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2. 이론적 고찰

2.6 인간공학적 작업부하 정량평가

2.6.2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그림 2-61] RULA 평가 절차 [58]

평가 1단계는 상지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로 상완은 [그림 2-62]과 [표 2-8]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하고, 전완은 [그림 2-63]과 [표 2-9]을 이용 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한다. 손목은 [그림 2-64]과 [표 2-10]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하고, 손목 비틀림은 [표 2-11]를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신체부위별 부하점수를 이용하여 중간 점수인 SCORE A를 [그림 2-65]를 이용하여 구한다. 부하 점수가 낮을수록 자세의 부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세의 부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점수의 경우는 해당하는 조건이 있을 경우에만 점수를 추가하거나 차감하도록 하고 있다.

[그림 2-62] RULA 상완(윗팔) 자세평가 [58]

<표 2-8> RULA 상완(윗팔)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상완(윗팔) 부하점수

1 상완(윗팔)이 몸통 전후 20o 이내에 있을 경우 ※ 20o 미만 신전 - 20o 미만 굴곡

2 상완(윗팔)이 뒤쪽으로 20o 이상 또는 앞쪽으로 20o - 45o에 있을 경우 ※ 20o 이상 신전 또는 20o 이상 - 45o 미만 굴곡

3 상완(윗팔)이 앞쪽으로 45o - 90o에 있을 경우 ※ 45o 이상 - 90o 미만 굴곡

4 상완(윗팔)이 앞쪽으로 90o 이상에 있을 경우 ※ 90o 이상 굴곡

+1

(추가 점수) 어깨가 들려 있거나 상완이 벌어진(외전) 경우 -1

(추가 점수 팔이 지탱되거나 몸을 기댄 경우

60o ~ 100o 0o ~ 60o 100o 이상

추가점수

[그림 2-63] RULA 전완(아랫팔) 자세평가 [58]

<표 2-9> RULA 전완(아랫팔)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전완(아랫팔) 부하점수

1 전완(아랫팔)이 앞쪽으로 60o - 100o 이내에 있을 경우 ※ 60o 이상 - 100o 미만 굴곡

2 전완(아랫팔)이 앞쪽으로 0o - 60o 또는 100o 이상에 있을 경우 ※ 0o 이상 - 60o 미만 굴곡 또는 100o 이상 굴곡

+1

(추가 점수) 전완이 몸통 중심선에서 교차되거나 옆으로 벌어져 작업을 하는 경우

[그림 2-64] RULA 손목 자세평가 [58]

<표 2-10> RULA 손목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손목 부하점수

1 손목이 자연스러운 위치에 있을 경우 ※ 중립 자세

2 손목이 위로 0o - 15o 올라가 있거나 아래로 0o - 15o 내려가 있을 경우 ※ 0o 초과 - 15o 미만 신전 또는 0o 초과 - 15o 미만 굴곡 3 손목이 위로 15o 이상 올라가 있거나 아래로 15o 이상 내려가 있을 경우

※ 15o 이상 신전 또는 15o 이상 굴곡 +1

(추가 점수)

손목이 손목 중심에서 옆으로 굽혀져 있을 경우

※ 요골 편향(radial deviation) 및 척골 편향(ulnar deviation)

<표 2-11> RULA 손목비틀림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손목비틀림 부하점수

1 손목이 주로 중간정도(50% 미만) 비틀려 있을 경우

2 손목이 비틀림 범위의 끝부분 근처까지(50% 이상) 비틀려 있을 경우

[그림 2-65] RULA 중간점수(SCORE A) [58]

평가 2단계는 목·몸통·다리의 부하를 측정하는 단계로 목은 [그림 2-66]과 [표 2-12]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하고, 몸통은 [그림 2-67]과 [표 2-13]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한다. 다리는 [표 2-14]를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여 부하점수를 구한다. 이렇게 구한 각 신체부위별 부하점수를 이용하여 중간점수인 SCORE B를 [그림 2-68]를 이용하여 구한다.

[그림 2-66] RULA 목 자세평가 [58]

<표 2-12> RULA 목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목 부하점수

1 목이 앞쪽으로 0o - 10o 굽혀 있을 경우 ※ 0o 이상 - 10o 미만 굴곡

2 목이 앞쪽으로 10o - 20o 굽혀 있을 경우 ※ 10o 이상 - 20o 미만 굴곡

3 목이 앞쪽으로 20o 이상 굽혀 있을 경우 ※ 20o 이상 굴곡

4 목이 뒤쪽으로 젖혀 있을 경우 ※ 0o 초과 신전

+1

(추가 점수) 목이 회전되어 돌아가 있거나 옆으로 굽혀 있을 경우

[그림 2-67] RULA 몸통 자세평가 [58]

<표 2-13> RULA 몸통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몸통 부하점수

1 앉아 있거나 몸통이 잘 지지될 때

※ 기댄 상태로 0o 초과 - 10o 미만 신전 2 몸통이 앞쪽으로 0o - 20o 굽혀 있을 경우

※ 0o 초과 - 20o 미만 굴곡

3 몸통이 앞쪽으로 20o - 60o 굽혀 있을 경우 ※ 20o 이상 - 60o 미만 굴곡

4 몸통이 앞쪽으로 60o 이상 굽혀 있을 경우 ※ 60o 이상 굴곡

+1

(추가 점수) 몸통이 회전되어 돌아가 있거나 옆으로 굽혀 있을 경우

<표 2-14> RULA 다리 자세 평가

신체 부위 부하 점수 작업자세 설명

다리 부하점수

1 두 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이며 신체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은 상태

2 그렇지 않은 경우

[그림 2-68] RULA 중간점수(SCORE B) [58]

평가 3단계는 [그림 2-69]과 같이 1단계에서 구한 중간점수 SCORE A 점수와 2단계 에서 구한 중간점수 SCORE B 점수에 [그림 2-70]의 근육부하 점수와 힘부하 점수를

[그림 2-69] RULA 종합점수(SCORE C & SCORE D) [58]

[그림 2-70] RULA 근육과 힘 평가 [58]

평가 4단계는 3단계에서 구한 종합점수 SCORE C 점수와 SCORE D 점수를 이용 하여 [그림 2-71]와 같이 총괄 점수(Grand Score)를 구하고 총괄점수를 이용하여 [그림 2-72]와 같이 평가 대상자에 대한 최종 작업부하 조치수준(Action Level)을 결정 하게 된다.

[그림 2-71] RULA 총괄점수(Grand Score) [58]

[그림 2-72] RULA 조치수준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