). 1996년에는 유럽연합(EU)이 ‘평생학습의 해(Year of Lifelong Learning)’을 제창했고, OECD는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학습 (Lifelong Learning for all)』 보고서에서 학령기 아동의 학교교육 뿐만 아니 라 전 생애 모든 사람의 가정과 직장, 지역사회와 같은 학교 외의 공간에서의 평생학습을 강조했다.

평생교육이란 생애주기에 따라 학령 전 교육, 학교교육, 청소년 교육, 성인 교육, 노년 교육을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면서 가정, 학교, 직업세계, 지 역사회 등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일어나는 교육을 말한다(강대중, 2019). 평생

(32)

교육은 학교 중심, 아동과 청소년 중심, 교수자 중심이 아닌 전 사회 중심, 전 생애 중심,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말한다(한숭희, 2010).

한국에서 평생교육은 성인교육(adult education),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등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교육적 시도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강대중, 2019). 한국에서 평생교육 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자리잡은 것은 1980년 10월 27일에 전문 개정된

「헌법」에 반영되면서 부터다. 당시 「헌법」 에는 제27조 제5항 “국가는 평 생교육을 진흥해야 한다” 제6항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고 명시하였다.

평생교육의 확대는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으로 이어졌다. 평생학습사회는 인 간의 학습과 교육이 사회 전체에서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해있 는 사회를 말한다(한숭희, 2010). 평생학습사회란 인간이 전 생애에 걸쳐 학습 할 수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김신일(2010)은 어느 사회에서나 학습을 관 리하는 장치를 발전시켰다며 타율적 학습관리와 자율적 학습관리를 말하였다.

학습의 타율적 관리는 교사나 지배자 등 타인에 의해 학습이 관리되는 것으로 서 학습 금지, 억제, 방해, 방임, 권장, 지원, 학습강제의 스펙트럼으로 이루어 져있다. 학습의 자율적 관리는 자신이 학습활동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정리하면, 평생교육은 인간의 전 생애동안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교육 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확대와 함께 구축된 평생학습사회는 인 간이 전 생애에 걸쳐 학습할 수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2) 평생교육의 영역

평생교육이 확대되자 김진화 외(2010)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이 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상담하고 컨설팅하고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 체계 를 만들었다.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총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6대 영역은 기초문해 교육, 학력보완 교육, 직업능력 교육, 문화예 술 교육, 인문교양 교육, 시민참여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문해 교육은

(33)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생활 속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을 말한다. 학력보완 교육은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 명시된 학력 인증과 관련된 평생교 육이다. 직업능력 교육은 직업에 필요한 자격과 조건을 준비하고 역할과 직무 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문화예술 교육은 문 화예술적 능력을 숙련시키고 일상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하 는 평생교육이다. 인문교양 교육은 전인적인 성품과 다양한 소양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시민참여 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을 개발하고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평생교 육 프로그램의 분류체제는 다음 <표 Ⅱ-1>과 같다.

6대 영역 정의

기초문해 교육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문자해득능력과 생활 속에서 직 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주어진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해활용 능력을 개발하고 초등학력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 교육

학력보완 교육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 명시된 소정의 학력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이수단위 및 학점과 관련된 학력인증 평 생교육

직업능력 교육

직업에 필요한 자격과 조건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주어진 역할 과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 문화예술

교육

문화예술적 상상력과 창의력을 촉진하고 문화예술 행위와 기능 을 숙련시키는 일련의 과정과,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 하고 접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평생교육

인문교양 교육

특정 직업에 필요한 전문지식 및 기술 획득을 위한 학습보다는 교양을 갖춘 현대인으로서 전인적인 성품과 다양한 소양을 개발 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 육

시민참여 교육

현대의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을 개발하며, 사 회통합 및 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지원하 는 평생교육

출처: 김진화 외(2010): 222-223 일부 인용.

<표 Ⅱ-1>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34)

3) 평생교육의 기능

평생교육의 기능은 교육 기회 확대의 기능, 대안학습 과정 기능,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 사회 변화 생성수단 기능, 경제발전 기능 등이 있다(Coombs, 1968; Kim, 1984; 윤솔지, 2015). 우선, 평생교육이 교육 기회의 확대 기능을 한다는 것은 다양한 학습자에게 평생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평생교육이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성인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 하거나 이들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자격증이나 졸업장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Jarvis, 1985).

둘째, 대안학습 과정 기능을 한다는 것은 평생교육을 학교교육에 대한 대안 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다시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보완교육과 학교교육을 수 료했거나 중단한 자에 대한 보충교육으로 구분된다. 보완교육은 학교교육 기 관이 제공한 교육을 보완하거나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와 중·고등학교 및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이다. 보충교육은 학교교육에 어느정도 참여했던 자에게 학교나 기관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교육이 다. 예컨대, 기초문해교육이나 직업훈련 등이 여기에 속한다. 교육 내용은 주 로 일상생활과 직업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위주로 한다.

셋째, 평생교육은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경제 계 층의 구분에 따라 다른 수준의 평생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체제를 유지 하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정규 학교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지 못했거나 중단 한 자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 는 평생교육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공민학교, 방송통신고등학교, 산업 체 부설학교 등은 학교교육 기회를 받지 못한 자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이를 볼 수 있다(윤솔지, 2015). 그러나 평생교육으로 체제가 유지된다 는 것은 이들에게 제공되는 평생교육이 일반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Evans, 1981). 위에서 예로든 공민학교 나 방송통신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내용은 문해력, 수리력의

(35)

기본, 영양과 농업 등을 낮은 수준으로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평생교 육은 체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Kim, 1984).

넷째, 평생교육은 사회 변화 생성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사회 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를 도모하는 수단이라는 것을 말한다(Kim, 1984). 평 생교육이 사회 변화를 만든다는 것은 특히 소외계층 등 사회로부터 박탈된 그 룹을 위한 의식 제고를 끌어올리는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Freire가 해방교 육을 말한 것과 같이, 도시 빈민층이나 저소득층 등 정규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소외계층에게 평생교육을 제공하여 사회에 급진적 변화를 가져오 는 것에서 볼 수 있다(윤솔지, 2015). Kindervatter(1979)는 학습자가 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힘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것을 임파워링(empowering) 과정 즉, 힘을 돋우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임파 워링의 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는 학습자가 기술을 습득하고 삶 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고, 2단계는 이러한 행동을 통해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고, 3단계는 기술과 자신감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 자는 자신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한다는 것이다(Kindervatter, 1979). 평생교육에서 임파워링 과정은 개인의 변화보다는 시스템 변화에 초점이 있다(Kim, 1984). 즉, 평생교육은 사 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함을 말한다.

다섯째, 평생교육은 경제 발전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학습자의 잠 재력을 계발하여 이들을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자로 만드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Cooms, 1968). 평생교육은 학습자에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 는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적 자원으로 개발하는 것을 말 한다(윤솔지, 2015).

평생교육의 기능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은 낙관적인 관점과 비판적인 관점 으로 나뉜다. 평생교육의 기능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은 평생교육이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여 학습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본다(Coombs, 1968; Jarvis, 1985). 평생교육이 학교교육으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했던 자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을 인적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

(36)

적인 관점이다. 반면, 평생교육의 기능에 대한 비판적인 관점은 평생교육이 사 회구조적 모순을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Gelpi, 2018). 평생교육은 중산층 위주 로 제공되고 학습자의 사회, 경제적 배경에 따라 다른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즉, 평생교육은 학습자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이들이 성 장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한편으로 평생교육은 불평 등을 강화하거나 사회구조적 모순을 반영하여 기능한다는 점에서 비판받기도 한다.

나. 교정교육

교도소의 목적은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법률 제 16925호. 2020. 8. 5. 시행) 제1조에 명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수형자의 교정 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데에 있다. 우리나라는 행형의 목적을 수용자의 재사회화에 있음을 분명하게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1년 감옥의 명칭을 형무소에서 교도소로 변경한 것과 같이, 교도소에서는 수형자의 교정 교화를 위해 교육형주의를 추구하고 있다(법무부, 2007; 조기룡, 2007; 조흥식, 이형섭, 2014). 이를 위해 교도소에서는 교정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교정교육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기에 앞서 교정교화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한다. 교정교화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Stevens & Usherwood, 1995; Phelps, 2012). 우선, ‘교정(矯正)’이란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의 것을 바 로 잡아 고치는 것을 뜻한다. 의학 분야에서 교정이란 인간의 질병이나 성격 을 고친다는 의미지만, 교정학이나 법학 등에서는 범죄자 혹은 비행자를 변화 시켜 사회의 일원으로 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기하리, 2012). 이백철 (2016)은 교정이란 수용자를 대상으로 교정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는 제반교정 행위를 포함하여 교정시설 밖의 학교나 가정, 일반사회 단체 등에서도 이루어 지는 행위를 포함한다고 하였다. 형벌 자체를 교정으로 보는 입장도 있다. 송 태호(1995)는 교정을 Correction(교정) 외에 Penal administration(형정(刑政))

(37)

을 번역한 말이라고도 하였다. 그 이유는 Liepmann이 “형벌은 교육이다”고 말한 것과 같이 교도소에 감금되고 처벌이 이루어질 때도 수용자는 변화할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송태호, 1995: 33).

‘교화(敎化)’란 인간을 가르쳐서 변화하게 한다는 의미다. 이는 원래 의학이 나 심리학, 정신의학의 전문 용어로서 환자가 수술 후 회복하여 정상적인 생 활로 돌아가기 위해 Rehabilitation Center에서 요양을 하게 한다는 데에서 비 롯되었다(김병주, 1989). 이것이 교도소에 도입되어 범죄자도 회복이 필요한 자로서 정책 등이 운영되어야 한다고 본 것이다. 교정 분야에서 교화 (rehabilitation)이란 수용자가 이에 수반되는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사회의 일 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의미한다(Lewis, 2005)

우리나라에서 교정교화라는 용어는 1950년에 제정된 「행형법」 제 1조 “수 형자를 격리하여 교정교화하며 건전한 국민사상과 근로정신을 함양하고 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에 복귀하게 하며 아울러 미결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사 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명시하여 교정교화의 이념을 확고히 했다.

교정교화(矯正敎化)의 한자를 보면, 바로잡을 교(矯), 바를 정(正), 가르칠 교 (敎), 될 화(化)이다. 한자어의 뜻대로 하면, 교정교화란 교도소 수용자를 올바 르게 바로잡아 가르쳐 변화시킨다는 의미다. 교정교화에 대한 학자의 정의가 다른 것은 영어의 rehabilitation을 ‘교정’, ‘교화’, 혹은 ‘사회복귀’ 등으로 다양 하게 부르기 때문이다(기하리, 2012; 이백철, 2016). 아래 <표 Ⅱ-2>는 교정교 화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를 정리한 표이다.

(38)

정리하면, 교정교화는 수용자의 재사회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교도소 의 재사회화는 일반교육기관의 사회화와 구분되어 설명된다(Wheeler, 1966).

예를 들어, 사회화를 추구하는 교육기관은 일반적 교육이 주를 이루지만, 재사 회화를 추구하는 교도소는 수용자의 결함을 발견하고 일탈된 행동을 바로잡 기 위해 고안된 교육이 이루어진다(이백철, 2016). 교도소는 수용자의 재사회 화와 교정교화를 위해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교도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은 교도소 교육 혹은 교정교육으로 불린다.

선행연구를 보면, 교도소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육을 크게 교도소 교육(Prison

연구자 정의

김용우

(1981) 수용자에게 개전(改悛)을 촉진하여 사회생활에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

정갑섭 (1993)

재범을 방지하고 교정교육을 통해 건전한 사회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

송태호 (1995)

범죄자를 대상으로 시설내 처우와 사회내 처우의 교정교화 교육 을 통해 개전을 촉진하고 재범을 방지하여 사회인으로 재복귀하 여 원만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천정환

(2012) 수용자의 지적, 정서적, 의지적 측면의 왜곡된 인격을 바로잡는 것.

Glickman

(1983) 도덕적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

McGuire &

Priestley (1985)

개인의 일상 문제인 거주, 일, 가족, 복지, 재정 관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회 복귀를 의미함.

Lynch (2000)

범죄자를 사회적으로 정의된 비전향(non-deviant) 시민으로 변화 시키거나(transformation) 표준화했다고(normalizing) 말할 수 있 는 담론이나 실천으로, 심리적 프로그램, 마약 치료 프로그램, 교 육적 프로그램, 직업훈련 프로그램, 작업과 거주 지원, 중간처우 의 집 등을 포함하는 것.

Lewis (2005)

수용자가 이에 수반되는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을 이전 상태로 개선되도 록 하는 것.

<표 Ⅱ-2> 교정교화에 관한 다양한 정의

(39)

education)으로 부른 학자(Esperian, 2010; Behan, 2014; Germain, 2014)와 교 정 교육(Correctional education)으로 부른 학자(송태호, 1995; 이백철, 양승은, 1995; 이훈규, 이정규, 1996; 이일노, 2008; 신용해, 2012; Klein et al, 2004;

Tewksbury & Stengel, 2006; Davis et al, 2014; Bazos & Hausman, 2004;

Vandala, 2019)로 구분된다. 교도소 교육과 교정교육은 모두 교도소에서 수용 자의 교정교화를 위해 실시되는 교육이라는 점에서 의미의 큰 차이는 없다.

그럼에도 엄밀하게 구분하자면 연구의 내용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교도 소 교육(Prison education)이라고 부른 학자들은 주로 교도소에서 실시되고 있 는 교육 프로그램 전반을 일컬으며 연구를 수행했다. 반면, 교정교육 (Correctional education)이라고 부른 학자들은 대부분 교도소에서 추구하는 교육행형의 이념을 강조할 때 사용하거나 교육 이후 수용자의 교정된 정도인 교정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즉, 교도소 교육과 교정교육은 교도소에서 수용자에게 제공되는 교육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지 만 학자에 따라 교정(correction)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는지 등에 따라 용어 의 사용이 다르게 나타난다. 아래 <표 Ⅱ-3>은 교정교육에 관한 학자의 정의 를 정리한 표다.

(40)

정리하면, 교정교육이란 교정시설 수용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교정시설 내부 와 외부에서 시행되는 모든 학습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교정교육은 학습자의 변화를 위한 목적으로 학습활동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평생교육의 종류 중 하 나라고 할 수 있다. 성인을 수감하는 교도소에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성인 교육의 일환으로서 매우 중요하고(Haulard, 2001), 성인교육은 평생교육 개념 과 맞닿아있다는 점(강대중, 2019)에서 교도소 교육 즉, 교정교육은 평생교육 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정교육이 평생교육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면 교도소는 평생교육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 정의

이백철, 양승은 (1995)

모든 사회구성원이 비행자나 범죄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안고 있 는 비행성 혹은 범죄적 요소를 순화시키고, 동시에 준법시민으로 서 사회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기여할 수 있는 자로 변화 시키기 위해 이들이 존재하는 모든 장소에서 행하는 제반활동.

송태호 (1995)

수용자에게 교회, 생활지도, 정서지도 등의 목적적 교육과 교과 교육, 직업훈련 등의 수단적 교육 등의 정신적, 지식적, 기능적 교육을 실시하여 사회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여 자주적, 자립적 인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교정시설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적 활동.

남상철 (1998)

수용자의 범죄적 심성을 순화시켜 재범에 이르지 않고 사회의 유용한 일원으로 복귀시키고자 하는 교육.

김용구, 김재경 (2009)

수용자의 반사회적 인성을 제거하여 갱생과 사회복귀를 촉진하 기 위해 행하는 모든 교육.

박영숙 (2010)

범죄자의 잘못된 품성이나 행동을 바로 잡고 출소 후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정시설에서 행해지는 모든 교육.

이백철 (2016)

범죄자를 변화시키기 위해 혹은 그들 스스로가 변화할 수 있도 록 지원하며 주변 삶의 환경을 개선하고 사회적 기회를 증진시 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과 기술.

조극훈 (2015)

수형자에게 자신의 삶에 대해 성찰하고 의미있는 삶에 대해 고 민하게 하여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도록 지원하는 것.

Bazos &

Hausman (2004)

수용자에게 범죄적 하위문화(criminal subculture)가 제거된 교육 문화를 제공함으로써 친사회적 규범(prosocial norms)을 학습하 도록 하는 것.

Davis et al(2014)

교정시설에서 제공하는 학력 교육, 직업 교육, 진로 기술 교육 (Career Technical Education) 등의 모든 교육.

<표 Ⅱ-3> 교정교육에 관한 정의

(41)

2. 한국 교도소와 교정교육의 현황

가. 한국 교도소의 현황

1) 수용자 성별 인원

<표 Ⅱ-4>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연도별 수용자의 성별 분포를 나타 낸 표다. 수형자와 미결수용자 모두 남자의 비율이 많다. 여자 수형자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여자 미결수용자는 2013년 7.9%를 기록한 후 약간 감 소하다가 2018년 8.2%로 증가했다.

구분 계 수형자 미결수용자

소계 남 여 여성

비율 소계 남 여 여자

비율 2010 45,681 31,981 30,534 1,447 4.5 13,700 12,772 928 6.7 2011 45,038 31,198 29,694 1,504 4.8 13,840 12,915 925 6.7 2012 46,708 31,434 29,863 1,571 5.0 15,274 14,263 1,011 6.6 2013 48,824 32,137 30,525 1,612 5.0 16,687 15,376 1,311 7.9 2014 51,760 33,444 31,661 1,783 5.3 18,316 17,008 1,308 7.1 2015 54,667 35,098 33,122 1,976 5.6 19,569 18,026 1,543 7.9 2016 57,675 36,479 34,281 2,198 6.0 21,196 19,488 1,708 8.1 2017 55,198 36,167 33,905 2,262 6.3 19,031 17,520 1,511 7.9 2018 54,169 35,271 32,932 2,339 6.6 18,898 17,340 1,558 8.2 2019 54,099 34,697 32,384 2,313 6.7 19,402 17,863 1,539 7.9 출처: 법무연수원(2021): 348.

<표 Ⅱ-4> 수용자 성별 인원

(단위: 명, %)

2) 수형자 연령별 인원

<표 Ⅱ-5>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수형자의 연령별 분포를 나타낸 표 다. 표를 보면, 50대와 60대 수형자는 점점 늘어나고 있어 수형자의 연령이 고 령화되어 가는 추세를 볼 수 있다.

(42)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계 31,981

(100) 31,198 (100)

31,434 (100)

32,137 (100)

33,444 (100)

35,098 (100)

36,479 (100)

36,167 (100)

35,271 (100)

34,697 (100) 16세

미만 1 (0.0)

2 (0.0)

16 (0.1)

6 (0.0)

3

(0.0) - 2 (0.0)

4 (0.0)

1 (0.0)

0 (0.0) 18세

미만 46 (0.1) 49

(0.2) 70 (0.2) 55

(0.2) 50 (0.1) 47

(0.1) 46 (0.1) 45

(0.1) 35 (0.1) 41

(0.1) 20세

미만 304 (1.0) 231

(0.7) 251 (0.8) 280

(0.9) 270 (0.8) 262

(0.7) 290 (0.8) 244

(0.7) 248 (0.7) 231

(0.7) 25세

미만

2,457 (7.7)

2,153 (6.9)

2,147 (6.8)

2,327 (7.2)

2,514 (7.5)

2,609 (7.4)

2,642 (7.2)

2,484 (6.9)

2,335 (6.6)

2,255 (6.5) 25세

이상

3,295 (10.3)

2,899 (9.3)

2,539 (8.1)

2,366 (7.4)

2,247 (6.7)

2,244 (6.3)

2,450 (6.7)

2,562 (7.1)

2,779 (7.9)

2,860 (8.2) 30세

이상 8,436 (26.4) 8,018

(25.7) 7,681 (24.4) 7,677

(23.9) 7,584 (22.7) 7,678

(21.8) 7,678 (21.0) 7,543

(20.9) 7,059 (20.0) 6,834

(19.7) 40세

이상 9,925 (31.0) 9,708

(31.1) 9.714 (30.9) 9,714

(30.2) 9,989 (23.9) 10,310

(29.5) 10,275 (28.2) 9,712

(26.9) 9,307 (26.4) 8,637

(24.9) 50세

이상

5,386 (18.4)

6,344 (20.3)

6,866 (21.8)

7,362 (22.9)

7,989 (23.9)

8,624 (24.5)

9,255 (25.4)

9,330 (25.8)

9,067 (25.7)

9,033 (26.0) 60세

이상

1,641 (5.1)

1,794 (5.8)

2,150 (6.8)

2,350 (7.3)

2,801 (8.4)

3,324 (9.7)

3,841 (10.6)

4,243 (11.6)

4,440 (12.6)

4,802 (13.8) 출처: 법무연수원(2021): 349.

<표 Ⅱ-5> 수형자 연령별 인원

(단위: 명(%))

3) 수형자 죄명 인원

<표 Ⅱ-6>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수형자의 죄명별 인원을 나타낸 표 다. 표를 보면, 절도와 강도는 매년 감소했지만 사기·횡령은 매년 증가하여 2019년에는 23.1%를 기록했다. 성폭력범은 2014년 6,284명으로 18.8%을 차지 한 이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며 2019년에는 5,717명으로 16.5%를 차지했다.

(43)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계 31,981

(100)

31,198 (100)

31,434 (100)

32,137 (100)

33,444 (100)

35,098 (100)

36,479 (100)

36,167 (100)

35,271 (100)

34,697 (100) 절도 5,898

(18.4) 5,315 (17.0)

4,752 (15.1)

4,650 (14.5)

4,599 (13.8)

4,420 (12.6)

4,061 (11.1)

3,858 (10.7)

3,681 (10.4)

3,549 (10.2) 폭처법 2,430

(7.6)

2,343 (7.5)

2,396 (7.6)

2,582 (8.0)

2,748 (8.2)

2,863 (8.2)

2,815 (7.7)

2,624 (7.3)

2,544 (7.2)

2,509 (7.3) 사기·

횡령 3,897 (12.2)

3,951 (12.7)

4,150 (13.2)

5.024 (15.6)

5,911 (17.7)

6,834 (19.5)

7,699 (21.1)

7,630 (21.1)

8,028 (22.8)

8,024 (23.1) 성폭

력범

4,394 (13.7)

4,877 (15.6)

5,215 (16.6)

5,845 (18.2)

6,284 (18.8)

6,272 (17.9)

5,953 (16.3)

5,480 (15.2)

5,713 (16.2)

5,717 (16.5) 마약류

관리법 1,336

(4.2)

1,339 (4.3)

1,295 (4.1)

1,380 (4.3)

1,344 (4.0)

1,553 (4.4)

1,890 (5.2)

2,133 (5.9)

1,329 (3.8)

1,996 (5.8) 과실범 1,175

(3.7)

1,123 (3.6)

1,257 (4.0)

1,315 (4.1)

1,463 (4.4)

1,423 (4.0)

1,691 (4.6)

1,722 (4.8)

1,894 (5.4)

1,851 (5.3) 강도 3,882

(12.1) 3,623 (11.6)

3,506 (11.2)

3,276 (10.2)

3,014 (9.0)

2,821 (8.0)

2,552 (7.0)

2,333 (6.5)

2,036 (5.8)

1,919 (5.5) 살인 3,785

(11.8) 3,729 (12.0)

3,711 (11.8)

3,675 (11.4)

3,750 (11.2)

3,728 (10.6)

3,584 (9.8)

3,484 (9.6)

3,291 (9.3)

3,228 (9.3) 기타 5,184

(16.2) 4,898 (15.7)

5,152 (16.4)

4,390 (13.7)

4,331 (13.0)

5,184 (14.8)

6,234 (17.1)

6,903 (18.9)

6,755 (19.2)

5,904 (17.0) 출처: 법무연수원(2021): 351.

<표 Ⅱ-6> 수형자 죄명 인원

(단위: 명(%))

4) 수형자 형명·형기별 인원

<표 Ⅱ-7>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수형자의 형명·형기별 분포 현황을 나타낸 표다. 금고형은 매년 0.2% 정도를 차지하고, 징역형은 95%이상을 차 지한다. 징역형 중에는 형기 1년 이상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20년 이상은 매년 2% 미만으로 나타난다. 사형은 매년 60명 미만인 0.2%를 차지하고 있다.

(44)

구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계 31,981

(100) 31,198 (100)

31,434 (100)

32,137 (100)

33,444 (100)

35,098 (100)

36,479 (100)

36,167 (100)

35,271 (100)

34,697 (100)

징 역

소계 30,624 (95.8)

29,889 (95.8)

30,024 (95.5)

30,738 (95.6)

32,007 (95.7)

33,637 (96.0)

34,991 (95.9)

34,679 (95.9)

33,790 (95.8)

33,232 (95.8) 1년

미만 5,430 (17.0)

5,421 (17.4)

5,322 (16.9)

5,078 (15.8)

5,312 (15.9)

5,724 (16.3)

6,362 (17.4)

6,050 (16.7)

6,173 (17.5)

5,599 (16.1) 1년

이상 10,673 (33.4)

9,666 (31.0)

9,829 (31.3)

10,344 (32.2)

10,899 (32.6)

12,001 (34.2)

13,010 (35.7)

13,208 (36.5)

12,587 (35.7)

12,819 (36.9) 3년

이상 6,458 (20.2) 6,610

(21.2) 6,493 (20.7) 6,613

(20.6) 6,866 (20.5) 6,870

(19.6) 6,747 (18.5) 6,727

(18.6) 6,587 (18.6) 6,340

(18.3) 5년

이상 4,197 (13.1) 4,335

(13.9) 4,601 (14.6) 4,912

(15.3) 5,088 (15.2) 5,216

(14.9) 5,195 (14.2) 5,029

(13.9) 4,888 (13.9) 4,902

(14.1) 10년

이상 3,396 (10.6) 3,344

(10.7) 3,317 (10.6) 3,299

(10.2) 3,355 (10.0) 3,283

(9.4) 3,127 (8.6) 3,071

(8.5) 2,927 (8.3) 2,903

(8.4) 20년

이상 470 (1.5) 513

(1.6) 462 (1.5) 492

(1.5) 507 (1.5) 543

(1.7) 550 (1.7) 594

(1.6) 628 (1.8) 669

(1.9)

금 고

소계 72 (0.2) 45

(0.1) 84 (0.3) 53

(0.2) 60 (0.2) 67

(0.2) 86 (0.2) 73

(0.2) 81 (0.2) 66

(0.2) 6월

미만 4 (0.0) 2

(0.0) 2 (0.0) 1

(0.0) 4 (0.0) 5

(0.0) 8 (0.0) 1

(0.0) 1

(0.0) (0.0) 6월

이상 35 (0.1) 23

(0.1) 51 (0.2) 32

(0.1) 33 (0.1) 37

(0.1) 39 (0.1) 31

(0.1) 29 (0.1) 27

(0.1) 1년

이상 29 (0.1) 15

(0.0) 26 (0.1) 16

(0.1) 19 (0.1) 17

(0.0) 28 (0.1) 28

(0.1) 41 (0.1) 25

Gambar

[그림  Ⅳ-1]  수용자의  교정교화  모습을  설명하는  사진 출처:  무지개  프로젝트(사진  이갑철)
[그림  Ⅳ-2]  유관순과  의열단원의  수형기록카드와  인물카드
[그림  Ⅳ-3]  비전향자  표식  출처:  박경목(2015):  178.
[그림  Ⅳ-4]  틀  밥(일명  ‘가다밥’)  출처:  공주교도소(2020):  171.
+3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는 최고경영자가 겸손하면 사회화된 권력 사용으로 변화를 꺼리는 기존 경영진을 설득해 전략 변화 를 보다 원활히 이끌어낼 수 있으며 겸손한 최고경영자가 가지는 특징은 외부 출신 최고경영자가 부족한 기업 특유의 지식을 보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심리적 특징인 겸손함에 대한 연구를 심화했다는

제3절 관리연속성의 개념과 필요성 1.관리연속성의 개념 관리연속성이란 수사기관이 증거를 획득할 때부터 그 증거가 법원 에 현출되기까지 모든 관리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 없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41 관리연속성은 미국 증거법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 루어지는데, 증거의 확보, 보관, 이송 등 의 절차에서 이를 다루는 모든 사람,

특히 오피스 공간의 변화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오피스 내 상업시설의 변 화이다.오피스 공간 이용의 복합 형태 중 오피스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시설로 한정되어 제공되던 상업시설이 최근 대형의 임대 오피스 빌딩 공 급시장의 변화와 함께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또 한 오피스 재건축 시 대형 오피스 저층부의 활성화

a,bDifferent characters mea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Scheffe post-hoc analysis 제 4 절 치아 민감도 변화 8주 동안의 각 군간 치은출혈 지수의 변화는 Table 10과 같이, 대조군의 경 우 실험 기준일에 0.96, 최종값은

결과 분석 미취학 자녀를 둔 부모의 실제 육아 분담과 협상, 일 가족 양립 경험과 육아를 통한 부부간 관계의 변화 등 다양한 육아 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주제별로 나누어서 분석하고자 한다.. 대주제와 소주제는 표2와

7 2.1.1.3 본 연구에의 적용 본 연구 역시 진화경제학적 측면에서 접근을 하였는데, 여기에서 변이 variation는 산업 후발 주자의 기술융합에 의한 기술 혁신, 선별selection 은 시장 경쟁을 통한 빠른 시장 채택adoption 및 확산과 그에 따른 기술 패러다임 변화, 복제replication는 기술 패러다임

Ⅲ장에서는 실제 작품을 통해 예술과 사회 간의 관계를 논하고자 한 63 ‘일고수이명창一鼓手二名唱’라는 표현이 있을 정도로 판소리에서 반주를 담당 하는 고수의 역할은 절대적으로 중요하지만 본고에서는 예술사회학에서 판소리 작품의 창작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예술가는 ‘소리꾼’에 한정하기로 한다... 활동 시기가 다른 네 명의 소리꾼과

이에 로드용 바이 크와 타임트라이얼TT용 바이크를 이용하여 같은 부하와 속도로 페달링 을 할 경우 시트튜브 각도에 따른 하지의 관절각도 변화 및 근육의 활성 화 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시트튜브 각도가 철인3종경기의 경 기력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하여 6명의 엘리트선수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