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항만 예비후보지 선정
◦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 예비 후보지 선정의 기본방향은 다음과 같다.
- 항만 생산성 향상을 통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재항시간 단축 - Hub & Spoke 역할 수행을 위한 저렴한 환적 비용
- 첨단 하역 및 운영시스템 설비 확보
- 물류기지 및 내륙운송 시스템 연계 체계 구축
◦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 예비후보지 선정의 기본방향에 부합하는 국내의 컨테이너 항만은 컨테이너 전용부두로 운영중이거나 계획된 부산북항, 부산신항, 광양항 등 이 므로 이들 3개 항만을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만 예비후보지로 선정하였다.
나. 예비후보지별 개발 가능성 검토
◦ 선정된 예비후보지에 대하여 개발현황, 연계운송시스템 구축현황 및 다음과 같은 초대 형 컨테이너선용 부두 배치여건을 고려하여 항별 초대형컨테이너선용 항만의 개발가 능성을 검토하였다.
- 항로 및 항내 수역의 충분한 수심(DL.(-)17.0m 이상)의 확보가 가능할 것 - 위치에 따른 재항시간 단축을 위해 가급적 항 입구부에 배치가 가능할 것 - 물동량 처리를 위한 안벽 후면의 넓은 배후지 확보가 가능할 것
- 타부두 입출항 선박의 간섭 및 항내 혼잡에 영향이 없을 것
(1) 부산북항
부산북항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는 자성대부두, 우암부두, 감만부두, 신감만부두, 신선대부 두 등으로 이미 축조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부두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16> 부산북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현황
부 두 명 접 안 능 력 연장 전면수심
자성대부두 4,000TEU×4선석
1,000TEU이하×1선석 1,447m DL.(-)1012m
우암부두 2,000TEU×1선석
1,000TEU이하×2선석 500m DL.(-)10m
감만부두 4,000TEU×4선석 1,400m DL.(-)15m
신감만부두 4,000TEU×2선석
1,000TEU이하×1선석 826m DL.(-)1215m
신선대부두 4,000TEU×4선석 1,200m DL.(-)1415m
<그림 3-2> 부산북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현황도
부산 북항은 항내에 이미 부두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부두로 신규개발이 가능한 지역은 현재 없는 실정이며 기존의 컨테이너부두를 이용하는 안이 있 다. 자성대, 우암, 신감만, 감만 및 신선대부두 등 기존의 컨테이너 전용부두시설 현황을
살펴보면 기존 부두들은 최대 4,000TEU급 컨테이너선박을 대상으로 축조되어 있으므로 부두전면 수심이 DL.(-)15m 이하로 계획되어 있다. 15,000TEU급 초대형컨테이너선이 접 안하기 위한 선석수심 여건은 DL.(-)17m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기존 컨테이너부두 선석 소요 수심이 부족하여 현 상태로는 접안이 불가능하며 선석 전면 수심을 증심할 경우 기 존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문제가 발생하므로 기존 부두를 철거한 후 재축조를 하여야 한다.
또한, 기존 컨테이너부두의 배후수송 연계시스템 구축여건도 컨테이너부두가 시가지와 인 접한 상태이므로 교통혼잡을 유발하고 있으므로 부산북항지역에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항 만시설을 계획하는 것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2) 부산신항
부산신항은 컨테이너 전용항만으로서 북컨테이너부두, 남컨테이너부두 및 서컨테이너 부두 등이 계획되어 있으며 각 부두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17> 부산신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
부 두 명 접안능력 연장 전면수심 비 고
북컨테이너부두
1-1단계1차 4,000TEU×3선석 1,00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시공중
1-1단계2차 4,000TEU×3선석 1,00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시공중
1-2단계 4,000TEU×3선석 1,20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실시설계완료
2-1단계 4,000TEU×2선석
2,000TEU×2선석 1,100m DL.(-)18m 최대12,000TEU급접안, 시공중
남컨테이너부두
2-2단계 4,000TEU×2선석
2,000TEU×2선석 1,15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대안설계중 2-3단계 4,000TEU×4선석 1,40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기본설계완료
2-4단계 4,000TEU×3선석 1,050m DL.(-)16m 최대8,000TEU급접안, 기본설계완료
서컨테이너부두 2-5단계 4,000TEU×5선석 1,750m DL.(-)17m 최대8,000TEU급접안, 기본계획완료
<그림 3-3> 부산신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도
부산신항은 기 축조된 컨테이너부두가 없으므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여건은 신설 되는 부두에 대하여 검토하였는 바, 컨테이너부두 현황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북컨테이너 부두 1단계 및 남컨테이너부두 지역은 수심여건이 DL.(-)16m로 계획되어 있고, 초대형 컨 테이너선의 선회여건이 불량하므로 접안이 불가능하며 북컨테이너부두 2-1단계 지역은 DL.(-)18m까지 수심이 확보되므로 기 계획된 접안시설을 이용한 초대형선의 접안이 가능 하다.
서컨테이너부두지역은 현재 수심 DL.(-)17m까지 확보하도록 기본계획을 완료한 단계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시설의 평면계획 및 구조형식등을 계획하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 단된다.
따라서, 부산신항 지역은 초대형 컨테이너선부두의 배치여건이 양호하고 부산신항과 연계되 는 배후도로 및 배후철도의 건설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므로 연계수송 시스템 측면에서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 광양항
광양항 지역도 부산신항과 같이 컨테이너 전용항만으로 개발하는 단계별 계획이 수립되어 컨테 이너부두축조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바, 컨테이너부두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 3-18> 광양항 컨테이너 전용부두별 현황
단계별 접안능력 연 장 전면수심 비 고
1단계 4,000TEU×4선석 1,400m DL.(-)15m 운영중
2단계 1차 4,000TEU×2선석
2,000TEU×2선석 1,150m DL.(-)15m 운영중
2단계 2차 4,000TEU×2선석
2,000TEU×2선석 1,150m DL.(-)16m 최대 8,000TEU급 접안, 시공중
3단계1차 4,000TEU×4선석 1,400m DL.(-)17m 최대 8,000TEU급 접안, 시공중
3단계2차 4,000TEU×3선석 1,050m DL.(-)18m 최대 8,000TEU급 접안, 시공중
3단계3차
4,000TEU×5선석 1,750m - 최대 8,000TEU급 접안, 민자사업제안중
4,000TEU×9선석 3,150m - 향후계획
광양항의 컨테이너부두중 1단계 및 2단계 1차 부두는 운영중에 있으며 2단계 2차, 3단 계 1,2차 부두는 현재 시공중에 있다. 3단계 3차부두는 민간제안사업으로 4,000TEU급 5선석이 추진중에 있으며, 현재 시공중인 준설토 투기장 조성공사가 완공되면, 향후 투 기장 전면에 컨테이너부두 4,000TEU급 9선석을 축조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림 3-4> 광양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조감도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의 접안시설 수심현황은 3단계 1차 및 2차 지역이 DL.(-)17m이상 이므로 초 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가능하지만 항로가 컨테이너부두 안벽 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어 초대형 선 접안시 타부두 입출항 선박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운영중이거나 개발중인 컨테이너부두 지역에는 접안여건이 불량하다. 따라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접안시설 계획은 3단계 3차 지역중 향후 개발 예 정 지역이 가능하나 항 내 깊숙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어 초대형선 입출항에 따른 항로 소요수심 확보 문제로 전체 항로를 초대형선의 항로소요수심에 따라 증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연계수 송 시스템 측면에서는 배후도로 및 배후철도등의 개발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편이다.
(3) 개발가능성 검토
부산북항 지역은 초대형 컨테이너선부두의 개발여건이 매우 불량하므로 개발 가능성이 있 는 부산신항의 서컨테이너부두지역 및 광양항의 3단계 지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림 3-5> 부산신항 대상위치도
<그림 3-6> 광양항 대상위치도
<표 3-19> 항만 후보지 비교
구 분 부 산 신 항 광 양 항
항로 및 수심여건 DL.(-)17.0m 3 DL.(-)15.0m ~ 18.0m 2
해 역 정 온 도 방파제시설, 정온수역 3 폐쇄해역, 정온수역 3
재 항 시 간 항 입구부에 배치 3 항 깊숙히 배치 1
배 후 지 확 보 배후부지 확보여건 보통 2 배후부지 확보여건 보통 2
항 내 혼 잡 도 입․출항 여건 양호 3 입․출항 여건 보통 2
배후수송시스템 배후도로 이용 3 배후도로 이용 3
계 17 13
비 고
∙광양항보다 부산신항지역이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접안시설 배치여건이 유리하나 양항체제구축을 위하여 부산신항과 광양항을 초대형컨테이너 선용 항만시설계획 수립의 대상으로 선정
주) 양호 : 3, 보통 : 2, 불량 : 1
부산신항과 광양항의 비교시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입항에 따른 터미널 운영시스템, 세부 적인 경제성, 효율성 검토 등 검토항목이 많지만, 본 과업에서는 입지여건을 중심으로 개 략적인 비교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비교 검토 결과 부산신항 서컨테이너부두지역의 개발여 건이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나 부산항과 광양항의 양항 체제 구축을 위하여 광양항 3단계 3차 지역에 대한 검토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