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실험 절차
2.1. 문항 개발 절차
2.2.1. 학습자 오류 분석
2.2.1.1. 학습자 오류 분석 절차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관형사형 어미와 관련하여 겪는 습득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관형사형 어미 오 류를 메타분석하였다. 우선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한국어교육’
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결과 내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관형사형 어미’를 재검색하여 학술지 논문 35편, 학위 논문 81편을 1차 선정했다. 이후 학 술지 논문 중 중복되는 것 9편을 제외하였다. 다시 ‘한국어교육’ 검색 결
과 중 결과 내 검색을 통해 ‘관형절’을 검색하여 학술지 논문 중 기존 결 과와 중복되지 않는 논문 12편을 추가했다. 이 중 한국어교육 분야 외의 학술지논문 7편, 학위논문 2편, 원문을 제공하지 않는 학위논문 1편을 제 외했다4). 110편의 선정된 연구물 중 실제 학습자 오류가 나온 54편에서 학습자의 관형절과 관련되어 언급된 오류 1224개를 추출하고, 이 중 관 형사형 전성어미 오류로 보기 힘든 것과 오류 문장으로 보기 힘든 것들 을 제외해 총 904개의 오류를 분석했다. 전성어미별로 오류를 분류하고, 이를 다시 대치, 첨가, 누락, 형태 오류로 분류하였다. 이후 다시 검색 D B에서 ‘한국어교육’으로 검색을 수행하고, 결과 내 검색 기능을 활용하여
‘관형사절’을 검색하여 관련 분야 중 누락된 학술지 논문 3편, 학위 논문 4편을 다시 검토하였다. 이 중 학습자 오류가 나타난 논문 5편에서 오류 37개를 추가하였다.5)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15>와 같다.
4) 2019년 5월 11일 기준
5) 해당 키워드 추가는 논문 심사 과정에서 심사위원의 피드백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어교
1차 키워드 활용 검색(한국교육학술정
보원)
“한국어교육” → 결과 내 검색 → “관형사형
어미”
학술지 논문 35편 학위논문 81편
⇩
중복 논문 제외 학술지 논문 9편 제외 학술지 논문 26편 학위논문 81편
⇩ 2차 키워드 활용 검색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어교육” → 결과
내 검색 → “관형절” 학술지 논문 38편 학위논문 81편
⇩ 한국어교육 분야 외
논문, 원문 미제공 논문 제외
학술지 논문 7편 제외
학위논문 3편 제외 학술지 논문 31편 학위논문 78편
⇩ 실제 학습자 오류
제시 논문 선정 - 학술지, 학위논문
54편
⇩
학습자 오류 추출 - 1224개 문장
⇩ 관형사형 어미 관련
오류 문장 선정 - 927개 문장
⇩ 관형사형 어미 별
오류 분류 및 오류
분석 - 대치, 첨가, 누락,
형태 오류
⇩
“관형사절”키워드 활용 누락 논문 추가
및 재분석
학술지 논문 7편,
학위 논문 2편 추가 37개 문장 추가 총 964개 문장
<그림 15> 학습자 오류문 분석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