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http://blog.naver.com/smart_home/120116472670
또 다른 특징인 에너지 절약과 관련된 기술 또한 주거공간의 스마트 체계를 만 드는 중요한 기술요소가 되었다. IBM사의 Smart home Solution은 가정에 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전기 및 가스, 상하수도에 관련된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관리 및 제어를 하는 통합 모니터링(Asset Monitoring) 솔루션으로 주거 환경의 효율적 운영을 스마트 기술을 통해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로 발전되 었다.
그림 3-13. IBM Smart Home Solution
- 출처: charlottethornton.wordpress.com/2011/02/20/imb-smarter-planet-poster
이러한 초기 스마트 홈의 가장 특징으로는 말 그대로 똑똑한 환경을 만들기 위 한 기술들을 연계 하나의 플랫폼으로 운영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 에서의 사람들의 행태를 고려한 스마트 기기들의 통합적인 발전은 이미 우리나 라에서도 많은 발전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구자가 기획 디자인한 그린스마 트 자이 프로젝트 역시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가전기기와 기술들을 연 계 하나의 플랫폼인 아파트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으로 완성되어 전시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주거공간에서의 다양한 정보적 기기들의 통합과 관리의 스마트 기술 의 적용은 다음단계로의 발전인 주거공간 자체의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연구 자가 설계한 그린스마트 자이의 미래 스마트 주택의 경우에도 습도 및 온도 조절 장치와 함께 고안된 투명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한 거실창과 같이 기존의 물리적 공간이 가지고 있었던 내외부의 연결의 변화, 사용자의 동선 및 행동 패턴의 인지
를 통해 자동 조절되는 조명기기, 거주자의 건강상태 등을 고려한 식단과 같은 다 양한 사용자와 공간간의 정보적 관계의 해석을 통해 공간의 재활용 및 해석과 새 로운 공간 개념의 형성이 가능한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전통적 인 개념의 창은 외부 경관과의 연계를 통해 조망을 위한 기능 외에도 햇빛을 실내 로 끌어들어들이는 건축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되어왔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 은 광섬유를 통해 햇빛을 원하는 공간으로 끌어들이고, 조망을 위한 창의 기능을 대신하는 초고해상도 투명 디스플레이 등의 기술과 사람의 행동패턴을 인지하는 다양한 기술적 발전을 통해 과거 물리적 공간이 가지고 있던 배치 및 향 그리고 공 간적 한계를 뛰어 넘는 많은 가능성을 새롭게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기술적 발전이 전통적인 모든 건축환경, 특히 주거환경의 건축적 가 치 및 의미를 바꾸거나 원천적으로 부정할 수 없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이러한 스마트 기술의 적용이 제한된 도시 공간에서의 다양한 실험으 로서 많은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것 또한 분명한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사진 3-7. 정도균, ‘Greensmart Xii’,
@ GL Associates, 서울, 2008.3-2-2-2 스마트 업무공간
한국 전산원의 2005년 U-City 응용서비스 모델 연구에서는 이미 미래의 디 지털 공간의 서비스 예측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업무지원을 위한 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필요 서비스 구축을 위한 지원 시설 및 기술의 발전 로드 맵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여기서 밝힌 업무공간과 관련된 주요 기술 서비스 로
드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RFID 리더(Reader)를 회사 내부의 테스트 룸이나 회의실 등에 설치하여 그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의 참석자가 누구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사내 위치 정보 서비스.
직원들의 출퇴근 시간을 직원들이 소지한 고유 RFID 태그를 통하여 자동으로 체크함으로써 직원들의 근태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내 위치 정보 서비스.
사무실 출입이나 중요 지점, 파일 보관함 등 보안이 필요한 곳에 생체 인식 장치 를 설치하여 보안을 철저히 유지 관리하기 위한 생체 인증 서비스. 미국 이동통 신사인 스프린트 넥스텔에서 개발 중인 자신이 보고 있는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 나 자신이 봤던 마지막 부분에 이어서 콘텐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콘텐츠 스트 리밍 서비스.
센서 태그를 이용하여 근무 중에도 건강 상태 정보를 파악하여 그에 따른 조치 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 건강 상태 정보 서비스.
외부 손님이나 다른 회사를 방문할 경우, 회사의 위치나 교통 정보, 미팅 일정 등과 같은 서비스를 모바일 폰이나 PDA 등의 개인 단말기를 통해 알림으로써 방 문객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Office 위치 정보 서비스.
가상의 인공생명을 가진 에이전트가 이용자를 대신하여 전화를 걸거나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등의 일들을 처리해주는 전자 비서의 차세대 스마트 에이전 트 서비스.
외근이나 기타 사정상 자신의 사무실에서 업무를 처리하지 못할 경우, 사무실 외 원격지에서도 언제든지 자신의 근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원격지 근무 서비스.
부동산 통합 서비스를 통해 부동산의 위치, 판매 조건, 건물 정보, 토지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실제 거주 환경을 사진이나 동영상 등으 로 시청하여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게 하는 부동산 정보 서비스.
기업 내의 인적자원들이 업무수행 중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 화하여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관리시스템(KMS : Knowledge Management System)과 각종 서류 및 문서를 웹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여, 효율적인 문서 관리를 돕는 전자문서관리시스템 (EDMS : Electronic Docu- men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여 기업 간, 기업 내 지식 정보 검색/
공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정보 공유 서비스.2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용가능시점
공공행정 위치 정보 사내 위치 정보 서비스 2007년 ~ 업무 지원 근태 관리 서비스 2007년 ~
국방치안 보안 생체 인증 서비스 2007년 ~
교육 콘텐츠 서비스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2007년 ~ 의료보건 원격 진료 건강 상태 정보 서비스 2010년 ~
원격 진료 서비스 2010년 ~ 교통 위치 정보 오피스 위치 정보 서비스 2007년 ~
제조 자재 관리 자재 관리 서비스 2007년 ~
통신 업무 지원 화상 회의 서비스 2007년 ~
스마트 에이전트 서비스 2015년 ~ 원격지 근무 서비스 2007년 ~ 부동산 임대 정보 제공 부동산 정보 서비스 2007년 ~ 사업 서비스 정보 관리 정보 공유 서비스 2007년 ~
표 3-4. office 응용서비스 분류 -
출처: 한국전산원, 수탁기관 (주)앨릭슨, “u-City 응용서비스 모델 연구”, 한국전산원, 2005, p. 96.
이 내용을 살펴보면 매우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우선 2005년 연구에서 밝힌 기술적 서비스는 2014년 현재 거의 대부분 실현 가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홍채인식이나 지문인식을 통한 생체 인식 서비스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며, 자 재 관리 및 화상 회의 시스템은 당시의 예상을 훨씬 상회하는 수준의 서비스가 이 미 상용화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23. 한국전산원, 수탁기관 (주)앨릭슨, “u-City 응용서비스 모델 연구”, 한국전산원, 2005, pp. 96 -100.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재 우리의 업무 환경에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는 매우 다른 결과를 보인다. 즉, 기술의 필요성과 가능성 외에도 실재 적용에 있어 이러한 스 마트 기술의 적용은 다른 여러 가지 변수와 요인에 따라 그 실질적인 적용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내 위치 정보 서비스와 같은 경우 개인적인 사 생활의 보호 등의 이유로 그 기술적 적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업무환경 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오피스 환경 혹은 한 지역으로 국한되어 예상되었던 서비스의 영 역적 확장 또한 매우 특징적인 변화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콘 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현재 애플의 I-Cloud나 Dropbox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클라우딩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한 서비스로 지원되고 있으며, 부동산 정 보 서비스나 위치 정보 서비스와 같은 경우 google map이나 우리나라의 네이버 및 다음 맵과 같이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매우 발전된 글로벌 서비스로 확장되어 이미 실현된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워크(smart work)는 기존의 지정된 업무공 간으로 한정되어 있던 사무실의 개념을 탈피하고,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장소에 서 디지털 기술과 정보가 제공하는 새로운 업무 환경을 말한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변화 중에서 가장 큰 화두는 무엇보다 스마트 폰의 급성장이다. 이러한 스마트 폰의 확장은 새로운 업무 형태인 모바일 오피스의 개 념 또한 만들어 내고 있다. 스마트 폰은 PC와 같이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 정보이용, 소통방식 등 업무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고 있 다. 특히 인터넷, 멀티미디어, 전자문서 결재, 고객관리 등 사무업무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이용한 모바일 오피스 구현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24 또한 클라우
24. 이재성,김흥식,”스마트 워크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지역정보화 학회지, 2010, p. 7.
드 컴퓨팅의 본격적인 발전은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업무환경에 대한 요구를 빠 르게 증가 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목민적 성격의 유동적 업무 환경의 변 화 외에도 기존 업무환경의 공간적 변화 역시 뚜렷하다. 과거 지식 기반의 산업에 서 창조 기반의 산업으로 발전과 함께 업무 형태의 변화는 사무실의 공간적 변화 를 빠르게 가져오고 있다. google office에서 시작된 창의적 공간의 요구와 중 요성은 기존의 업무 환경에서 다양한 스마트 기술의 적용과 함께 업무환경의 기 본적 의미를 변화시키고 있다.
사진 3-8. nhn 그린 팩토리,
서울, 2010. - 출처: www.navercorp.com이러한 새로운 업무행태 변화는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빠르게 새로운 업무환경 과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2010년 완공된 nhn의 그린 팩토리 사옥도 이러한 변 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업무공간 변화의 특징은 업무공간과 휴계 공간의 일체화, 회의와 휴식공간의 융합, 개인 업무공간의 탈 위계화 등 많은 공 간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과거의 업무환경에서 직급과 업무에 따라 고정 적이고 위계를 중시하는 사무실의 공간은 다양한 업무형태와 창의적 업무를 위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좋은 예측은 이미 2005년 독일의 IT 비전으로 제시되었 던 “Living Tomorrow” 연구에서도 그 선례를 찾아 볼 수 있다. 미국 Rand 연구소가 독일 도이치 텔레콤의 제안으로 2015년 독일사회의 정보통신에 따른 발전의 방향을 예측한 보고서인 이 연구에서 일하는 새로운 방식(New way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