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핵심 성과지표 총괄표
지표명(단위) 기준값
1차년도
(‘17.6~’18.2) 2차년도
(‘18.3~’19.2) 3차년도
(‘19.3~’20.2) 4차년도
(‘20.3~’21.2) 5차년도 (‘21.3~’22.2)
목표치 실적치 목표치 목표치 목표치 목표치
① 사회맞춤형학과
참여학생 수 0 ○○○ ○○○ ○○○ ○○○ ○○○ ○○○
② 채용약정 학생인원 수 0 ○○○ ○○○ ○○○ ○○○ ○○○ ○○○
③ 참여학생의 만족도 0 ○○○ ○○○ ○○○ ○○○ ○○○ ○○○
④ 참여기업의 만족도 0 ○○○ ○○○ ○○○ ○○○ ○○○ ○○○
⑤ 협약기업 취업률 0 ○○○ ○○○ ○○○ ○○○ ○○○ ○○○
2.2. 2 차년도 핵심 성과지표 세부 내용
핵심 성과지표 1: 사회맞춤형학과 참여학생 수 목표값 설정근거
운영 중인 사회맞춤형학과가 없어 기준값을 0으로 정함
LNG트랙, MICT트랙은 2~4학년, 해양레저트랙은 3~4학년 참여하고 채용약정 학생 수의 1.5배 이내 인원을 참여학생 수로 정함
트랙명 목표값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LNG트랙 ○○○ ○○○ ○○○ ○○○ ○○○
MICT트랙 ○○○ ○○○ ○○○ ○○○ ○○○
해양레저산업트랙 ○○○ ○○○ ○○○ ○○○ ○○○
달성전략
각 트랙별로 매학기 참여기업이 배석하는 운영위원회 개최 시 채용약정에 대한 이행 여부와 대책에 대하여 협의함
우수학생 유치를 위한 설명회 및 홍보 확대하며, 약정업체․학생 만족도 조사를 통한 개선사항 도출 및 환류
핵심 성과지표 2: 채용약정 학생인원 수 목표값 설정근거
운영 중인 사회맞춤형 학과가 없어 기준값을 0으로 정함
1차년도 LNG트랙은 학년당 24명, MICT트랙은 학년당 20명, 해양레저트랙은 학년당 7명을 채용약정 하였고 5년 후 117%(1차년도 대비)를 목표로 함
트랙명 목표값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LNG트랙 ○○○ ○○○ ○○○ ○○○ ○○○
MICT트랙 ○○○ ○○○ ○○○ ○○○ ○○○
해양레저산업트랙 ○○○ ○○○ ○○○ ○○○ ○○○
달성전략
LNG트랙 및 MICT트랙의 경우 1차년 약정기업 내에서 사업성과를 토대로 약정인원의 증가를 계 획하고 있으며, 해양레저산업트랙의 경우 새로운 약정기업 발굴을 통해 약정인원 증가를 계획함
핵심 성과지표 3: 참여학생의 만족도 목표값 설정근거
운영 중인 사회맞춤형학과가 없어 기준값을 0으로 정함
참여학생의 만족도는 3개 트랙별 교과 및 비교과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계획임
프로그램 참여학생의 만족도 70%를 ʼ17년 목표로 하며, 향후 프로그램 운영 시 참 여학생의 만족도 결과를 고려하여 프로그램 운영방법의 개선에 활용할 것임
달성전략
참여학생 만족도 조사 결과는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방법의 개선 포인트로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만족도 조사 결과의 활용성 및 중요성을 프로그램 참가자에게 고지하고, 만족도 조사의 참여율을 높임
만족도 조사에 충실히 임한 학생(프로그램에 관한 우수의견을 제시한 자)에게 포상 활동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참여동기를 극대화함
만족도 조사의 결과값 및 우수의견을 제시한 포상자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향 후 사회맞춤형 프로그램의 참여율을 높임
핵심 성과지표 4: 참여기업의 만족도 목표값 설정근거
운영 중인 사회맞춤형학과가 없어 기준값을 0으로 정함
사회맞춤형학과의 참여 기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할 계획임. 만족도 조사의 대상은 산업체 겸초빙 교수 및 참여기업으로 매 학기 종료시점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 참여기업의 만족도 결과를 반영하여 트랙별 산업체 협력방안 및 사업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활동에 활용할 것임
달성전략
참여기업 만족도는 본 사업 추진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므로 만족도 조사 결과는 본 사업 전반에 개선사항으로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산업체 겸초빙 교수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대학-산업체 간 공동교육 프로그램 개 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교과과정위원회에 환류할 수 있도록 하고, 참여기업에 대한 만족도 결과는 사업운영 전반에 활용할 것임
참여기업의 만족도 결과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환류하며, 개선 내용을 참여기업 에 공유하여 대학의 적극적인 노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
또한 산업체 입장에서 적합한 프로그램 내용, 본 사업 참여에 따른 긍정적 요소를 공유하여 참여기업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함
핵심 성과지표 5: 협약기업 취업률 목표값 설정근거
운영 중인 사회맞춤형학과가 없어 기준값을 0으로 정함
최근 3년간 대학취업률이 77.4%로 1차년도에는 이를 상회하는 88%를 목표값으로 설정함 참여기업내 약정인원 증가와 새로운 약정기업 발굴을 지속하여 5차년도에는 협약
기업 취업률 98%를 목표로 함
달성전략
협약기업에서 요구하는 공인교육이수증 및 자격증 취득 기회 확대 및 지원
협약기업이 채용 후 이루어지던 직무교육을 졸업 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취업에 우선권을 선점함
협약기업과 학생의 만족도 조사를 토대로 참여기업 수요를 반영한 교재선정과 개발 및 실습을 교과과정 환류체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맞춤형인재 양성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