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어의 상과 관형사형 어미

II. 관형사형 어미 지식 습득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

1.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습득에 대한 이론적 고찰

1.3. 한국어의 상과 관형사형 어미

상이란 ‘상황의 내부 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Comrie, 1976). 콤리(Comrie, 1976:2-3)에 따르면 상과 시제는 모두 시

간과 관련된 범주이지만, 시제가 현재를 중심으로 하여 사건이 일어난 시점을 가리키는 것과 달리 상은 사건의 내부 구조를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러시아어를 비롯한 슬라브어에서 완결상과 비완결상의 대립을 볼 수 있다. 시제와 마찬가지로 상 역시 문법 범주를 통해 실현된다. 즉, 시간을 현재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한 시제와 달리, 상의 측면에서는 사건이 <그림 3>과 같이 보다 복잡한 모습을 보인다.

<그림 3> 상 측면에서의 시간(Comrie, 1985)

0을 현재로 두고 보았을 때, 사건 A, B, C, D, E는 과거시제, F, H, I는 모두 미래시제이다. 그러나 A, B, C와 비교하였을 때 D와 E는 동일하게 과거일지라도 동일한 시간을 점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G의 시작점은 F에 선행하여 있음에도, 동일 구간을 점유하고 있으며 그 사건의 끝점은 F보다 후행한다는 점에서, 시제로 표현하지 못하는 시간 범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담당하는 것이 상적 표현이 된다.

콤리(Comrie, 1976)에 따르면 대표적인 상 범주로는 완결상(perfective) 과 비완결상(imperfective)의 대립을 들 수 있다. 완결상이란 사건의 내 부 국면을 명시적으로 지시하지 않는 것이며, 비완결상이란 사건의 내부 국면을 명시적으로 지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완결상과 달리, 비완결상은 몇몇 언어에서는 하위 범주를 가진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림 4> 상적 대립의 분류(Comrie, 1976: 10)

비완결상의 하위범주로는 습관상과 지속상을 들 수 있으며, 지속상의 하위범주로는 다시 비진행상과 진행상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언어에서 완결상과 비완결상이 대비되는 것은 아니다. 문 숙영(2014)에 따르면, 모든 언어에서 완결상과 비완결상이 명확히 대립되 는 것은 아니며, 완결상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경우에도 동사 파생으로 이것이 표시되는 슬라브어계열과 굴절로 표시되는 로맨스어 간에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한국어에서는 ‘-았-’이 과거를 지시하지 않는 용법이 있 어 완결상으로 논의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았-’을 완결상의 표 지로 설정하기 어렵다고 하였다.

물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는 여러 논의들이 완결상, 혹은 완료상과 비 완결상, 혹은 비완료상의 대립을 설정하고 있다. 고영근(2006)에서는 기 존에 완결상(perfective)과 완료(perfect)를 분류한 것은 단순히 끝남과 결과 지속을 함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끝남에 중점을 둔다면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보아 이를 하나로 묶어 완료상(perfect)으로 설정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완료상을 나타내는 형태로는 ‘-어 있다, -고 있다2, -어 버리다, -고서, -어서’ 등을 들었다. 여기서는 미완료상의 하 위 범주로는 진행상과 예정상을 들었다. 남신혜(2018)에서도 상의 범주 를 완료상과 미완상으로 나누고, 완료상의 하위 범주를 결과상과 종결상, 미완상의 하위 범주를 진행상과 연속상, 방향성 진행상으로 설정한바 있 다.

국어학적으로도 한국어교육학적으로도 한국어의 상 체계를 설정하는 데 에는 논란이 있으나, 이는 하나의 형태소가 반드시 하나의 의미만을 고 정적으로 가진다기보다는 상을 표현하는 문법 형태의 원형적 의미를 파 악하기 위한 것이다. 월리스(Wallace, 198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거 시제 형태소가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시제가 아닌 양태나 상 등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한국어에서도 ‘-았-’의 의미를 보조 동사 에 준하는 상 의미로 파악하는가 하면(목정수, 2000), 기본 의미를 과거 시제로 설정하면서 과거 시제보다는 상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용례를 제 시하는 경우(김천학, 2017)도 있다. 관형사형 어미의 상적 의미는 박진호 (2011)에서 언급한 대로, 과거형 어미에서만 완결상 ‘-(으)ㄴ’과 비완결상

‘-던’의 대립이 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