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론적 고찰
2.6 인간공학적 작업부하 정량평가
2.6.1 OWAS
OWAS(Ovako Working-posture Analysis System)는 작업자세를 정의 및 평가하기 위하여 비디오로 작업하는 모습을 촬영하여 신체부위(허리, 상지, 하지, 무게)별로 정의된 자세기준에 따라 자세를 기록하고 코드화하여 분석하는 기법이다[61]. 1970년대 핀란드의 철강회사인 Ovako사와 FIOH(Finnish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는 근력을 발휘하기에 부적절한 자세를 구별해낼 목적으로 OWAS라는 작업자세 분류 방법을 공동 개발하여 제시하였다[58]. Karhe 등(1977)이 철강업에서 작업자들의 부적절한 작업자세를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대표적인 작업자세 평가기법으로 작업자세를 허리, 상지, 하지, 무게의 4항목으로 나누어 이것을 코드화하여 숫자형식의 자세코드로 작업부하를 기록하게 된다[58].
OWAS는 평가자가 평가 대상자의 작업자세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관찰된 자세를 숫자형식의 자세코드로 부하를 기록하고 기록된 자세코드를 조합하여 전체적인 작업 부하 정도(Action Category, AC)를 4수준으로 평가하게 된다.
OWAS는 평가자가 특별한 기구없이 관찰만으로 작업자세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관찰적 작업자세 평가기법이라 하며, 이는 특별한 기구를 이용한 분석방법에 비해 현장에서의 적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OWAS는 배우기 쉽고, 현장에서 적용 하기 쉬운 장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작업자세를 너무 단순화했기 때문에 세밀한 분석에 어려움이 있으며, 분석 결과도 작업자세 특성에 대한 정성적인 분석만 가능하다. 작업자세를 분류하면 84가지의 형태가 되며 여기에 하중/힘 조건 3가지를 고려하면 모두 252개의 조합이 나온다[58].
Karhe 등(1977)이 제시한 OWAS 평가방법은 [그림 2-56]과 같이 허리 등의 신체부위별 부하등급을 평가할 때 별도의 각도 구분없이 신체가 취하는 자세만을 기준으로 부하등급을 평가를 하도록 하였으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그림 2-57]과 같이 사업장에 OWAS 양식을 제공할 때 허리에 대한 각도 기준(20도)을 도입하여 제공하고 있어 현재는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OWAS를 평가할 때 허리에 대해서는 각도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있다[62].
[그림 2-56] OWAS 작업자세 분류체계 (Karhe 등) [61]
[그림 2-57] OWAS 작업자세 분류체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62]
OWAS는 평가 대상자의 신체부위를 [그림 2-58]와 같이 허리, 팔(상지), 다리(하지), 하중(힘)으로 4등분하여 작업부하를 평가하게 된다. 총괄점수(Grand Score)는 [그림 2-59]과 같이 허리(몸통)/팔(상지)와 다리(하지)/하중(무게)의 조합으로 이뤄진 점수표 (Score Table)을 이용하여 구하고 [그림 2-60]을 기준으로 조치 수준(AC)을 결정한다.
[그림 2-58] OWAS 신체부위별 작업자세 및 자세코드 [58]
[그림 2-59] OWAS 총괄점수(Grand Score) [58]
[그림 2-60] OWAS 조치수준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