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과 교정교육
가. 평생교육
1)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은 학교 교육의 학교와 아동, 청소년 중심의 패러다임에서 전 생애 중심,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되며 도입된 개념이다(김신일, 2010;
한숭희, 2010; 강대중, 2019). 평생교육론의 초기 주창자였던 Lengrand는 1965 년 12월 파리 유네스코의 ‘성인교육발전위원회(International Commitee for the Advancement of Adult Education, INESCO)’의 ‘평생교육(L’education premanenté)’이라는 보고서에서 인간은 평생동안 교육받을 권리가 보장되어 야 한다고 하였다(한숭희, 2010). 1970년에는 유네스코 사무국이 ‘세계교육의 해(International Year of Education)’의 기본 이념으로 평생교육을 제창했다.
1972년에는 Faure가 『존재를 위한 학습(Learning To Be)』를 펴내면서 “모 든 국가는 평생교육을 장래 교육정책의 중심 개념으로 삼아야 한다”고 하였다 (Faure, 1972: 181-182). 1996년에는 유럽연합(EU)이 ‘평생학습의 해(Year of Lifelong Learning)’을 제창했고, OECD는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학습 (Lifelong Learning for all)』 보고서에서 학령기 아동의 학교교육 뿐만 아니 라 전 생애 모든 사람의 가정과 직장, 지역사회와 같은 학교 외의 공간에서의 평생학습을 강조했다.
평생교육이란 생애주기에 따라 학령 전 교육, 학교교육, 청소년 교육, 성인 교육, 노년 교육을 종합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면서 가정, 학교, 직업세계, 지 역사회 등 다양한 생활 영역에서 일어나는 교육을 말한다(강대중, 2019). 평생
교육은 학교 중심, 아동과 청소년 중심, 교수자 중심이 아닌 전 사회 중심, 전 생애 중심,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말한다(한숭희, 2010).
한국에서 평생교육은 성인교육(adult education), 비형식교육(nonformal education),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등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교육적 시도들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강대중, 2019). 한국에서 평생교육 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자리잡은 것은 1980년 10월 27일에 전문 개정된
「헌법」에 반영되면서 부터다. 당시 「헌법」 에는 제27조 제5항 “국가는 평 생교육을 진흥해야 한다” 제6항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고 명시하였다.
평생교육의 확대는 평생학습사회의 구축으로 이어졌다. 평생학습사회는 인 간의 학습과 교육이 사회 전체에서 일종의 삶의 양식으로서 곳곳에 편재해있 는 사회를 말한다(한숭희, 2010). 평생학습사회란 인간이 전 생애에 걸쳐 학습 할 수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김신일(2010)은 어느 사회에서나 학습을 관 리하는 장치를 발전시켰다며 타율적 학습관리와 자율적 학습관리를 말하였다.
학습의 타율적 관리는 교사나 지배자 등 타인에 의해 학습이 관리되는 것으로 서 학습 금지, 억제, 방해, 방임, 권장, 지원, 학습강제의 스펙트럼으로 이루어 져있다. 학습의 자율적 관리는 자신이 학습활동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정리하면, 평생교육은 인간의 전 생애동안 다양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교육 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확대와 함께 구축된 평생학습사회는 인 간이 전 생애에 걸쳐 학습할 수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다.
2) 평생교육의 영역
평생교육이 확대되자 김진화 외(2010)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이 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상담하고 컨설팅하고자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 체계 를 만들었다.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총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6대 영역은 기초문해 교육, 학력보완 교육, 직업능력 교육, 문화예 술 교육, 인문교양 교육, 시민참여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문해 교육은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과 생활 속에서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을 말한다. 학력보완 교육은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 명시된 학력 인증과 관련된 평생교 육이다. 직업능력 교육은 직업에 필요한 자격과 조건을 준비하고 역할과 직무 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문화예술 교육은 문 화예술적 능력을 숙련시키고 일상 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하 는 평생교육이다. 인문교양 교육은 전인적인 성품과 다양한 소양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시민참여 교육은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을 개발하고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평생교육이다. 평생교 육 프로그램의 분류체제는 다음 <표 Ⅱ-1>과 같다.
6대 영역 정의
기초문해 교육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문자해득능력과 생활 속에서 직 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주어진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문해활용 능력을 개발하고 초등학력을 인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 교육
학력보완 교육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 명시된 소정의 학력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이수단위 및 학점과 관련된 학력인증 평 생교육
직업능력 교육
직업에 필요한 자격과 조건을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주어진 역할 과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육 문화예술
교육
문화예술적 상상력과 창의력을 촉진하고 문화예술 행위와 기능 을 숙련시키는 일련의 과정과, 일상생활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 하고 접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평생교육
인문교양 교육
특정 직업에 필요한 전문지식 및 기술 획득을 위한 학습보다는 교양을 갖춘 현대인으로서 전인적인 성품과 다양한 소양을 개발 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겸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평생교 육
시민참여 교육
현대의 민주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을 개발하며, 사 회통합 및 공동체 형성과 관련하여 시민참여를 촉진하고 지원하 는 평생교육
출처: 김진화 외(2010): 222-223 일부 인용.
<표 Ⅱ-1>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계
3) 평생교육의 기능
평생교육의 기능은 교육 기회 확대의 기능, 대안학습 과정 기능,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 사회 변화 생성수단 기능, 경제발전 기능 등이 있다(Coombs, 1968; Kim, 1984; 윤솔지, 2015). 우선, 평생교육이 교육 기회의 확대 기능을 한다는 것은 다양한 학습자에게 평생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평생교육이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성인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 하거나 이들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자격증이나 졸업장으로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Jarvis, 1985).
둘째, 대안학습 과정 기능을 한다는 것은 평생교육을 학교교육에 대한 대안 으로 보는 것이다. 이는 다시 학교교육을 보완하는 보완교육과 학교교육을 수 료했거나 중단한 자에 대한 보충교육으로 구분된다. 보완교육은 학교교육 기 관이 제공한 교육을 보완하거나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와 중·고등학교 및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이다. 보충교육은 학교교육에 어느정도 참여했던 자에게 학교나 기관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교육이 다. 예컨대, 기초문해교육이나 직업훈련 등이 여기에 속한다. 교육 내용은 주 로 일상생활과 직업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위주로 한다.
셋째, 평생교육은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경제 계 층의 구분에 따라 다른 수준의 평생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체제를 유지 하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정규 학교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지 못했거나 중단 한 자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체제 유지 수단의 기능을 수행하 는 평생교육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예컨대, 공민학교, 방송통신고등학교, 산업 체 부설학교 등은 학교교육 기회를 받지 못한 자들에게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이를 볼 수 있다(윤솔지, 2015). 그러나 평생교육으로 체제가 유지된다 는 것은 이들에게 제공되는 평생교육이 일반 사회에서의 학교 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Evans, 1981). 위에서 예로든 공민학교 나 방송통신고등학교 등에서 제공하는 평생교육의 내용은 문해력, 수리력의
기본, 영양과 농업 등을 낮은 수준으로 제공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평생교 육은 체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Kim, 1984).
넷째, 평생교육은 사회 변화 생성수단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사회 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를 도모하는 수단이라는 것을 말한다(Kim, 1984). 평 생교육이 사회 변화를 만든다는 것은 특히 소외계층 등 사회로부터 박탈된 그 룹을 위한 의식 제고를 끌어올리는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Freire가 해방교 육을 말한 것과 같이, 도시 빈민층이나 저소득층 등 정규 학교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소외계층에게 평생교육을 제공하여 사회에 급진적 변화를 가져오 는 것에서 볼 수 있다(윤솔지, 2015). Kindervatter(1979)는 학습자가 사회에서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힘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것을 임파워링(empowering) 과정 즉, 힘을 돋우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임파 워링의 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는 학습자가 기술을 습득하고 삶 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고, 2단계는 이러한 행동을 통해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고, 3단계는 기술과 자신감이 증가함에 따라 학습 자는 자신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한다는 것이다(Kindervatter, 1979). 평생교육에서 임파워링 과정은 개인의 변화보다는 시스템 변화에 초점이 있다(Kim, 1984). 즉, 평생교육은 사 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함을 말한다.
다섯째, 평생교육은 경제 발전의 기능을 한다. 이는 평생교육이 학습자의 잠 재력을 계발하여 이들을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자로 만드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Cooms, 1968). 평생교육은 학습자에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 는 지식과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여 인적 자원으로 개발하는 것을 말 한다(윤솔지, 2015).
평생교육의 기능에 대한 학자들의 관점은 낙관적인 관점과 비판적인 관점 으로 나뉜다. 평생교육의 기능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은 평생교육이 변화하는 사회에 대처하여 학습자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본다(Coombs, 1968; Jarvis, 1985). 평생교육이 학교교육으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했던 자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들을 인적 자본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