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학내 전공 및 다전공 정책 특성

서울대학교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학과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으 로, 각 단과대 내부의 전공이 매우 세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계열 제를 택하고 있는 일부 단과대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학과를 중심으 로 선발을 하고 있으며, 계열제로 선발하는 경우에도 전공 예약제 등을 통해 입학 시 전공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입학시 전공에 대한 종속도가 높다. 특히 다전공을 위한 경쟁률이 치열하고, 전과 규정 또한 엄격한 편이기 때문에 앞서 언급된 서울대학교 장기발전계획과는

달리, 실제 전공선택기회 다변화 수준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전공 수준과 관련된 정책 및 실천은 아래와 같다.

입학 시기에 융합적 전공 자체에서 독립된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는다 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학생들의 교육과정과 관련된 경험은 필연적으로 주전공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학생들의 졸업 학점을 비롯한 졸업 요건이 주전공을 중심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Weidman, 1989). 전공 이 수 관련 구체적인 사항은 단과대 및 학과별로 상이하며 아래와 같다.

대학

졸업 (수료)

학점

교양 학점

주전공학점 단일전공

이수

다른 전공 병행 이수

인문대학

아래 이외의 학과

130 36 60

39 불어불문학과

42 서어서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아시아언어문명학부5) 39

사회과학대학 130 36 60 39

자연과학대학 130 44 60 39

간호대학 140 36 96 96

경영대학 130 36 60 39

공과대학

아래 이외의 학과(부)

130

40- 60

62

39 건설환경공학부,

재료공학부 54

전기정보공학부

63 42

컴퓨터공학부 41

기계항공공학부, 원자핵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62 42

산업공학과 59 43

건축학과 건축공학전공

40

73 54

건축학과

건축학전공(5년제) 160 110 110

농업생명 과학대학

아래 이외의 학과(부)

130 36

48 조 경⋅지 역 시스 템 공학 부 , 48

바 이 오 시 스 템⋅소 재 학 부 60

<표 4-4> 전공별 졸업 이수 요건

위의 이수 요건은 현재 서울대학교 학부 교육 및 다전공 이수와 관련 하여 몇 가지를 시사한다. 첫째로, 전공학점 수준이 높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 대학 전공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한 신정철 외(2011)에 따 르면, 우리나라 대학은 전반적으로 전공학점 비중이 높은 편이며, 심화전

5) 단일전공 불가 6) 세부 전공별 상이

(바이오시스템공학), 응용 생물화학부 (응용생명화학 전공)

농경제사회학부(농업⋅자원

경제학) 70 39

미술대학

동양화과 130

36

71 52

서양화과 68 61

조소과 69 68

디자인학부

60

57 사범대학

아래 이외의 학과

130

36

52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계 37-

38 사회교육과

역사교육과 36 59 59

생활과학

대학 130 38-

42 60 48-49

수의과대 학

수의예과 72 45 20 20

수의학과 148 148

약학대학 4학년제 150 37 150 150

2+4학년제 150 150 150

음악대학

성악과

130 36

72 72

작곡과(작곡전공) 58 58

작곡과(이론전공) 62 62

기악과(피아노전공) 64 64

기악과(현악전공,

관악전공) 74 74

국악과6) 76 68

의과대학 의예과 74 41 23 23

의학과 148 148

자유전공 학부

기존전공(연합전공 포함)을

주전공으로 선택 135 36 선택 전공 이수학점

선택 전공 이수학점 학생설계전공을

주전공으로 선택 60 39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2021. 3. 13)를 토대로 작성

공과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학 교육과정이 다른 학문 영역과의 통 합성을 낮추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여전히 문이과로 나뉘어 있는 대 입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을 고려했을 때, 학생들이 다른 계열의 학과 혹 은 전공을 다전공으로 이수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각 연합전공 이수자들의 주전공 학과 구성 현황 은 아래와 같다.

전공명

주전공 계열  A B C D E F G H I

예술계열 7 5 26 0 0 8 0 0 0

인문사회계열 76 81 9 35 5 43 10 3 0

의·약학계열7) 0 0 0 1 1 2 0 0 0

경영학 계열 13 6 0 1 2 9 1 9 0

공대 6 5 2 4 4 33 0 47 80

사범/생활/농대 16 39 3 15 4 28 0 4 21

자연 0 0 0 8 14 4 0 17 9

총계 121 136 40 64 30 127 11 80 110 출처: 서울대학교 학사과 자료 일부 발췌

<표 4-5> 연합전공 이수자 주전공 학과 구성 현황 (2021년 1학기 기준)

위의 표에 따르면, 주전공 계열별로 학생들이 활발하게 참여하는 전공 이 특정 전공으로 쏠려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쏠림 현상은 학생들이 주전공 역시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 서 필연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으나, 일종의 장벽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개인의 주전공의 계열 특성이 특정한 연합전공 을 이수하는 데에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경영학이나 아니면 농생대 쪽으로 하기에는 우선 경영학은 학점 인플레가 너 무 심해서 진입하기 너무 어려웠고, 농대 쪽으로 고민을 해봤는데 거기는 또 너무 수학, 과학 관련 전공이 많다 보니까. 그리고 또 제가 인문대 출신이기도 해서 그냥 아예 짬뽕 돼 있는 거를 가는 게 낫겠다 생각했어요.” (학생 X) 7) 간호, 수의 등 포함

위의 학생의 경우 본인의 인문대라는 배경 특성으로 인하여 수학과 과 학 관련이 많은 전공은 선택하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였다. 각 학문이 융합적 성격을 표방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자신의 주전공 배경의 영 향으로 특정 전공은 쉽게 이수하는 반면 특정 전공은 쉽게 이수하지 못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위의 이수체계를 살펴보면 학과마다 졸업 학점, 교양 학점, 단일전공 이수 시 주전공 학점, 다른 전공 병행이수 시 주전공 학 점 등이 다른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어떤 단과대는 해당 전공에서 더 많은 학점을 이수할 수 있도록 다전공 이수를 하더라도 주전공 이수 학 점을 크게 줄여주지 않는 반면에 어떤 학과는 다전공 이수를 필수로 정 하고 있다. 특히 주전공 학점과 관련하여 병행 이수 시 주전공 학점이 감소되는 정도는 타전공 병행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 다. 병행 이수 시 주전공 학점을 39학점 이상만 들으면 되는 전공의 경 우, 요구되는 주전공 학점이 연합전공의 최소이수 요건과 같은 수준이라 는 점에서 주전공에 대한 흥미가 높지 않은 학생들이 다전공을 선택할 유인으로 작용한다.

면담 결과, 학생들은 실제로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단과대 및 학과의 다전공과 관련된 정책에 따라 융합적 전공 진입에 영향을 받는다. 일차 적으로, 학생이 연합전공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이러한 학과 차원의 전공 이수 정책이 다전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느냐와 관련이 있는 것으 로 보인다. 예를 들어, 주전공의 전공 이수 정책상 심화전공 혹은 다전공 을 의무로 하는 경우, 더욱 적극적인 전공탐색 과정이 일어나고 있다.

“제가 주전공이 ○○대였는데 졸업하려면 복수전공을 하거나 부전공을 하거나 아니면 그 심화전공을 해야 되잖아요. 근데 심화전공은 더 듣기가 싫어서 일단 배제했고,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을 해야 되는데…” (학생 X)

“아 근데 애초에 ○○대는 복수전공을 안 하게 되면 단일전공으로 60학점을 전공만 들어야 되기도 하고 그러니까 다른 전공을 했어야 했는데 같은 계열 내에서는 하고 싶지 않았고…” (학생 V)

또한 대부분의 학과에서 다전공 이수 여부를 선택에 맡기고 있으나, 심화전공 혹은 다전공 중 하나를 필수로 선택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 있 는 단과대 내 학생의 경우, 심화전공에 대한 부담이 연합전공을 이수하 도록 하는 유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어 우선 ○○○○○○○○부(주전공 학부)가 과가 그렇게 크지 않아서 열리는 수업들을 아마 진짜 열리는 전공을 다 들어야 심화전공학점을 채울 수 있을 거예요. 근데 제가 알기로는 전공학점이 60인가? 그렇게 돼 있는데 아마 진짜 다 들어야 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은 또 전공 수업이 매 학기 여러 개 열리 는 게 아니라 작은 과다 보니까 이렇게 띄엄띄엄 열려서 너무 졸업이 늦어질 거 같아 갖고…” (학생 X)

“저는 막 심화전공을 하면 나중에 취업을 하거나 그러기에 조금 어려울 수 도 있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고 그러면 완전 대학원 갈 수밖에 없지 않나 약간 이런 생각 들어서 더 일부러 심화전공을 아예 선택을, 고민을 안 했 었거든요.” (학생 Q)

나. 다전공 이수 정책의 영향

서울대학교의 다전공 제도는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하고, 33학점 이 상 신청한 후에 신청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복수전공 과 연합전공은 동일한 교육과정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연합 전공과 복수전공은 둘 다 39학점을 이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수 시 졸 업증서에 이수 사실이 기재되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소속 입학 시기에 독립된 신입생 선발 안 함

졸업규정 단과대 및 학과별로 상이 (일부 단과대 다전공‧심화 전공 의무)

신청자격

· 참여학과 소속 여부 무관

· 2개 정규학기 이상 이수, 33학점 이상 취득

· 이수 이전 취득 학점 인정, 주전공과 9학점까지 중복학점 인정

신청절차 신청제 (복수의 전공 동시 신청 가능)

선발기준 성적 / 학업계획서 / 면접 등 전공별로 상이함

선발인원 선발인원 제한 있음

↓ 과정이수 학점

및 졸업 요건

소속학과(부)와 연합전공에서 각각 39학점 이상 이수, 성적 평점평균이 2.0 이상

↓ 졸업증서 등의

기재

졸업증서 및 학적부에 그 사실을 기재, 별도의 졸업증서 수여하지 않음

출처: 서울대학교 홈페이지(www.snu.ac.kr) 내용을 기반으로 재구성

<표 4-6> 다전공 이수 규정

표면적으로 보았을 때, 연합전공과 복수전공은 유사한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일반적인 복수전공 및 부전공의 경우 다전공을 희망할 경우에도 이수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다. 실제로 교수 D는 특정 전공의 다전공 경 쟁률은 4:1까지 치솟기도 한다고 언급하였다. 반면에, 연합전공은 단순히 성적으로만 선발을 하는 복수전공에 비하여 전공에 따라 면접, 자기소개 서 작성 등의 복잡한 선발 절차를 거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연합전공 고유의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라기 보다는 높은 경쟁률로 인하여 원하는 복수전공에 진입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다 른 선택지를 찾는 과정에서 연합전공을 이수하게 되었다. 특히 서울대학 교 복수전공의 경우 학점을 기준으로 선발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점 컷”으로 인하여 일종의 차선책으로 연합전공 이수를 결정하게 되었다.

“그리고 뭐 ○○학이나 아니면 ○○대 쪽으로 하기에는 우선 ○○학은 학점인 플레가 너무 심해서 진입하기 너무 어려웠고, ○○대 쪽으로 또 고민을 해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