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문별 예산계획 종합

Ⅰ. 생태 가치를 높이는 자원관리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자원특성 및 분포를 고려한

생물다양성 향상 635 1,020 839 839 839 839 839 839 839 836 8,364 2. 서식환경 개선을 통한

생태계 건강성 증진 391 517 353 253 257 207 113 69 69 63 2,292 3. 지속가능한 보전·관리

기반 구축 54 251 356 51 86 47 52 47 52 47 1,043

4. 청정한 공원환경 관리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0

합 계 1,325 2,033 1,793 1,388 1,427 1,338 1,249 1,200 1,205 1,191 14,149

Ⅱ. 자연이 주는 혜택의 공유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탐방관리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0

2. 탐방만족 극대화

서비스 제공 490 490 490 490 430 430 430 430 430 430 4,540 3. 탐방편의 증진

공원시설 관리 5,565 13,612 4,747 1,323 2,783 473 373 373 273 273 29,795 합 계 6,300 14,347 5,482 2,058 3,458 1,148 1,048 1,048 948 948 36,785

20,000 16,000 12,000 8,000 4,00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16,000 12,000 8,000

4,00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자원보전 탐방시설 안전재난 지역협력

Ⅲ.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현장중심의 통제관리

인프라 확대·운영 628 157 157 22 22 22 22 22 22 22 1,096

2. 현장 접점에서의

재난·안전관리 1,060 520 520 420 420 420 415 415 415 415 5,020 3. 대국민 재난·안전

이해도 증진 79 65 65 55 55 56 56 56 56 56 599

합 계 1,767 742 742 497 497 498 493 493 493 493 6,715

Ⅳ. 참여와 협력의 파트너십 강화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국민소통 및 참여 활성화 81 149 149 81 81 81 81 81 81 81 946

2. 이해관계자와의

거버넌스 구축 84 104 104 84 84 84 84 84 84 84 880

3. 지역사회 상생협력

동반성장 335 306 106 56 56 56 56 56 56 56 1,139

합 계 500 559 359 221 221 221 221 221 221 221 2,965

<그림 6-1>

연도별 전체 예산 추이

<그림 6-2>

연도별 업무분야 예산 추이

<표 6-1>

<표 6-1>

부문별 예산계획 종합

213 212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2. 서식환경 개선을 통한 생태계 건강성 증진(2)

2-7. 인공림(일본잎갈나무) 관리

조림지 복원 등 112 204 160 160 144 144 924

2-8. 산림병해충 관리강화

예찰 및 병해충 관리 4 5 5 5 5 5 5 5 5 5 49

합 계 391 517 353 253 257 207 113 69 69 63 2,292 3. 지속 가능한 보전·관리 기반구축

3-1. 신규 생물자원 조사·발굴

자원조사·모니터링 각 모니터링 사업별 추진 0

3-2. 확보 및 관리강화

유전자원 확보(재료비 등) 4 5 5 5 5 5 5 5 5 5 49

묘포장(식물원) 관리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시설보완(수장고, 식물원) 200 200 400

3-3. 생태자원지도 제작 및 생태계 건강성 평가

생태자원지도 제작 국립공원연구원 시행 0

생태계 건강성 평가 본부 및 국립공원 연구원 시행 0

3-4. 역사·문화자원 관리

보호시설·모니터링 등 10 11 11 11 11 11 11 11 11 11 109

천제단 실물모형 복원 100 100

3-5. 지형·지질자원 관리

생태·경관 보호시설 등 12 12 12 12 12 8 8 8 8 8 100

물리탐사 모니터링 자문 등 8 3 8 3 8 3 8 3 8 3 55

3-6. ICT를 활용한 현장관리

드론 운영 5 5 5 5 5 5 5 5 5 5 50

무인계도 시스템 관리 5 5 5 5 35 5 5 5 5 5 80

합 계 54 251 356 51 86 47 52 47 52 47 1,043

4. 청정한 공원환경 관리 4-1. 불법·무질서행위 예방·관리

불법·무질서행위 예방 5 5 5 5 5 5 5 5 5 5 50

4-2. 불법시설 예방 등 공원환경 개선

불법시설 예방 Ⅳ-2-1. 지역사회 국립공원 정책 참여-지구별 주민간담회

공원마을 환경개선 Ⅰ-1-5. 사유지 국유화 및 공원구역 확대, Ⅳ-3-2. 지역경제 활성화-국립공원 명품마을 연계 소리환경 조사 등 Ⅰ-3-1. 신규 생물자원 조사·발굴-자원조사·모니터링 연계

4-3. 공원시설 청결관리

시설 내·외관 개선 Ⅱ-3-3. 공원시설 개선 연계

청결관리(인건비 등)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0 4-4. 탐방로 청결관리 및 쓰레기 저감대책

청결관리(인건비 등)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 1200 합 계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 2,450

Ⅰ. 생태 가치를 높이는 자원관리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자원특성 및 분포를 고려한 생물다양성 향상

1-1. 야생동·식물 보전·관리 방향 1-2. 멸종위기야생생물 보호·복원관리

식물 보전

44 44 44 44 44 44 44 44 44 44

동물 보전 야생생물보호단 운영 + 야생동물보호 활동 440

멸종위기종 모니터링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1-3. 핵심생태보전지역 설정에 따른 서식지 연결성 강화 1-4. 특별보호구역 지정 등 핵심보전지 관리 강화

특별보호구역 모니터링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1-5. 사유지 국유화 및 공원구역 확대

사유지 국유화 548 933 752 752 752 752 752 752 752 749 7,494

공원구역 확대 조사·협의 3 3 3 3 3 3 3 3 3 3 30

1-6 백두대간 마루금 보전

공원경계 구분관리 교란식물 유입방지책 연계 추진

아고산식물 관리(깃대종 등)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주요 식생경관 보전 멸종위기종 모니터링 + 특별보호구역 모니터링 + 아고산식물 관리 등 연계 추진 합 계 635 1,020 839 839 839 839 839 839 839 836 8,364 2. 서식환경 개선을 통한 생태계 건강성 증진(1)

2-1. 훼손지 복원

정상부 복원 219 250 50 519

훼손탐방로 복원 Ⅱ-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훼손탐방로 정비 연계

폐광지 조사·협의 2 3 3 3 3 3 3 3 3 3 29

2-2. 주민 이주사업을 통한 생태복원

이주사업, 생태복원 Ⅰ-1-5. 사유지 국유화 및 공원구역 확대 연계 또는 선택적 추진 2-3. 도로 단절지 생태계 연결 강화

마을길 연결관리 4 5 5 5 5 5 5 5 5 5 49

단절지 동물모니터링 5 5 5 5 5 5 5 5 5 5 50

도로복원 50 50 50 150

2-4. 수생태 환경 보전강화 계곡수질 측정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수환경 영향 모니터링

유관기관 협력 어류자원 모니터링 연계

2-5. 생태계교란야생생물 관리

생물적 방제 8 8 8 8 8 8 8 8 8 8 80

교란식물 유입방지책 30 30 6 6 72

2-6. 야생화된 동물(들고양이) 관리

안락사 등 고양이 제거 7 7 7 7 7 35

TNR 등 고양이 제거 7 7 7 7 7 35

215 214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Ⅱ. 자연이 주는 혜택의 공유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탐방관리

1-1. 수용력을 고려한 탐방관리

탐방객수 조사시스템 44 44 44 132

1-2. 슬로탐방문화 및 저지대 체류형 탐방서비스 확대

슬로탐방문화 확산 36 36 36 36 36 5 5 5 5 5 205

저지대 체류형 콘텐츠 발굴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 470

저지대 체류형 서비스 확대

합 계 127 127 127 83 83 52 52 52 52 52 807

2. 탐방만족 극대화 서비스 제공

2-1.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운영

발달단계 환경교육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0

환경교육 콘텐츠 개선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0

운영인력 역량강화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2-2.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운영 테마형 생태관광 운영 사회적

약자 생태관광 주민가이드제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0 2-3. 양질의 여가휴양 서비스 제공

다목적 탐방안내시설 Ⅱ-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 연계 시설서비스 기능 강화 Ⅱ-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 연계

탐방콘텐츠 다양화

(축제, ICT안내판 등) 260 260 260 260 200 200 200 200 200 200 2,240 예약제 운영(인력 포함)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0

다국어 안내표지판 Ⅱ-3-3. 공원시설 개선 연계

합 계 490 490 490 490 430 430 430 430 430 430 4,540 3. 탐방편의 증진 공원시설 관리(1)

3-1. 미래수요 및 트렌드를 반영한 공원시설 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

관리사무소, 분소 2,846 3,494 40 6,380

훼손 탐방로 정비 1,000 1,000 1,000 3,000

맞춤형 야영장 조성 1,026 3,824 350 5,200

주차장 조성 및 정비 200 200 400

진입도로 보·차도 분리 100 100 200

자연관찰로 조성 100 100 100 100 100 500

무장애 탐방로 50 10 60

민박촌 3,268 1,732 5,000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3. 탐방편의 증진 공원시설 관리(2)

네이처 센터 500 2000 2,500

자원봉사센터 Ⅱ-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네이처 센터 연계

자연형 오픈 뮤지엄 100 100 100 300

생태경관도로 ※ 지차체 유관기관 제안협의에 따라 추후 예산배정 요구 3-3. 공원시설 개선

화장실 개선 79 521 450 1,050

탐방안내시설 개선 120 30 30 180

안내표지판 정비 176 886 662 1,724

시설물 정비

건축물 안전점검 274 273 273 273 273 273 273 273 273 273 2,731

환경 및 경관개선 44 316 210 570

합 계 5,565 1,3612 4,747 1,323 2,783 473 373 373 273 273 29,795

Ⅲ. 안전한 국립공원 구현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현장중심의 통제관리 인프라 확대·운영

1-1.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1-2. 재난 예·경보 인프라 설치에 따른 운영관리

재난 예·경보 시설 341 130 130 10 10 10 10 10 10 10 671

자동기상관측 시스템 59 25 25 10 10 10 10 10 10 10 179

1-3.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구축 및 운영 모바일 CDMA 시스템

(전광판 등) 123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123

통합원격통제 시스템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다자간 PTT통신망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1-4. 안전 탐방 문자알림 서비스 제공

문자알림 서비스 2 2 2 2 2 2 2 2 2 2 20

1-5. 지능형 CCTV 설치 및 통합관제

CCTV 설치 103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103

1-6. 낙석·산사태 계측시스템 운영

낙석 계측 시스템 Ⅲ-2-5. 급경사지 정밀조사를 통한 점검 및 정비관리 연계 산사태 계측 시스템 Ⅲ-2-5. 급경사지 정밀조사를 통한 점검 및 정비관리 연계 1-7. 드론을 활용한 재난 현장관리

LTE 기반 무인항공기 Ⅰ-3-6. ICT를 활용한 현장관리 연계 3차원 Map, DB확보 ※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름

합 계 628 157 157 22 22 22 22 22 22 22 1,096

217 216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2. 현장 접점에서의 재난·안전관리 2-1. 탐방객 재난·안전사고 관리

유형별 안전사고 관리 Ⅲ-2-3. 구조 전문역량 강화 연계-인력운영 및 교육 연계 2-2. 백두대간 안전관리대책 마련을 위한 이용량 분석

조사·모니터링 Ⅱ-1-1. 수용력을 고려한 탐방관리 연계 이용행태 조사연구 Ⅱ-1-1. 수용력을 고려한 탐방관리 연계 2-3. 구조 전문역량 강화

인력운영 및 교육 311 360 360 360 360 360 360 360 360 360 3,551 2-4. 탐방로 등 위험성 평가에 따른 정비·관리

위험탐방로 정비 Ⅲ-2-5. 급경사지 정밀조사를 통한 점검 및 정비관리 연계 2-5. 급경사지 정밀조사를 통한 점검 및 정비관리(1)

급경사지 정비 553 100 100 753

기정비 구간 모니터링 및 보수 10 10 10 10 10 10 5 5 5 5 80

2-6. 재난 예방을 위한 공원현장 시설관리

내진 반영 Ⅱ-3-3. 공원시설 개선-시설물정비 연계

현장 시설 안전관리 Ⅲ-2-3. 구조 전문역량 강화 연계-인력운영 및 교육-방제장비 및 물자구입 연계

방재장비 및 물자구입 186 50 50 50 50 50 50 50 50 50 636

합 계 1,060 520 520 420 420 420 415 415 415 415 5,020 3. 대국민 재난·안전 이해도 증진

3-1. 맞춤형 안전교육 강화

체험형 안전교육 Ⅲ-2-3. 구조 전문역량 강화 연계-인력운영 및 교육 연계 교육 콘텐츠 개발 Ⅲ-2-3. 구조 전문역량 강화 연계-인력운영 및 교육 연계 3-2. 민·관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네트워크 구축

5 5 5 5 5 6 6 6 6 6 55

협력사업 추진

지역협력형 산불예방 74 60 60 50 50 50 50 50 50 50 544

3-3. 대국민 홍보강화

온·오프라인 홍보관리 Ⅳ-1-2. 태백산국립공원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강화

합 계 79 65 65 55 55 56 56 56 56 56 599

Ⅳ. 참여와 협력의 파트너십 강화

(단위: 백만 원)

구분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합 계

1. 국민소통 및 참여 활성화 1-1. 국민참여형 자원봉사 활성화

자원봉사 운영 26 36 36 26 26 26 26 26 26 26 280

협력 네트워크 구축 5 15 15 5 5 5 5 5 5 5 70

1-2. 태백산국립공원 인지도 향상을 위한 홍보강화

온·오프라인 홍보관리 50 98 98 50 50 50 50 50 50 50 596

합 계 81 149 149 81 81 81 81 81 81 81 946

2. 이해관계자와의 거버넌스 구축 2-1. 지역사회 국립공원 정책 참여

협치 위원회 운영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0

실무자 협력 네트워크 9 9 9 9 9 9 9 9 9 9 90

2-2. 지역주민 공원관리 참여유도

지역민 유대강화 30 40 40 30 30 30 30 30 30 30 320

지구별 주민 간담회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0

시민대학 운영 20 30 30 20 20 20 20 20 20 20 220

합 계 84 104 104 84 84 84 84 84 84 84 880

3. 지역사회 상생협력 동반성장

3-1. 지역사회 협의안 이행요구 등 갈등 해소

협의안 이행 Ⅱ-3-2. 공원시설 설치 및 운영 연계

3-2. 지역경제 활성화

국립공원 명품마을 329 300 100 50 50 50 50 50 50 50 1,079

국립공원 장터 등 6 6 6 6 6 6 6 6 6 6 60

지역 연계형 생태관광 등 Ⅱ-2-2.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운영 연계

합 계 335 306 106 56 56 56 56 56 56 56 1,139

Dalam dokumen 태백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Halaman 106-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