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탐방만족 극대화 서비스 제공

Dalam dokumen 태백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Halaman 61-66)

관리계획 세부 이행과제

2. 탐방만족 극대화 서비스 제공

2-1. 이행과제

현안과제 일반과제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운영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운영 •양질의 여가·휴양 서비스 제공

2-2. 현안사항 검토

2-2-1.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운영

겨울철 외 환경교육 참여자 확보 어려움

• 전체 탐방객 약 60만 명 중 약 34만 명 정도가 겨울철(12월~2월) 집중

33) 현장개방형 환경교육: 특정인을 모집하여 운영하는 것이 아닌 특정장소와 주제가 있는 곳에서 지나는 탐방객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즉석으로 환경교육 시행방식(탐방 가이드제 등)

• 봄~가을 공원 이용률이 현저히 낮아 탐방프로그램 운영환경 열악. 이용객에 비례하여 탐방프로그램 참여자 확보 또한 어려운 실정

참여자 확보가 어려운 지역적 특성

• 휴식과 야외 체험·교육 목적의 참여가 일반적인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대도시에 인접한 경우 참여자 모집이 용이하고 자발적 참여율이 높은 반면,

• 농·산촌 지역특성상 지역민 참여유도의 어려움 등 활성화를 위한 제한 요소가 다수 상존

2-2-2.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운영

특화된 탐방자원 부재

• 겨울철 설경과 토속신앙적 요소 외 특화된 탐방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실정

• 정비가 완료되지 않은 공원시설과 이와 연동되어 탐방 콘텐츠·인프라 또한 미비한 상황 → 탐방객에게 양질의 탐방서비스 제공 어려움

• 겨울철 태백산 탐방이 지역 브랜드로 각인되어 나머지 계절은 공동화 현상 심화 → 지역자원과 연계, 고질적 겨울철 편집중 현상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민 주도형 생태관광 등 탐방객의 시·공간 분산 모색 필요

2-3. 추진방향 및 목표

국민 소득증대 및 삶의 질 향상으로 여가와 환경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로 탐방 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등 국민의 요구 및 기대치 상승

미래세대, 사회적 약자 및 지역사회를 포함한 대국민 환경교육·체험, 콘텐츠 다양화 등 양질의 탐방서비스 제공으로 국립공원 탐방 만족도 제고

• 미래세대 환경의 중요성과 보전의식 고취를 위한 환경교육 및 콘텐츠 개선·보급

•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생태관광 활성화

• 공원시설의 서비스 기능 다양화, 예약제도의 정착 및 탐방만족 배가를 위한 탐방콘텐츠 개발·제공

123 122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그림 4-50>

탐방만족 극대화 서비스 제공 전략체계

•발달 단계별 환경교육 추진

•환경교육 콘텐츠 개선 및 보급

•프로그램 운영인력 강화

•탐방프로그램 참여자 확대방안 미래세대 환경교육 활성화

미래세대 정서함양 및 자연생태 환경의 중요성 등 보전의식 고취

• 국립공원 특성반영 테마형 생태관광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생태관광

•국립공원 주민가이드제 내실화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참여자의 현장감 있는 체험습득으로 만족도 배가 및 지역사회와 상생 구현

• 현장접점 다목적 탐방안내시설 운영

•공원시설의 서비스 기능 강화

•다양한 탐방콘텐츠 제공

•탐방편의 증진 탐방예약 활성화 양질의 여가휴양 서비스 제공

국립공원 특성반영 탐방서비스 제공으로 탐방만족 극대화 및 기관위상 제고

국민에 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탐방만족 극대화

2-4. 추진계획

2-4-1. 미래세대를 위한 환경교육 활성화 운영

발달 단계별 환경교육 추진

• 초등학생 대상으로 자연 소재의 인성교육 확대(『인성교육진흥법(’15.7.21)』 시행에 따른 자유학기제 확대 및 발달 단계별 자유학기제 추진(초등학생~고등학생) → 진로 탐색 기회 제공

• 농·산촌 지역 특성을 감안한 취약계층 미래세대를 위한 『방과 후 학교』 등 프로그램 다양화 운영 → 체험기회가 적은 지역의 환경교육 불평등 해소

<표 4-54>

발달 단계별 미래세대 환경교육 종합 프로그램 내용

대상 발달 단계별 환경교육 프로그램 내용

유치원생 자연지능, 상징놀이,

선택적 주의집중 숲 학교 • 국립공원 사계절, 동·식물 등을 주제로 자연놀이와 현장 중심 체험활동 초등학생 구체적 경험, 격려 및

재능발견 방과 후 학교 • 학교 교과정과 연계, 주제별로 이론과 현장교육

중학생 진로결정, 정체감 확립 자유학기제 • 국립공원 레인저와 환경 관련 진로체험 중·고등학생 연역적 사고, 자존감,

도덕성 주니어 레인저 • 청소년이 직접 기획 운영하는 자기주도형 프로그램 운영

유·초·중·고생 - 현장학습 • 국립공원의 자연자원 주제로 2시간 이내 자연해설과 체험 활동

환경교육 콘텐츠 개선·보급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환경교육의 ICT 활용 등 교육 내용의 다양성 확보

교육 활용도가 높은 동영상 클립(5분) 제작 → 실내교육 및 SNS 등 온라인(On-line) 서비스 제공

찾아가는 탐방안내소(차량) 운영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지역사회 밀착형 환경교육 시행 (학교, 축제, 박람회, 코레일 역사 등)

•지속적인 교재 개선 및 콘텐츠 신규 발굴 추진

<표 4-55>

교재 개선 및 신규 콘텐츠 발굴 노력

구분 교재 개선 및 신규 콘텐츠 발굴 노력

교재개선

• 미래세대 환경교육 교재 9종(유치원, 초등1~6학년, 중학생)에 대해 개정된 교과과정 반영

•단군신화, 검룡소 전설 등 스토리텔링북 제작 활용

벤치마킹 • 미국 NPS 교재 반영, 주니어레인저 신규교재 개발과 중·고등생 환경교육 교재 추가 발굴

대회참석 •교구재 경진대회 시행을 통해 우수작 발굴·습득 → 교육프로그램 개선 활용

프로그램 운영인력 강화

• 인력교육: 발표회 등 역량진단을 통해 개인별 교육체계 적용(교육이수 3년차 이상 직원 보수교육 등)하고 해설수요 집중지역 배치·반복 해설로 기법 및 경험치 향상

• 교사협력 : 교사대상 환경교육 협의체 구성·교류 → 교육과정과 평가체계 합동구성 및 교재·콘텐츠 공동개발 과정에서 Man to Man식 노하우(Know-how) 습득

• 컨설팅단 : 내·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컨설팅단 구성 → 프로그램 및 운영인력에 대한 현장 점검·평가 실시 및 개선사항 도출

탐방 프로그램 참여자 확보방안

• ① 기존 교육기관 및 지역축제 등 방문교육 유지, ② 탐방객 접점의 현장개방형 환경교육 강화 및 ③ 수평형 분산을 위한 특화프로그램 운영 및 현장홍보 동시 진행 등

125 124

1. 보·관획 개2. 보·관획 여석 및 목표․3. 보·관획 관표․별 현4. 태원 부별 관5. 태원 용별 관6. 태원 부별 예

<표 4-56>

탐방프로그램 참여자 확보방안

구분 탐방프로그램 참여자 확보방안

1단계 (기존유지)

• 찾아가는 국립공원 교실(자유학기제 등) 및 지역사회 축제 등 지역밀착형 환경교육

2단계 (현장확대)

• 코레일 역사 등 이용객 밀집지역의 찾아가는 이동 탐방안내소(차량) 운영

• 정상부 탐방가이드, 현장개방형 환경교육 및 접점 탐방안내시설 활용 등 다변화 시행

3단계 (특화운영)

• 수평형 분산을 위한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과 지속가능한 계절별 특화 환경교육 운영·홍보강화

2-4-2. 지역특성을 반영한 생태관광 운영

국립공원 특성반영 테마형 생태관광

•소요시간·이동거리 등 니즈(Needs)를 고려한 프로그램 운영관리 체계화

이동형: 거리 및 활동내용, 시간을 고려한 생태관광 프로그램 구성(1일)

체류형: 국립공원 야영장 등 체류 과정의 캠핑 스쿨과 지역숙박 인프라를 활용한 생태관광 구성(분리 또는 병합하여 2일 이상)

•공원자원과 지역 관광자원을 병합한 태백권 특화 생태관광 운영

모객 : 인터넷 예약을 기본으로 당골자동차야영장, 민박촌 이용객 및 탐방객 대상 현장예약 (전일 18시 이전까지) → 해당 장소 안내표지판 설치

운영: 시·종점은 당골지역(탐방안내소 또는 네이처센터)으로 하고 모듬(10명) 기준으로 자연환경해설사 1명 배치 등 밀집관리

환류: 프로그램 진행 중 만족도가 높은 지점과 해설요소 파악에 따른 프로그램 간 융·복합 등 질적 수준 향상 도모 → 해설요원 전문화 노력 병행

홍보: 프로그램 진행과정의 동영상(사진) 제작에 따라 홈페이지 게시 기반의 블로그,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접근성이 높은 온라인(On-line) 홍보

협력: 지자체(City Tour), 코레일 등 프로그램 합동 개발·운영 및 홍보협력 등

<표 4-57>

적용 가능한 태백권 생태 관광 프로그램

구분 적용 가능한 태백권 특화 생태관광 프로그램

자 원 학습형

태백산 하루 탐방

• 태백산국립공원의 탐방자원과 관통도로 등을 이용한 국립공원 주제 생태관광

• 당골(천제단 모형, 석탄박물관) ~ 화방재 ~ 만항재도로 ~ 함백산 ~ 검룡소(첫물지리생태원)

물길 따라 나들이

• 한강, 낙동강의 발원지 검룡소 중심으로 하천(강) 시원(始原) 주제의 여름철 생태관광

• 검룡소(첫물지리생태원) ~ 삼수령 ~ 용연동굴 ~ 황지연못 ~ 구문소 등 연계

지 역 문화형

태백산 북쪽마을

• 태백산 북부 권역의 공원내·외 탐방자원을 병합한 생태관광 (초여름~가을)

• 추전역~검룡소(첫물지리생태원) ~ 삼수령 ~ 구와우 마을 ~ 바람의 언덕 등

태백 탄광 옛 이야기

•태백지역의 발전과 쇠퇴를 함께한 탄광역사를 알아보는 생태관광

• 당골(석탄박물관) ~ 구문소(자연사박물관)~철암역 선탄장 (철암관광역사촌) ~ 추전역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생태관광

• 취약계층, 아동, 진규폐환자, 노인, 장애인, 다문화 가정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나누리(생태·건강) 프로그램 참여기회 제공

• 대상자 유형 파악에 따른 주제 선정, 프로그램의 고도화 및 환류·점검체계 등 효율적 프로그램 운영

<표 4-58>

나누리(생태·건강) 프로그램 운영전략①

건강

생태 건강나누리 캠프 환아가족 관심자

•환경성 질환에 대한 올바른 예방관리 및 정보공유

• 자연과 건강의 긍정적 관계인식 → 국립공원의 가치 제고

Dalam dokumen 태백산국립공원 보전·관리계획 (Halaman 6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