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자립경제강국과 지식경제강국 강조 가) 자립경제강국

자력

갱생의 원칙에 입각한 자립적 민 족경제 건설노선은 김일성 시대

부터 이어진 북한의 주요 경제정책 기조이다. 김정은이 “우리식 사회 주의의 전력사를 쥐어짜면 자력갱생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113)라 고 언

급할 정도이다. 그는 2013년 경공업대회에서 “경공업 부문에서

심각한 문제의 하나가 원료, 자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것”이라고 지 적했다. 또한 “수입병은 경공업발전의 걸림돌”로 규정하면서 “경공업 원료, 자재문제를 풀기 위한 근본방도는 원료, 자재의 국산화를 실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114)

2016년 신년사에서

“사회주의강성국가건설에서 자강력제일주의를 높

이 들고나가야” 한다며 ‘자강력제일주의’가 등장했다.115) 동년 5월 개

된 제7차 당대회에서 자강력제일주의는 “자체의

힘과 기 술, 자원에

의거하여 주체적 력량을 강화하고 자기의 앞

길을 개척

해나가는 혁명정 신

”이라며 이를 “항구적인 전략적 로선”으로 삼을 것을 강조했다.

116)

“사회주의강국건설을 우

리의 힘과 기술, 자원에 의거하여 자력갱생, 간 고분

투의 혁명정신 ”

117)으로 밀고 나가자고 강조한 것은 2016년 4차 핵 실험 이

후 심화된 국제 경제 제재의 압박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에서도 사회주의 경제강국을 건설하기 위해서 는 자립경제강국 건설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인민경제의 주체화로선, 자력

갱생구호를 더욱 높이 추켜들고 나라의 경제를 우리의 힘, 우리의

술, 우리의 자원에 의거하는 자립적인 경제로 발전시키

기 위한 투쟁”

을 지속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118) 이에 따라 경공업 부문을 중심으로 원

료와 자재 및 설비의 국산화가 강조 되고 있으며

, 금속 부문에서는 ‘주 체

철’ 생산과 함께 ‘주체적인’ 제철

‧제강기술의 발전, 화학공업 부문에 서는 ‘탄소하나화학공업’, 기계공업 부문에서는 ‘우리식’ 기계제품의 개 발과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119) 이러한 자력갱생, 자력자강, 자력부강

114)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전국경공업대회에서 하신 연설,” 뺷로동신문뺸, 2013.3.19.

115) “신년사,” 뺷로동신문뺸, 2016.1.1.

116)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에서 한 당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뺷로동신문뺸, 2016.5.8.

117) 위의 기사.

118)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2차 전원회의에 관한 보도,” 뺷로동신문뺸, 2017.10.8.

119) 이석기 외, 뺷2017년도 북한경제 종합평가 및 2018년 전망뺸(세종: 산업연구원, 2018), p. 181.

강조 기조는 2019년 2월 하노이 노딜 이후 강력한 대북 제재 극복을 위한 내부

결집 차원에서 더 욱 강화되고 있

다.

나) 지

식경제강국

김정은 정권은 “자립경제강국, 지식경제강국이

바로 사회주의 경

제강국”이라고 주장하며120) 과학기술이 경제성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북한은 강성대국 추진 원년인 1998년부

터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했으며, 김정은 집권기

에는 4차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2013~2017)을 실행했다. 김정은 정권은 과학기술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2012년 신년사를 통 해 “새 세기 산업혁명은 최첨단돌파전으로 우리 식의 지식경제강국을 일떠세우기 위한 성스러운 투쟁이며 우리 당이 내세운 사회주의건설 의 웅대한 전략적로선”이라고 밝혔다.121) 또한, “현시대는 과학기술 의 시대, 지

식경제시대이며 과학기술의 발전수준에 의하여 국력이 결

정되고 나라와 민족의 지위와 전도가 좌우”122)된다며 “현시기에 우리 가 건설하는 경제강국은 과학기술을 원동력으로 하는 지식경제강 국”123)

임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 2016년 7차 당대회에서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정보화, 과

학화”를 언급하였는데

이는 북한이 1977년 제2차 7개년 계획을 확정 하면서 주력해

온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에 정보화를 새 롭 게 추가한 것이다.

124) 인민경제의 정보화란 “경제 모든 부문들을 정

120)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에서 한 당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뺷로동신문뺸, 2016.5.8.

121) “위대한 김정일동지의 유훈을 받들어 2012년을 강성부흥의 전성기가 펼쳐지는 자랑찬 승리의 해로 빛내이자,” 뺷로동신문뺸, 2012.1.1.

122) “김정은원수님께서 연회에서 하신 연설,” 뺷조선중앙통신뺸, 2012.12.21.

123)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2013년 3월 전원회의에서 하신 보고,”

보설비들로 장비하고 그에 의하여 생산 활동과 경영활동을 진행하는 것

”을 의미하며,

125) 궁극적으로 생산의 자동화와 무인화, 컴퓨

터를 이

용한 통합관리체제

확립을 목표로 한다.

126)

2014년 12월에는 발명법을 개정하여 발명에 대한 기술이 국가에

귀속되는 발명권보다 기관

‧기업소‧단체에 귀속되는 특허권 등록이

많아지도록 했다.

127) 이는 기업소‧단체의 기술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기업소 간 기술개발 경쟁을 촉진하여 과학기술 발전을 도 모하고자 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Ⅱ-20> 북한의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구자 지원사업 연구과제뺸(2016), pp. 16~17.

125)림영화, “인민경제 정보화는 현 시기 경제 발전의 중요 요구,” 뺷경제연구뺸, vol. 2002, issue 2 (2002), pp. 14~17, 재인용: 위의 책, p. 17.

126)영화, “생산 정보화와 그 실현에서 나서는 몇 가지 문제,” 뺷경제연구뺸, vol. 2003, issue 1 (2003), pp. 29~30, 재인용: 위의 책, p. 17.

127) 홍제환, 뺷김정은 정권 5년의 북한경제: 경제정책을 중심으로뺸, p. 49.

과학기술발전 1차 5개년 계획 (1998~2002)

과학기술발전 2차 5개년 계획 (2003~2007)

과학기술발전 3차 5개년 계획 (2008~2012)

과학기술발전 4차 5개년 계획 (2013~2017)

인민 경제 기술 개건

에너지 문제 해결

(6개 부문) 인민경제의 기술적 개건 (8개 중요부문

53개 대상)

인민경제 4대 선행부문

(전력, 석탄, 금속, 철도운수)

에너지문제 해결 (전력생산, 전기절약)

기간산업 정상화 (5개 부문)

인민경제의 개건, 현대화 (자원, 채취, 기계,

화학, 건설건재, 국토환경)

공업 주체화, 현대화 (금속, 화학, 석탄, 기계, 전자, 건설건재, 경공업, 국토환경, 도시경영) 인민생활 개선

(6개 부문)

인민생활 향상 (7개 부문)

식량문제 해결 (농업, 수산, 경공업,

보건)

먹는 문제 해결 (농업, 축산, 과수,

수산)

출처: 이춘근김종선, “북한 김정은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변화와 시사점,” 뺷STEPI Insight뺸, 제173호 (2015), p. 9.

(다) 대내경제정책: 우리식 경제관리방법

김정일 정권은 2002년 가

임금

‧환율의 현실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7‧1경제관리개선조치(이하 7‧1 조치)를 시행했다. 7‧1조치는 본

격적인 시장지향적 개혁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128) 북한은 이러한 7‧1 조치를 채택한 이후에도 시장 친화적 조 치와 시장 통제적 조치를 번갈아가면서 채택하여 지그재그식 개혁을 추진했다.

김정은 역시 권력 승계 직후인 2011년 12월 28일 경제관리 개선방 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2012년 초 ‘내각 상무조(T/F)’

를 구성하여 개선안을 마련했다.129) 2014년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을 확립할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5.30 담화’를

통해 이를 공식화하여 기업을 포함한 각 경제주체들의 자율성을 제고 하기 위한 조치를 추진했다.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은 김정은 경제정책 의 핵심이다. 김정은은 이를 “생산수단에 대한 사회주의적 소유를 확

128) 한기범,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1차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1998~2002)

2차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2003~2007)

3차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2008~2012)

4차 과학기술발전

5개년 계획 (2013~2017)

기초, 첨단기술 (5개 부문)

첨단과학기술 (5개 부문 37개

대상)

첨단과학기술 (IT, NT, BT, 에너지, 우주, 해양,

레이저/플라즈마)

첨단기술 비중 제고 (IT, BT, NT, 신소재,

신에너지, 우주) 기초과학

(4개 부문)

기초과학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리)

기초과학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리)

고히 고수하면서 국가의 통일적 지도밑에 모든 기업체들이 경영활동 을 독자적으로, 창발적으로 해나감으로써 생산자 대중이 생산과 관리 에서 주인으로서의 책

임과 역할을 다하도록 하는 사회주의기업관리방 법”이라고 설명한다.

130) 이는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는 인정하지 않는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체제를 유지하면서도 개별 경제주체들의 자율성 을 인정하고, 인센티브를 확대해 시장의 효

율성을 활용한 경제 개선을

추진하

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경제에 대한 지도와 관리를 객 관적 경제법칙과 과학적 리치에 맞게하여 최대한의 경제적 실리를 보

장하여야 한다”며 실리를 강조하고

있다.

131)

이에 따라 북한은 농업 및 기업 부문의 책임관리제를 실시했다. 농업 부문에서는 분조관리제 안에서의 포전담당책임제를 도입했다. 2014년

「농장

법」 개정을 통해 제4조에서 ‘농장책 임관리제’를 삽입하였으며, 제

22조에 ‘분조관리제 안에서의 포전담당책임제’를 명문화했다. 농장지표 개

념 도입을 통해 계획권을 확대하는 한편, 조직권과 판매권을 확대하

고 재정운영권을 강화, 분배제도를 개편하는 등 농장의 자율성과 권한 이 확대되었다.132) 공업 부문에서는 기업의 자율권을 부여하는 사회주 의기업책임관리제를 도입했다. 특히 ‘5.30 담화’에서는 이 제도가 “공 장, 기업소, 협동단체들이 생산수단에 대한 사회주의적 소유에 기초해 실제적인 경영권을 갖고 기업활동을 창발적으로 해 당과 국가 앞에 지

임무를 수행하며, 근로자들이 생산과 관리에서 주인으로서의 책임과

할을 다하게 하는 기업관리방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133)

130) “경애하는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2013년 3월 전원회의에서 하신 보고,”

뺷로동신문뺸, 2013.4.2.

131) “김정은 ‘5‧30담화’와 내각 상무조,” 뺷통일뉴스뺸, 2015.1.6., <http://www.tongilnews.

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421> (검색일: 2020.6.9.).

132) 이석기 외, 뺷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개혁 연구 -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을 중심으로 -뺸(세 종: 산업연구원, 2018), p. 250.

133) “김정은 ‘530담화’와 내각 상무조,” 뺷통일뉴스뺸, 2015.1.6., <http://www.tongil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