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계획 세부 이행과제
1. 현장 중심의 통제관리 인프라
확대·운영
1-1. 이행과제
현안과제 일반과제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재난 예·경보 인프라 설치에 따른 운영관리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구축 및 운영
•안전 탐방 문자알림 서비스 제공
•지능형 CCTV 설치 및 통합관제
•낙석·산사태 계측시스템 운영
•드론을 활용한 재난 현장관리
1-2. 현안사항 검토
1-2-1.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 다양한 재난관리 시스템 운영의 비효율성
• 재난·안전관리를 위해 운영되는 통제관리시스템은 통합방재시스템, 재해문자전광판 운영시스템 등 7종류의 방재관리시스템이 운영 중으로 시스템별 운영 방법이 다양·복잡하고
• 사무소 사정에 따라 많게는 2~3명이 관련 업무를 분담함에 따라 담당자 휴무 등 부재 시 또는 인사이동 과정에서 인수인계의 복잡성 등 효율적 관리의 어려움 내재
1-3. 추진방향 및 목표
■ 기상이변으로 인한 빈번한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 증가로 국가 재난관리체계의 패러다임이 사후복구에서 사전예방으로 변화 → 체계적·집중적 사전관리 요구도 증가
ICT를 반영한 관리 시스템 운영 고도화로 효율적 현장관측·분석, 위해요인 제거 등 사전예방 원칙 준수 및 조기 대응체계 운영(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 생명과 재산피해 최소화
• 과학적 재난관리의 일환으로 다수 시스템 운영에 따른 비효율적 업무체계 개선 →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 확충된 재난 예·경보시설 기반의 모바일 방송시시스템 등 최신 트렌드(ICT)를 접목한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확립 →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관리 강화
• 지능형 CCTV 등 ICT 활용, 현장 모니터링으로 재난예방 및 조기대응에 따른 피해 최소화
149 148
1. 보전·관리계획 개요2. 보전·관리계획 여건분석 및 목표․전략3. 보전·관리계획 관리목표․별 현황4.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관리계획5. 태백산국립공원 용도지구별 관리계획6.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예산계획
<그림 4-76>
재난관리 시스템 및 현장계측 강화를 통한 재난·예방 전략
1-4. 추진계획
1-4-1.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운영
■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효율적 운영
• 재난 유형별 개별시스템 분석을 통한 DB자료 통합 구축, 일관된 공간정보 기반 지도 관리 등 현장과 일체화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고도화 운영
• 반복적 직원교육을 통한 재난상황 대처 및 업무 활용능력 향상
• 향후 도입 후 지속적인 시스템 운영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모니터링
<표 4-73>
통합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현황
기 존
향 후 주요내용
통합방재시스템
통합 재난상황
관리 시스템
기상정보, 재난 예·경보시설, 상황근무관리 등 재해문자전광판 운영시스템 재해문자전광판 문구, 영상전송
스마트 상황전파시스템 PTT통신을 통한 무전, 영상 공유
산불감시시스템 산불감시카메라 영상정보 공유
급경사지 유지관리시스템 급경사지 현황정보, 정비 점검관리
추락위험지구 관리시스템 추락위험지구 현황정보, 정비 점검관리
산행안전예보제 운영시스템 홈페이지 산행안전예보 운영
통합재난상황 관리 시스템으로 융합 재난관리 시스템 고도화
•재난 예·경보 인프라 확대 → 재난 취약지구별 우량국, 경보국, 수위국 등 예·경보시설 확대 설치(시스템 구축 기반 마련)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강화
→ CDMA 방송시스템, 탐방로 입구 통합원격통제 시스템, 다자간 PPT통신망 등 정보공유 및 전파 기능 강화
•안전 탐방 문자알림 서비스
→ 문자서비스를 통한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 도모
ICT를 적용한 재난관리 체계화 및 예방관리 강화 실시간 유효정보 취득, 분석 등 조기대응 강화
재난현장과 시스템 간 실시간 정보의 입체적 분석 ➞ 사전예방 및 피해저감 현장관측 기능강화
•CCTV설치 및 통합관제
→ 낙석, 산사태, 산불 등 감시관측 모니터링 및 실시간 재난상황 영상정보 공유.전파로 조기대응
•낙석· 산사태 계측 시스템 운영 → 지속적 계측 시스템 도입(조기경보체계)으로 대규모 인명피해 유발 재난 예방 및 조기대응
•LTE 기반 무인항공기 도입 → 야간 또는 위험지 등 접근불가 지역 영상정보 취득 실시간 관측, 분석
1-4-2. 재난 예·경보 인프라 설치에 따른 운영관리
■ 당골 및 백천지구 설치 재난예·경보 시스템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점검관리 강화
• 우기철, 태풍내습 전 일제점검, 고장 시 즉각 보수 등 연간 정상 작동상태 유지 (내구연한-10년)
• 특히 우량계 집수조의 낙엽으로 인한 측정오류 등 점검철저
<표 4-74>
태백산국립공원 재난예·경보시설 현황
구분 합계 우량국 경보국 수위국 통제국
합 계 12 4 4 2 2
당골지구 6 2 2 1 1
백천지구 6 2 2 1 1
<그림 4-77>
재난예·경보시설 설치 현황
1-4-3. 현장 즉시 대응 경보체계 구축 및 운영
• ICT 기반 재난관리체계 구축 → 실시간 재난정보 제공·공유
■ 모바일 CDMA(무선모뎀 연결 스마트폰 전송) 방송시스템 구축 운영
• 자동우량경보시설 중 방송시설 경보국과 재해문자전광판 활용 → 신속한 상황전파에 따른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
■ 공원탐방로 입구 통합원격통제 시스템 도입
• 문자전광판, CCTV, 원격방송, 차단시설 등의 ICT기술이 융합된 탐방로 입구부 통합원격통제 시스템 구축 → 재난 상황 시 탐방로 출입관리
<그림 4-78>
전광판 등 탐방객 알림 서비스 운영
151 150
1. 보전·관리계획 개요2. 보전·관리계획 여건분석 및 목표․전략3. 보전·관리계획 관리목표․별 현황4.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관리계획5. 태백산국립공원 용도지구별 관리계획6.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예산계획
■ 무선망과 이동통신망을 연계한 다자간 통신방식인 PTT통신망 추진
• 무선망(고지대 근거리)과 이동통신망(저지대 전국망)의 제한적 통신범위 개선 → 상호 단점을 보완한 PTT 연계통신망 추진 및 영상공유 가능한 영상전송 시스템 부가
<그림 4-79>
실시간 현장 경보방송시스템
1-4-4. 안전 탐방 문자알림 서비스 제공
■ 실시간 자연재난 알림서비스
• 공원 내 실시간 재난상황을 민박촌, 야영장 이용자 및 현장방문 탐방객 요구 시 문자정보 제공
• 기상정보 및 공원 통제여부 등 스마트 상황전파시스템 활용, 정보 제공
• 여름, 겨울 등 시스템 운영 점검 정례화 추진(연 2회)
<표 4-75>
안전탐방 정보제공 대상자 정보수집 및 시스템 구축
주요내용
① 공원시설(야영장 등) 예약 진행 시 안전탐방 정보제공 동의 등 개인정보 수집
② 예약관리시스템 DB자료 연계 및 통합방재시스템 개선 → 문자알림시스템 기능 추가 ▶ 예약 확인자는 해당 기간에만 정보 제공하고 공원별 정보제공 요청 탐방객은 상시
정보제공
1-4-5. 지능형 CCTV 설치 및 통합관제
• 낙석, 산사태, 산불 등 실시간 감시·관측을 위한 CCTV 등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2018년)
■ 저지대 주요 탐방로 입구 및 화장실 등 다중이용시설 CCTV 설치
• 조난사고 발생 시 출입지역 확인에 따른 이동경로와 위치확인 → 구조시간 단축
• 탐방로 입구 CCTV 영상정보 기반의 출입 통제 관리시스템49) 구축
※ 범죄사고자 신고·수색 시 입산여부 확인 등 국립공원 내 2차 범죄사고 예방 현장 경보 현장 경보
상황 전파 상황 전파
상황실 (본부)
상황실 (사무소) 현장순찰 근무자
(스마트폰)
49)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탐방로 통제 상황 자동방송, 문자알림(문자전광판), CCTV출입자 감시 센서와 연동한 출입통제 알림 방송시스템 등 탐방로 출입 통제시스템
■ 고지대 실시간 영상제공을 위한 주요 거점 CCTV 설치
• 자연재난 발생 시 실시간 모니터링 → 현장 영상 동시 공유에 따른 조기 대응
• 탐방객 이동현황 및 사고자 상황파악으로 구조관리 효율성 증진
상황실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으로 각종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 대응
<표 4-76>
저지대 및 고지대 CCTV 설치·활용계획
구분 설치위치 활용도
시설안전 및
화재예방 백천분소(10), 신청사(15) -
탐방객 안전관리
함백산 입구(1), 두문동재 (1), 금천(2), 늦통목이재(1), 반재(1)
•탐방객 현황 및 산악안전사고 동향파악
•산불 등 재난상항 실시간 모니터링
<그림 4-80>
지능형 CCTV 통합관제시스템 구축 개념
당골.
민박촌
서버/스토리지 CLINT 모니터링 유일사
ADSL 20M
광랜 100M
INTERNET
VPN
IP공유기
원격 모니터링 IOS Android Data케이블(Utp. 광)
UTP케이블
광랜 100M
광랜 100M 함백산 (산불감시카메라)
탐방로 CCTV
153 152
1. 보전·관리계획 개요2. 보전·관리계획 여건분석 및 목표․전략3. 보전·관리계획 관리목표․별 현황4.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관리계획5. 태백산국립공원 용도지구별 관리계획6. 태백산국립공원 부문별 예산계획
<표 4-77>
태백산국립공원 CCTV 설치 현황
설치위치 CCTV 운영현황
(2018년 현재) 설치목적 비고
계 54
사무소 9
시설안전·화재예방 방송장비포함
당골지구 11
민박촌 11
유일사지구 7
천제단 1
범죄예방 등
당골광장 1
유일사탐방센터 1
백단사탐방센터 4
유일사 쉼터 2
함백산 2
부쇠봉 2 산불감시
금대봉 2
유일사 쉼터 1
1-4-6. 낙석·산사태 계측시스템 운영
■ 낙석 계측시스템 운영 및 추가 확대
• 재난취약지구(12개소) 계측시스템 분석결과에 따라 2019년부터 기존 낙석위험 지구 해제 → 계측기 내구연한과 낙석 가능성을 고려 지속 측정 유지(전기식 수동계측기)
• 재난취약지구는 아니지만 위험성 있거나 낙석이력 지역 대상 17개소 추가설치 계측(LoRa시스템50)) → 문화재보호구역 정비여부 판단을 위한 위험지역 장기계측 중
• 미설치 지역의 낙석위험지구 추가 발견 시 계측시스템 확대(D, E등급)
<그림 4-81>
전기식 수동계측기 운영현황
50) LoRa 시스템: Long Range의 약어로 인접지에서 무선통신으로 계측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자동계측 시스템
<그림 4-82>
재난 취약지구 낙석 계측시스템 설치·운영지역 현황
구간 급경
사지 위험유형
합계 19
당골~반재 5 낙석, 유실, 수목전도
검룡소분소~대덕산 4 낙석
검룡소 1 낙석
검룡소분소~창죽령 1 낙석
유일사~화방재 1 낙석, 유실
당골~문수봉 1 낙석
백천계곡 5 낙석
백천계곡~문수봉 1 낙석
■ 산사태 계측시스템 설치·운영
• 지질 특성 반영, 산사태 발생 시 계측시스템 연계 조기경보 시스템51) 구축
• 계측대상: 산사태취약지역(산림보호법 제2조) 지정 5개소 우선적용 및 자체조사 위험지역(백천계곡 및 화방재 ~ 수리봉 좌·우측) 점진적 설치
<그림 4-83>
산사태취약지구, 산사태위험지 분석도 및 자체조사 산사태 위험 1등급지 위치도
산사태위험지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분포비율(%) 7.6 19.3 32.5 27.0 14.7
51) 조기경보 시스템 : 산사태계측시스템 경보기준은 본부 개발·확산정책에 따라 사무소 적용 → 실시간 변위 발생 시 최소 1시간 이전 탐방객 대피방송 및 직원 SMS 통보
※ 19개소 위험지구 중 12개소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