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HHLA-CTA(Container Terminal Altenwerder)

CERES PARAGON TERMINAL

3. HHLA-CTA(Container Terminal Altenwerder)

가. CTA 터미널 개요

◦ 1997년 독일의 함부르크 시는 항만생산성 증가, 항만서비스의 향상, 화물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자동화 터미널을 개발하기 위해 HHLA에게 Altenwerder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권을 허가하였음. 안벽측에서 계획처리 물동량은 1차 계획에서 약 110 만TEU, 2차 계획까지 약 190만TEU로 설정하였으며, 2002년 4월 상업운영을 시작 할 예정이었으나 운영시스템 안정화 작업이 지연되어 2002년 10월에 상업운영을 시 작하였음

나. CTA 터미널 현황

◦ 시설현황

- 안벽의 높이는 수면에서 7.5m이고, 수심은 16.5m로 초대형선박의 기항이 가능하며, 장치장 폭은 600m임. 면적은 총 76만㎡이며, 목표 물동량은 120만 Box/Year임

CTA터미널 시설현황 및 계획

구 분(단위) 1단계 2단계 계

안벽길이(m) 810 590 1,400

면적(m2) 530,000 230,000 760,000

처리능력(TEU) 1,100,000 800,000 1,900,000 안벽능력(box/year) 700,000 500,000 1,200,000

장치능력(TEU) 15,000 15,000 30,000

운영인력(명) 300 170 470

C/C 7 7 14

ATC 21 23 44

AGV 35 30 65

투자액(백만 DM) 300 270 470

개장 년월 2002.10 2004.4 예정 2004.4 예정

◦ 운영현황

(1) 냉동 컨테이너

- 현재는 2블록 운영 중이며, 확장공사가 완료되면 전체 22개 블록에 3개를 사용할 예정

- 관리상의 이유로 장치장 중앙에 3개 블록을 집중 배치하였음

- 냉동컨은 door side가 서로 대칭을 이루며, 이 경우 트럭에 실을 때 door side를 바 꾸기 위해 ATC가 180° turn해줘야 함

(2) 장치장 운영 방식

- 장치 위치할당은 land side optimization(육측을 넓게 깔아서 최적화) 전략 사용 - 환적물량의 블록할당은 임의적재정책(random stacking policy) 적용

- 임의적재정책을 사용하되 가능하면 블록의 해측에 수출컨 장치, 블록의 육측에 수 입컨 장치하는 전략을 사용

- 모든 블록의 육측 끝은 위험화물용 영역임(위험물 장치장 기초는 Con'c Strip으로 설치)

- 장치위치할당의 우선순위에 따라 AGV의 waiting 비율이 달라짐

- ATC에 대한 작업기준은 빈운행을 최소화(to minimize empty travel)하는 전략으로 운영됨

- 내부 트럭은 샤시와 분리되며, 트럭뒤의 중앙에 트랜스폰더 감지기로 위치제어 - 트랜스폰더는 24m 범위 내에서 작동되며, 정확한 위치 제어는 양쪽에서 트랜스폰더

시스템을 사용

- 특수제작차량은 반드시 유지, 보수의 경우만 블록 내부로 진입하며 특정 위치만 가 도록 허용되어 주변 및 해당 블록의 ATC가 작업할 수 있도록 함

- 내부트럭이 rail operation 수행(rail은 RMGC이며, RMGC 스프레더는 90도 회전식) - 외부트럭은 6시~23시까지 작업함

(3) C/C 운영 현황

- C/C 생산성 : 평균 30lifts/hr - 안벽점유율 : 최대 40%

- C/C 할당 : 선박당 3~4대

- twin lift를 적용할 경우 unloading작업은 단순하지만 loading작업은 어려움

- C/C에서 블록할당은 넓게 펴쳐 블록을 순환식으로 할당

ex) 4개 블록에 할당할 경우 : 블록1->블록2->블록3->블록4->블록1->블록2->

블록3->블록4->....

- Yard의 ATC레일의 콘크리트 침목에 Transponder를 설치하여 ATC 위치파악

(4) 안벽

- AGV는 45대를 pooling system으로 운영하며, 개별 C/C에 대해 할당하지 않음 - AGV를 work in advance하더라도 평균 3~4대의 AGV가 필요

(5) 초대형선에 대한 전략

- OOCL 쉔젠호(8,000TEU급)에 대해서 48시간에 4,000move를 처리한 바 있음 - 초대형선의 재항시간을 48시간내에 처리하도록 제약되어 있음

(6) 셋백에 대한 의견

- 셋백길이가 큰 의미를 가지지 않으며, CTA의 경우 셋백길이가 2.5m로도 충분함

(7) 컨트롤 타워

• 본관건물 5층에 위치

• 67명이 교대로 근무하며, 운영 Program의 수정작업 진행중

◦ 기타 토목시설 현황(선석계획, 본선계획, C/C 장비배정은 미국의 NAVIS社에서 Program개발)

• 터미널 부지 조성방법 및 RMGC 기초형식

- 본 터미널은 6m 두께의 모래매립으로 부지를 조성하였음

- 장치장 ATC기초는 Pile을 박지않고 침목기초로 하였으며, 철송장의 RMGC는 Pile 기초로 시설됨.

• 부지침하의 현황 및 허용 잔류침하량

- 터미널 부지내 침하는 44~50㎝ 정도 허용하며 최대 80㎝까지 발생한 곳도 있음.

평균 침하량은 20~30㎝ 내외임

- 침하에 따른 포장의 상당 부분 파손이 발생됨 • ATC 레일 유지보수 방법

- 별도의 계측장비는 없으며, 육안으로 관찰하여 변형발생시 수시 보수 (1) 하역시스템

◦ CTA 터미널 시운전기간 중 나타난 주요 문제점들은 무엇이었가.

- 큰 문제는 없었으나, 개장후에도 사람의 손을 필요로 하는 사소한 문제들은 상존하 고 있음.

◦ 자동화터미널 규모가 ECT-Delta Terminal의 경우 3선석, CTA의 경우 4선석인데 이들보다 더 큰규모인 5선석의 자동화 터미널 개발시 문제점

- CTA를 4선석으로 한 것은 선측 뿐만아니라 CY “컨”처리능력 등을 감안하여 그 규모를 정한것이며, 이러한 제반능력과 부지의 여유가 있을 경우, 4선석 이상의 자 동화에 아무런 문제가 없음.

◦ 자동화터미널을 수평배치로 계획시 자동화여부 및 예상문제점은 무엇인가?

- 야드 이송장비와 RMGC와 간섭문제로 바람직하지 않은 배치임

◦ CTA 터미널에서 유휴시 별도의 AGV Parking Area가 있는가?

- AGV의 Parking Area는 별도로 없으며, 처리물량이 적은 경우 AGV주행구간 일부 지역에 정차함

◦ 이송장비로 자동화 된 AGV를 채택하고 있는데, SHC(Shuttle Carrier)를 채택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 터미널 운영장비는 검증된 장비만을 대상으로 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10 년전 자동화 터미널 계획 당시는 Shuttle Carrier는 검증된 장비가 아니었음

- 향후 Terminal 건설시는 Shuttle Carrier를 고려할 생각임.(Capt. Biesheke)

◦ 이송장비로 AGV대신 Automated SHC(Shuttle Carrier) 도입에 대한 의견으로 현재 AGV에 비해 SHC가 경제성이 떨어지며, 향후 Automated SHC에 대한 타당성 분 석을 통한 도입여부는 고려하고 있음

◦ CTA의 철송장 레일연장은 몇 m로 시설되어 있는가?

- 700m로 설치되어 있음.

(2) 장 비

◦ Dual Hoist Container Crane(C/C) 시간당 처리갯수 능력

- 현재 시간당 평균 32 van/hr를 처리하고 있으며, 향후 38 van/hr를 목표로 하고 있음.

◦ Dual Hoist Type C/C 선정사유

- Single Hoist Type C/C에 비해 생산성이 높으며, 자동화 용이

◦ 현재 CTA 운영장비 종류 및 수량

- C/C 14기, AGV 53대, ATC 44대(22블럭), Y/T 14대

◦ ATC 장비를 반자동으로 운영시 변동사항이 있는가.

- 사람탑재용 CABIN이 추가 설치로 높이가 높아져야 함.

다. 주요도면 및 사진

< CTA 터미널 평면도 >

< CTA 터미널 운영 상세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