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천안문 광장과 월드컵 때의 서울광장

- 출처: 좌로부터 google map, http://www.museum.seoul.kr

여기서 주목 해야 하는 것은 이 집단화된 경험의 변화이다. 본 연구의 핵심 주제 인 정보통신의 발전과 변화에 따른 경험의 변화가 이러한 공공 환경에서의 집단적 경험 혹은 타인의 관계성 속에서의 경험을 극단적으로 변화 시키고 있는 것이다.

부연하지 않고서라도 지금의 거리, 공원 등을 포함한 공공 환경에서의 가장 뚜렷 한 행태는 스마트 폰을 통한 개인화된 경험의 집합이다. 즉, 과거의 공공 환경에 서의 경험이 보다 물리적인 거리를 좁히는 실재적 경험에 기반을 두었다면, 지금 의 집단적 경험과 공감대는 오히려 자신과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연결하고 있는 SNS를 통한 가상적 경험에서 먼저 시작되고 있다. 그리고 실재 공공 환경 에서의 만남과 공유는 이러한 가상적 정보와 경험에 의해 전제된 유사한 사람들의 체험적 경험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림 4-12.공공환경에서의 경험의 소통

특히 거리와 같은 공공이 이용하는 환경을 기획할 때 이러한 복잡하고 급진적인 변화에 따른 맥락적 이해는 더욱 중요하게 대두된다. 앞서 도시 경험의 맥락적 견 해에서도 예를 든 바와 같이 강남과 강북의 가장 대표적인 거리문화를 만들어 가 고 있는 삼청동과 가로수길 등의 예에서와 같이 지금의 공공 환경과 경험은 기존 도시 경제적 측면에서의 강북과 강남 문화권의 중심이 되었던 종로와 강남과는 다 른 문화적 공감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즉, 기존의 종로 및 강남이 대로변의 교통 중심지에 높은 빌딩으로 이루어진 경제적 이슈에 기반을 둔 집단적 경험을 기반으 로 이루어진 환경인데 비해 지금 만들어지고 있는 새로운 공공의 대표적 거리는 2차선의 좁은 도로가에 매우 좋은 인도폭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개인화된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결국 특정 문화의 개인화 된 이미지가 투영된 경험을 기반으로 공공 환경 역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 4-13. 경험의 공유와 그에 따른 경험의 연계

- illustrated by CA Plan 공공환경에서의 경 콘텐츠 및 경험정보의 수집 및 공유 경험의 확장 및 소통

정보통신의 발전 등에 기인한 상대적으로 개인화된 경험이 공공 환경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사례는 수 없이 많다. 즉, 지금의 공공 환경에서의 경험적 요구 는 과거 이렇게 사는 것이 공공의 질서와 환경 그리고 함께 사는 질서에 도움이 되 며 그러한 공통의 관점에 우선하는 기획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관점의 중요성을 약 화시키고 있다. 그에 반해 최소한의 타인의 영향 속에 자신의 개인화된 도시 경험 을 즐기고 영위하려는 변화하는 경험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것이 직간접 적으로 형태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4-2-2-4 도시 자연환경-City Scape

근대 건축에 가장 영향력을 미친 르 코르뷔지에는 3백만이 거주 할 브에노스 아 이레스 도시 계획을 설명하며 현대 도시가 수목으로 뒤덮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 리고 그는 모든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도시 어디에나 나무를 한 그루씩 심는 법률 을 만들 자고 제안하였다. 나무에는 그 나무를 심은 어린이의 이름을 붙이고 오륙 십년 안에 이 사랑스럽고 아름다운 행위로 만들어진 도시위에 나이가 든 당사자들 은 엄청나게 가지를 뻗은 나무 숲 아래에서 우리의 몸과 심장에 자연이 얼마나 중 요한지를 알려주고 싶다고 말한다.

그림 4-14. 르코르뷔지에, 푸른 도시(La Ville Verte)

- 출처: 르 코르뷔지에, 정진국, 이관석 역, “ 프레시지옹”, 동녘, 2004, pp. 171-174.

가장 합리적이고 근대적인 기술에 의한 새로운 도시와 건축을 설명하는 자리에 서 그가 주장한 푸른 도시(La Ville Verte)는 지금의 우리의 도시에 가장 필요 한 화두를 던져 주고 있다. 그 가장 큰 변화의 시작 역시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른 기존 도시에서의 경제활동을 위한 업무 행태의 변화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과거 도시 활성화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의심할 바 없이 경제활동을 위한 기반 시설 및 관련 인원의 집적화 였다. 이는 경제 활동의 가장 주체가 되는 인적, 물 적 요소를 포함한 모든 기반 시설의 집적화를 만들었다.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화 의 가장 주된 요소인 인적요소의 집적은 근대화 이후 도시의 정체성을 변화시키 는 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도시는 생산을 위한 보다 효율적 인 구조를 만들기 위해 발전해 왔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도시민 개개인의 삶의 질이 아닌 경제 활동을 위한 가치 그리고 그 효율성을 위한 자본적 가치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는 물론 매우 심각한 도시 환경의 피폐화 를 가져왔다. 도시의 인적 집적화는 도시 내 지가의 상승을 가져왔고, 도시의 모 든 열린 공간은 자본적 가치로 환산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변화에 가장 큰 손 실은 결국 도시 내 자연환경의 축소였다. 물론 이러한 변화는 보다 근대화의 경 험을 급격히 만들어낸 신흥 도시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선진국에 비 해 근대화 및 도시 경제화의 요구가 보다 절실했던 개도국 및 후진국에서 보다 많 은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일본 마치나미경관 연구회에서 90년대 말에 출간한 “도시건축의 경관창조”에 서 도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를 크게 건축물과 토목구조물 그리고 자연물로 구성 되는 사물의 형태적 요소, 통행인이나 주민의 행동과 행위로 이루어지는 사람의 활동성(activity), 그리고 시간축 속에 존재하는 경관으로서의 역사성을 들고 있 다.35 도시의 경관과 이미지를 만드는 요소에 있어 사람들의 행동과 행위의 변화

35. 건축 마치나미경관연구회 저, 조용준 외 역, “도시건축의 경관창조”, 기문당, 1998, p. 27.

는 도시의 환경을 변화하는 큰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정보통신의 발전은 도시 경제 활동의 가장 근본적인 업무의 행태를 변화시키고 있다. 단순히 인터넷 과 개인단말기의 발전에 따른 업무적 회의의 형태 변화뿐만 아니라, 그 근무환경 과 근무행태 자체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도시는 단순히 업무의 집적화가 아닌 삶의 질적 가치를 실현시켜주어 야 할 환경으로서의 장소적 역할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 근 모든 도시의 가장 큰 화두 중의 하나는 도시 내 자연환경의 확보와 그 역할에 대한 재해석이다. 도시는 단순히 경제활동을 위한 장소이기 이전에 도시민의 삶 의 터전으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살기 좋은 환경에 대한 요구 는 무엇보다 도시 내 자연환경의 확보 및 강화에 그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는 것이 다. 조경가인 제임스 코너(James Corner)는 젠스 옌센(Jens Jensen)의 견 해를 들어 도시는 무엇보다 건강한 삶을 위해 만들어지며, 미래의 도시 계획가들 의 첫 번째 관심사는 도시 복합체(complex)의 녹지가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여기서 이 녹색의 복합체(Green complex)는 공원과 오픈 스페이스의 형 태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환경은 도시에 공익, 건강, 사회평등, 그리고 경제 적 개발을 가져오리라고 주장한다.36 그의 견해와 같이 도시 자연환경의 가장 큰 축은 무엇보다 공원과 가로수 그리고 열린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도시 내 가로수 의 역할은 도시 경관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며, 도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핵심적 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경관 혹은 미관적 차원이 아닌 도시민의 삶의 모습을 결정하고 변 화시키는 큰 원동력이 되고 있다. 많은 논란의 중심에서 최근 서울의 용산 미군기 지 부지의 당선안으로 선정된 승효상과 West8의 작품을 보면 이러한 변화의 요 구는 현실적으로 두드러진다.

36. 찰스 왈드하임 엮음, 김영민 역,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도서출판 조경, 2007, pp. 25-26.

그림 4-15. 용산 공원 설계 당선작 -

west 8, 이로재 외

서울의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가장 지가가 높은 이 지역은 결국 도시민의 허파 로서 그리고 서울의 미래를 재설정하는 공원으로서 그리고 무엇보다 도시 내 자연 환경의 복원이라는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재해석되었다. 단순히 도시 내 가 로수 혹은 정원과 같은 요소로서의 자연환경이 아닌 도시 삶과 연계되어지는 도시 민의 삶의 터전으로서 도시 자연환경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자연환경에 대한 주목이 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는 없다. 이 미 뉴욕의 센트럴 파크와 같은 근대도시 계획에 있어, 그 보다 더 오랜 유럽의 도 시 공원의 수 없이 많은 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도시 내 자연환경의 역할과 의미는 시대적 변화를 넘어 도시 공간의 형성 및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쳐온 것이 사실이 다. 또 다른 도시 공간 내 자연환경 요소로는 물과 공기를 들 수 있다. 수변 공간 을 중심으로 발전된 도시의 형성에 관해서는 부연할 필요 없이 수 없이 많은 역사 적 증거를 찾아 볼 수 있다. 이는 과거 도시의 형성에 있어 무엇보다 물의 역할이 크게 작용한 결과이며, 이는 도시 기반환경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또 한 도시 내 물의 역할은 단순히 생활을 위한 기반 시설로서가 아니라 도시의 이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