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紅衛兵組織의 胎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影響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紅衛兵組織의 胎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影響"

Copied!
29
0
0

Teks penuh

(1)

紅衛兵組織의 胎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影響

金 祺 曉 (韓國外大)

Ⅰ. 머리말

Ⅱ. 모택동의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에 대한 요구

Ⅲ. 홍위병 조직의 태동과 모택동

1. 모택동의 교육개혁론과 홍위병 2.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강

Ⅵ. 맺음말

Ⅰ. 머리말

주지하다시피 중국에서 ‘10년 동란’이라 불릴 정도로 중국 전체 인민 들에게 지울 수 없는 큰 상처를 남긴 문화대혁명은 중국현대사에서 큰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현대사를 연구 하거나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하며, 나아가 複雜多端한 문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홍위병에 대한 이해가 또한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홍위병 연구는 문혁을 이해하는 주요한 통로가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홍위병은 문혁 초기에 왕성한 활동을 했던 조직으로 좁은 의미에서 청소년들에 의해 구성된 학생조직이며, 넓은 의미로는 문혁 당시 학생 을 포함하여 각 대중조직을 모두 일컫는 용어로 이해되고 있기도 하 다. 그 중에서도 청화대학 부속중학의 간부자제로 구성된 일부 학생들 에 의해 조직된 홍위병이 그 시초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그들은 문 화대혁명을 진행하기 위해 그 어떠한 폭력도 마다하지 않고 집단적인

(2)

행동을 하였는데, 당시 중국에서는 이들의 행동을 ‘홍위병운동’이라 불 렀으며, 현재에도 그렇게 부르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이 “문혁에서 홍 위병운동이 없었다면 문혁의 위세가 그렇게 크지도 않았을 것이며, 규 모도 전국으로 확대되지는 않았을 것”이고, 현재 우리가 기억하고 있 는 문혁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1)이라 지적하고 있을 정도로 문혁에서 홍위병의 역할은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홍위병 조직의 태동과 관련하여서는 ① 폐쇄적인 사회, 문화 적 환경과 억압적인 정치 분위기와 같은 당시의 정치적 사회적 환경과 모순 ②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계급투쟁 교육 ③ 모택동의 호소 등 이 그 원인으로 언급되기도 하지만,2)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홍위병이 학생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조직되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있는 실정 이다.3) 그러나 당시 중공의 지도자들 또한 문화대혁명에 대해서 명확 1) 王年一, “文革”漫談(中) (中國新聞電腦網絡(CND) 主辦,華夏文摘 增刊 八一期, 2004年6月7日); 唐少傑, 毛澤東與清華大學“文化大革命” (中國新聞電 腦網絡(CND) 主辦,華夏文摘 增刊第五四一期, 2006年12月4日).

2) 홍위병 조직의 형성 원인을 조심스럽게나마 모택동과 연관 짓고 있는 글도 있 다. 仲維光, 清華附中紅衛兵小組誕生史實 (二閑堂文庫, http://www.chinael ections.org/Newsinfo.asp?NewsID=186886, 검색일자: 2010년 9월13일). 仲維光 은 결론 부분에서 “毛澤東과 林彪가 없었다면, 毛遠新, 姚文元도 없었고, 毛遠 新과 姚文元이 없었다면, 宮小吉, 駱小海, 蔔大華도 없었고, 紅衛兵도 없었을 것”이라고 간접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한편 홍위병 조직이 형성될 수 있었던 원인 가운데 정치적인 배경으로서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의 영향으로 보는 연구자도 있다. 高皋 嚴家其,“文化大革命”十年史(天津人民出版社, 1986, pp.

40-41); 範明強, ‘紅衛兵’政治思潮的成因及其特點 (中國青年研究2000-11).

3) 대표적으로 거론할 수 있는 연구들은 闞和慶, 理性的迷失:紅衛兵的行爲和心態 (黨史博覽2002-6); 裴贊芬, 紅衛兵組織的特征評析 (北京黨史2000 -3); 卜偉華, 北京紅衛兵運動大事記 (北京黨史研究1994-1); 李輝, 紅衛兵:

從母愛教育的失落開始 (粵海風, 2003.6); 江旻, 紅衛兵運動始末 (黨史文彙

1994-11); 戎宏寬, 1958年哪來的紅衛兵 (咬文嚼字2009-4); 金大陸, 首 都紅衛兵南下兵團在上海武鬪 (世紀2009-1), pp.41-45; 霞飛, 毛澤東對紅衛 兵態度的變化(中) (黨史縱橫2004-3); 霞飛, 毛澤東對紅衛兵態度的變化(下) (黨史縱橫2004-4); 海光, 十年動亂的突擊隊 -紅衛兵運動始末 (黨史縱 2002-4); 李曉航, “首都五․一六紅衛兵團”始末 (炎黃春秋2003-10); 範 明強, 紅衛兵運動的歷史反思 (哈爾濱市委黨校學報2000-3); 範明強, 試論 紅衛兵運動產生和發展的原因 (黑龍江省社會主義學院學報1999-4); 範明強,

(3)

하게 알지 못하는 상황4)에서, 중학생에 지나지 않았던 이들이 문혁의 시작과 동시에 처음부터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 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홍위병 조직의 태동이 자발적이라기보다는 모택동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몇 가지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데, 모택동 에 의해 지속적으로 요구되었던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에 대한 교육은 신중국 수립을 전후로 출생하여 자본주의에 대한 경험이 없고, 계급의 紅衛兵運動的歷史反思 (哈爾濱市委黨校學報2000.3); 陳冬英, 試論“紅衛兵 運動”興起的原因 (現代經濟信息(學術版)2008-9); 韓能躍 郝文波, 紅衛兵與

“文化大革命”的發動 (邢台師範高專學報1999-4), pp.24-26; 閻陽生, 清華附 中紅衛兵100天 (炎黃春秋2008-12); 李海文, 1966年夏北大見聞(上) (黨史 博覽2008-2)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홍위병 조직이 자발적으 로 발생한 후에 모택동의 지지 속에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는 데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무슨 이유로 자발적으로 조직되었는가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 성과가 없다. 한편, 홍위병운동이 강청과 임표에 의해 악의적으로 이용되었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史可然, 紅衛兵運動怎樣在全國狂熱掀 起的 (歷史學習, http://www.lsqn.cn/teach/JIAOAN/200703/61419.html, 검색 일자: 2010년 9월 8일). 한편 서구에서는 홍위병 조직의 태동보다는 홍위병 조 직의 활동에 관해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할만한 논문으로는 Andrew G. Walder, “Beijing Red Guard Factionalism: Social Interpretations Reconsidered”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Vol. 61, No. 2,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02); Andrew G. Walder, Fractured rebellion: the Beijing Red Guard move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Anita, Chan. “Dispelling Misconceptions about the Red Guard Movement: He Necessity to Reexamine Cultural Revolution Factionalism and Periodization” (The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1 No.1. 1992); Joel Andreas, Rise of the red engineers: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origins of China's New Class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9) 등이 있다.

4) 유소기는 “당연히 무산계급 문화대혁명에 대해 우리들은 매우 이해하지 못하 고 있다. 그러나 혁명적인 군중운동은 이미 뜨겁게 일어났다. 우리는 단지 대 중의 혁명운동을 지지하고 대중운동에 참가해야만 한다. …… 이번 새로운 사 회주의 혁명에 대해, 나와 수많은 동지들은 잘 알지 못하며 경험 또한 없다.

이러한 정황하에서 우리들은 다만 혁명운동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다”고 하였 다. 劉少奇, 劉少奇在中央工作會議上的檢討(1966年10月23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hinese Cultural Revolution Database, 2006; 이하 ‘CCRD 로 표기).

(4)

식이 투철했던 청년 학생들을 혁명화 경향을 지닌 전사로 만드는 기반 이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홍위병을 조직하고서 교육 당국 과 그들의 스승을 비판하고 나아가 모택동의 절대적인 지지 아래 국가 의 지도자까지도 서슴없이 비판과 박해를 진행할 수 있었던 점으로 미 루어 보아, 지식인에 대해 견지하고 있었던 모택동의 부정적인 인식5) 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지식인들이 가장 많이 모여 있는 곳으로 간주되었던 학교에서 홍위병 조직이 최초로 태동되 었다는 사실이 이를 반영한다. 아울러 당시 성행하고 있었던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풍조 역시 홍위병 조직 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 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유의하면서 문혁 초기 활동하기 시작하였던 홍 위병 조직의 태동을 모택동과의 관계 하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홍위병 에 대한 연구는 문혁과 더불어 꽤 많은 연구 성과가 있지만, 당시 직 접 문혁을 경험하고 홍위병에 참여했던 이유로 인해 각기 다른 관점과 인식을 하는 경우도 있어 객관적인 검토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홍위병 조직의 태동과 모택동과의 관계에 대해 직접적인 검 토를 시도한 연구는 없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Ⅱ. 모택동의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에 대한 요구

신중국 수립 이후 확대되기 시작한 지식인에 대한 모택동의 비판적 인식으로 인해 유평백 비판, 호적 비판, 호풍 비판, 사상개조운동 등 대중적인 성격의 정치 운동을 거치면서 중국의 대중들은 각종 부르주 아 학술 사상들에 대한 투쟁을 견지해 나갈 것을 요구받게 되었다. 그 5) 金祺曉, 1950년대, 지식인에 대한 모택동의 인식 (역사문화연구30, 한국 외국어대학교, 2008.6); 金祺曉, 大衆의 ‘反知識人’運動에 있어서 毛澤東의 役 割 (역사문화연구35, 2010.3) 참조할 것.

(5)

리고 뒤이어 전개된 반우파투쟁으로 인해, 신중국 수립에 지대한 공헌 을 했던 지식인들은 1956년 한 해의 짧은 薰風을 뒤로한 채, 결국 또 다시 반혁명성을 지니고 있다고 비판을 받고 계급투쟁의 대상으로 전 락하게 됨에 따라,6) 그들의 역사적 지위는 끝없이 추락할 위기에 처하 게 되었던 반면, 중국의 대중들은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의 중요성과 필 요성을 체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지식인에 대해 대대적인 탄압을 진행한 반우파투쟁이 일단락되고, 모택동은 ‘大躍進運動’과 ‘人民公社化運動’을 전개하여 낙후되어 있는 중국의 경제상황을 바꾸고자 하였다. 하지만 모택동에 의해 진행된 이 들 운동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실패할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무 렵 모택동은 彭德懷로부터 그가 추진하던 대약진운동이 실패하고 있다 는 보고서를 받자,7) 결국 ‘反右傾鬪爭’이라는 명분으로 팽덕회를 비판, 숙청하였다. 그 후, 중공중앙은 300만이나 되는 사람을 우경기회주의분 자라고 공격하였는데, 그들의 죄명은 “三面紅旗를 공격”했다는 것이었 다.

결국 대약진이 실패한 원인은 대약진운동에 비판적인 당 내외 인사 들과 중국에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右傾機會主義者의 공격 때문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8) 비록 1950년대 실행된 대부분의 정책이 실패했 다는 사실에 직면한 모택동은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국가주석직에 6) 中共中央關於知識分子問題的指示(1956年2月24日) (中共中央文獻研究室 編,

建國以來重要文獻選編Vol.8, 中央文獻出版社, 1994), p.135.

7) 彭德懷, 彭德懷同志的意見書(1959年7月14日) (中共中央文獻研究室 編,建國 以來重要文獻選編Vol.12), pp.441-447.

8) 이러한 견해는 문혁 시기에 그대로 중국의 대중들에게 반영되어, 대부분의 인 민들은 중국에서 3년 동안 지속된 경제적인 곤란의 원인을 자연재해와 소련 수정주의자의 배신, 그리고 당 내외에 존재하는 반당, 반사회주의 반동분자 때 문인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全國人民代表大會代表大寨大隊黨支部書記 陳永 貴, 我們是毛主席教導的新型農民 堅決要把“三家村”黑店徹底搗毀 (1966年5月 13日); 夏菊花, 大躍進就是好 誰要反對黨和毛主席, 我就同他拼到底 (1966年5 月17日, 이상人民日報); 電影戰線兩條路線鬪爭大事記(初稿) (文化部機關革 命戰鬪組織聯絡電影紅旗造反隊 北京師範大學井岡山公社中文係大隊 中國影協革 命造反隊委員會 合編,井岡山 電影戰報, 1967年5月30日).

(6)

서 물러났지만, 모택동은 자신에 의해 추진된 대약진운동이 아직 끝나 지 않았음을 주장하여, 대약진을 실패로 보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실패에 따른 책임도 모면하고자 하였다.9)

毛의 뒤를 이어 국가주석이 된 劉少奇는 대약진운동으로 말미암아 야기된 경제위기를 회복하기 위해 調整과 鞏固, 充實, 提高의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 후, 경제위기 국면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유소 기의 보고10)에 대해, 모택동은 1950년대에 자신에 의해 시행되었던 몇 몇 정책들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인정함으로써 당 내외에서 정치적인 위기에 부닥치게 되었고,11) 결국 이 정치적인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 고자 하였다. 그래서 모택동은 비록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이 된 것은 인정하면서도,

(중국이-역자 주) 만약 사회주의 경제를 세우지 못한다면, (중략) 곧 수정주의 국가로 변하고 말 것이며, 실제로는 자산계급 국가로 변하는 것12)

이라 하여, 유소기 등에 의해 추진된 정책을 수정주의 정책이라고 비 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신의 주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소련을 예로 들어 언급하며, “수정주의자들이 권력을 탈취할 수 도 있다”13)고 불안을 조장하면서, “혁명을 통해 수정주의 통치를 타 도”할 것을 요구하였다.14) 또한 “사회주의 사회에는 여전히 계급과 계 9) 毛澤東, 在上海會議上的講話(1960年1月9日) (毛澤東思想萬歲(1958-1960),

1968), p.1.

10) 劉少奇, 劉少奇在擴大的中央工作會議上的書面報告(1962年1月27日) (香港中 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11) 毛澤東, 在擴大的中央工作會議上的講話(1962年1月30日) (中共中央文獻研究 室 編,建國以來重要文獻選編Vol.15), p.121.

12) 毛澤東, 在擴大的中央工作會議上的講話(1962年1月30日)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13) 毛澤東, 在擴大的中央工作會議上的講話(1962年1月30日) (建國以來毛澤東文 稿Vol.10, 中央文獻出版社, 1996).

14) 毛澤東, 在擴大的中央工作會議上的講話(1962年1月30日)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7)

급모순 그리고 계급투쟁이 존재하고 있으며,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노 선간의 투쟁과, 자본주의 복벽의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15)며 “강력 한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위대한 혁명운동 가운데 하나인 계 급투쟁”16)을 “절대로 잊지 말라”17)며 계급투쟁이 계속되어야 함을 역 설하였다.

결국 毛는 대약진운동 실패로 인해 중국이 경험한 경제적 곤란은

“右傾機會主義者”18)와 “현대 수정주의자의 파괴와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한 것”19)이라고 강조했으며, 이 무렵의 분위기를 “‘牛鬼蛇神’20)들이 대거 출현하면서 사학 영역에서의 계급투쟁 또한 첨예해지기 시작했 다”21)고 나중에 표현했다. 이러한 분위기 조성은 중국이 경험한 착오 의 책임을 자산계급과 수정주의자(실용주의자-필자주), 그리고 지식인 들에게 떠넘기려고 하였던 모택동의 의도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지식인에 대한 당 내외의 인식은 모택동 자신이 의도했던 바와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마침내 1962년 9월, 모택동은 유소기의 정책을 중단시켜 당과 정부에서의 그의 권력을 확고히 하고 자 하는22) 한편, 자산계급들이 여전히 개조를 하지 못한 채, 오히려 사 회주의를 전복하려 하고 있다고 불평하기도 하였다.23) 그는 사회주의 15) 毛澤東, 在八屆十中全會上的講話(1962年9月24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 務中心, CCRD); 在北戴河中央工作會議和黨的八屆十中全會上的講話 (紅旗雜志, 1967-10).

16) 人民日報編輯部 紅旗雜志編輯部, 關於赫魯曉夫的假共產主義及其在世界歷史 上的教訓 (人民日報, 1964年7月14日).

17) 毛澤東, 在中共八屆十中全會公報稿中加的一段話(1962年9月26日) (香港中文 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18) 江渭清, 學習毛澤東思想充分發揚自覺的能動性 (人民日報, 1960年1月19日).

19) 社會主義建設的新階段 (人民日報, 1960年1月23日).

20) 소의 머리에 뱀의 몸을 가진 요괴라는 뜻으로, 사회상의 온갖 추악한 사람을 의미한다. 문혁 시기 주로 수정주의자나 反黨 反社會主義 反毛澤東主義者들을 가리키거나 대부분의 지식인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21) 尹達, 必須把史學革命進行到底 (中國共産黨中央委員會 主辦,紅旗, 1966 -3), p.5.

22) Peter Cheng, “Liu Shao-Ch'i and the Cultural Revolution” (Asian Survey, Vol. 11, No. 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10), p. 944.

(8)

국가에도 계급투쟁이 존재하며, 국내의 자산계급이 복벽을 기도하고 있다고 계급투쟁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강조, 제시하였다. 아울러

(반우파투쟁 당시 비판, 박해를 받은 사람들에 대한-역자 주) 근래 명 예회복의 풍조는 잘못되었다. …… (비판이-역자 주) 모두 잘못 되었다면 모두 명예회복을 하고, 부분적으로 잘못되었다면 부분적으로 명예회복을 해 주어야 한다. 잘못이 없다면 명예회복을 해 줄 필요가 없다. 모든 사 람에 대한 일률적인 명예회복은 안 된다.

며 유소기 등에 의해 추진된 명예회복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였다.24) 나아가 그는 계급투쟁과 계급모순이 존재하고 있고 사회주의와 자본주 의 두 노선간의 투쟁이 존재하고 있으며, 제국주의의 침략의 위협이 존재하는데, 이를 경계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25) 이때부터 모택동의 계급투쟁 이론을 실천에 옮 기고자 했던 사회주의 교육운동이 전국의 도시와 농촌에서 전면적으로 전개되어 문화대혁명 초기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사회주의 교육운동의 진행은 계급투쟁의 필요성과 수정주의의 위험 성을 중국의 인민들에게 알리고자 한 것이었으며, 당내에서 제기하고 있던 모택동 자신의 불만을 외부로 전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계급투쟁을 확대하기 위한 조처로 1963년 2월 개최된 중앙공작회의에 서는 湖南省에서 전개한 사회주의 교육운동과 保定지역의 “四淸”의 경 험을 추천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계급투쟁만 틀어쥐면 모든 것이 잘 된다”고 단정하고, 각 지역에 계급투쟁과 사회주의 교육문제에 주 의할 것을 독촉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농촌에서는 보편적으로 사회주 의 교육운동을 진행할 것과, 도시에서는 五反運動을 전개할 것을 확정 하였다.26) 뿐만 아니라, 모택동의 주도 하에 학교의 학생들에게는 계급 23) 毛澤東, 在八屆十中全會上的講話(1962年9月24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

務中心, CCRD).

24) 毛澤東, 在八屆十中全會上的講話(1962年9月24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 務中心, CCRD).

25) 毛澤東, 關於農村社會主義教育等問題的指示(1963年5月)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9)

투쟁 교육이 진행되기에 이르렀다.27) 이렇게 함으로써 계급투쟁을 중 심으로 하는 정치운동이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

“계급투쟁만 틀어쥐면 모든 것이 잘 된다”고 하는 사상적 지도 아 래, 사회주의 교육을 전개하는 도시와 농촌지역, 그리고 각 단위에서는 수많은 계급의 적을 색출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한 계급투쟁 현상이 허 다하게 발생하였다. 이에 대해 중공중앙은 “현재 중국 사회에는 엄중 하고 첨예한 계급투쟁 정황이 출현했다”며, 농촌에서 진행되고 있는

“四淸”운동과 도시의 “五反”운동은 모두 맹렬히 공격하고 있는 자본주 의 세력을 분쇄하고 타격을 주는 사회주의 혁명 투쟁이라고 극찬하였 다.28) 곧이어 1963년 9월, 모택동은 정식으로 “계급투쟁을 강령으로 하 는” 지도 방침을 확정하였다. 계급투쟁을 강령의 위치에 둔 것은 실제 로는 이미 8기 10중전회에서 확인된 바였다. “계급투쟁을 강령으로 하 자”는 구호는 모든 업무를 계급투쟁의 궤도에 올려놓겠다는 의미였다.

이렇게 해서 사회주의 교육운동은 전국적인 정치운동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모택동은 “자본주의 노선을 걷고 있는 당권파”29)라는 개념과 함께,

“관료주의자 계급은 노동자 계급과 貧下中農과는 서로 첨예하게 대립 하는 계급”이라며, “관료주의자 계급”30)이라는 개념도 함께 제기하였 다. 1965년 1월, 중공중앙은 “이번 운동의 중점은 전체 당내에 자본주 의 노선을 걷고 있는 당권파”라고 지적하고, “이 당권파를 지지하는 사람들 가운데 어떤 사람들은 기층에, 어떤 사람들은 상층부에 있다”, 26) 姜華宣 張尉萍 肖甡 主編,中國共産黨重要會議紀事(中央文獻出版社, 2006).

p.280.

27) 中央敎育科學硏究所敎育史硏究室 編,中華人民共和國敎育大事記稿 1949 -1979(中央敎育科學硏究所, 1981). p. 318.

28) 毛澤東, 關於農村社會主義教育等問題的指示(1963年5月)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29) 毛澤東, 在中央工作會議上二十八日講話的摘錄(1964年12月28日) (香港中文大 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30) 毛澤東, 對陳正人關於社教蹲點情況報告的幾條批注(1965年1月15日) (香港中 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10)

“심지어 일부의 省과 중앙의 부서에는 사회주의에 반대하는 사람이 있 다”고 선언하였다.31) 이 말은 계급투쟁의 중점을 중국공산당내와 당의 영도기관으로 확대시키는 이론정책과 근거를 제공해준 것이었다.

모택동이 1950년대부터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의 필요성에 대한 모택 동의 지속적인 주장과 요구는 청년학생들의 의식을 점차 지배해감으로 써 그들을 혁명과 투쟁 앞에 우뚝 선 ‘戰士’로 만들기에 충분하였던 것 이다.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의 확대를 요구했던 모택동에 의해 제기된

‘階級鬪爭’, ‘修正主義’ ‘階級鬪爭, 一抓就靈’32) ‘走資本主義道路的當權派 (走資派)’와 같은 용어들이 이후 전개될 문혁에서 홍위병들이 무분별하 게 사용하였던 주요한 口號가 되었다는 점 역시 홍위병의 태동과 모택 동과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홍위병 조직의 태동과 모택동

1966년 5월,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청화대학 부속중학에 ‘홍위병’이라 는 이름의 독립적인 학생조직이 출현하였다. 오래지 않아, 동일한 형태 의 학생조직이 북경의 중학교와 대학교를 시작으로 만연해지면서, 많 은 단체들이 ‘홍위병’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에 이르렀다.33) 모택동은

31) 農村社會主義教育運動中目前提出的一些問題(1965年1月14日) (中共中央文獻 研究室 編,建國以來重要文獻選編Vol.20), p.21.

32) 毛澤東, 關於農村社會主義教育等問題的指示(1963年5月)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33) 사실 홍위병은 공통된 하나의 조직이 아닌 다양한 출신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른바 노홍위병이라 불리는 초기 홍위병 조직은 이후 형성된 다른 홍위병 조직과 무장 투쟁을 하기도 하였다. 이를 흔히 ‘보황파’와 ‘조반파’로 구 분하고 있다. 당시 규모가 가장 컸던 북경의 홍위병을 중심으로 진행된 파벌 싸움에 대해서는 Andrew G. Walder, “Beijing Red Guard Factionalism:

Social Interpretations Reconsidered”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Vol. 61, No. 2, 2002(5)), pp.437-471을 참조할 것.

(11)

홍위병의 집회에 참석하여 그들을 격려, 지지하였다. 이처럼 중국의 최 고 당국자로부터 승인을 받게 된 이후부터 홍위병 조직은 더욱 신속하 게 전국 각지로 확대되었고, ‘홍위병’은 대명사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홍위병 조직의 성립에 외부의 힘이 가해졌는가, 즉 최고 당 국의 개입이나 조종이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확언할 수 없지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홍위병의 첫 태동이 학교의 학생들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은 지식인에 대한 모택동의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미 오래전부터 대중운 동의 위력을 익히 알고 있었던 모택동에게는 문혁을 추진하기 위해 필 요한 의존 역량이 청년학생들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4) 그는 문화대혁명이 공식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1966년 3월20 일 中央政治局 擴大會議에서의 講話’를 통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너희는 관료주의에 대해 비판하라! (중략) 학생들은 造反해야 하며, 造 反을 허락해야 한다. 문화혁명은 대중의 운동이어야 한다. 학생들로 하여 금 숨김없이 자신들의 생각을 말하게 하라. …… 교수는 학생들에게 타도 되어야 한다.35)

이러한 모택동의 발언이 이들에게 전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한 근거 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들 홍위병 조직이 막 형성되었을 때, 그들은 모택동에 대한 충성 맹세와 문혁을 끝까지 수행할 것을 종지로 삼고, 가장 먼저 교내 투쟁을 통해 반동학술권위에 대한 비판(교육당 국과 교육계 인사)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무엇보다 투쟁을 통한 혁명화 경향이 의식 속에 있는 학생들이 당시 진행되고 있었던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영향과 합치되어 교육계에 대한 모택동의 비 34) 문혁 이전 이미 후계자 문제와 관련하여 모택동이 청년학생들을 주목하고 있 었던 점이 학생들을 고무시키는 작용을 하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한다. 毛 澤東, 在中央政治局擴大會議上的講話(1966年3月20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 究服務中心, CCRD); 毛澤東, 對中央首長的講話(1966年7月21日) (中共硏究雜 誌社編輯部,中共文化大革命重要文件彙編, 中共硏究 雜誌社, 1973), p.194-B.

35) 毛澤東, 在中央政治局擴大會議上的講話(1966年3月20日)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12)

판적 인식을 그대로 수용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문혁이 발생하기 전부터 교육개혁에 대한 모택 동의 인식과 이러한 인식이 학생들에게 수용되어 가는 과정을 모택동 에 대한 개인숭배와 관련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1. 모택동의 교육개혁론과 홍위병

오래전부터 모택동은 교육혁명에 대해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으 며, 이 때문에 신중국 수립 후 교육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을 누차 강 조하여,36) 교학 개혁에 대한 그의 의지를 밝힌 바 있었고,37) 인민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지식인들로 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 교육개혁을 시행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38)

그러나 이러한 이유 이외에도 모택동의 입장에서 중국의 교육개혁 은 제국주의와 봉건주의의 잔재에 대한 청산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모 택동은 과거에 교육을 받았던 사람들은 비록 그 출신이 농민․노동자 라 하더라도 봉건적인 사고와 자산계급 세계관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 하였다.39) 또한 지식인의 대부분을 착취계급이라고 주장하여 착취계급 에 대한 개혁을 주장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한편 그에게 있어서 사상 정치방면에서의 공작은 사회주의를 굳건하게 하고 자본주의와 수정주 의를 타도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이기도 했다. 이러한 관점 에서 교육개혁은 모택동이 不信하고 있었던 지식인에 대한 개혁의 일 환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40)

36) 周全華,“文化大革命”中的“敎育革命”(廣東敎育出版社, 1999), pp.5-6.

37) 毛澤東, 在中央政治局會議上的講話(1953年7月29日) (毛澤東文集Vol.6, 人 民出版社, 1996), pp.285-290.

38) 毛澤東, 爲爭取國家財政經濟狀況的基本好轉而鬪爭(1960年6月6日) (毛澤東 選集Vol.5, 人民出版社, 1977), p.19.

39) 毛澤東, 在中國共產黨全國宣傳工作會議上的講話(1957年3月12日) (毛澤東選 Vol.5), p.409.

40) 金祺曉, 知識人에 對한 毛澤東의 認識 硏究 (博士學位論文, 韓國外國語大學

(13)

모택동에 의해 제창된 교육개혁은 대부분이 생산노동과 상호 결합 하거나 무산계급을 위한 인재 육성, 그리고 무산계급 지식인 배양과 무산계급 후계자 양성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그의 의 도는 결국 사상투쟁과 계급투쟁을 통해 과거에 교육을 받은 지식인들 을 축출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그는 교육방침에서 “교육과 노동이 상호 결합하는 것을 기본 원칙”41)으로 보았고, 따라서 모든 학 교에서 농장이나 공장을 경영하고 학생들이 직접 노동에 참가하도록 권장하였다.42) 이것은 실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론 보다는 경 험을 더욱 중요하게 여겼던 그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경험한 이후에 이론을 배우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했던 모택동은 그의 논 문인 實踐論 에서도 이미 실천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증명하며, 진 리에 도달할 수 있다고 하였다.43) 모택동의 교육에 대한 이러한 입장 은 하나의 ‘사상’으로 자리 잡아 문혁 시기에 이르러 그대로 투영되었 다.

문혁 초기 지식인에 대한 대중의 비판운동 역시 대체로 이 부분에 집중하였다. 문혁 초기 한 대자보에 따르면 모택동에 반대한다거나 모 택동사상을 따르지 않고 있다는 이유로 자산계급 교수들에 대해 비판 하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校黨委는 물론, 각 학과와 수많은 敎硏室에서 누군가 학생들이 진실로 毛主席의 저작을 학습할 수 있도록 조직적으로 영도하고 도와주는가? 아 니다. 우리는 북경대학에서 공부한 지 5년이 되었지만, 지금까지 한 사람 도 없었으며, 또한 어느 누구도 계통적으로 전면적으로 ‘毛主席著作’을 강 의해 준 적이 없다. 자산계급 교수는 몇 마디 모주석의 말을 인용하지만, 겉치레하기 위하여 한차례 장식을 하거나, (문장의 일부를 끊어 저자의 校, 2010), p.117.

41) 毛澤東, 在最高國務會議上的講話(三)(1958年9月9日) (毛澤東思想萬歲(1958 -1960), 1968), p.126.

42) 毛澤東, 在上海聽取整風情況彙報時的指示(摘錄)(1957年9月17日) (毛澤東思 想萬歲(1949-1957), 1968), p.233; 工作方法六十條(草案)(1958年1月) (中共中 央文獻研究室 編,建國以來重要文獻選編Vol.11), pp.56-57.

43) 毛澤東, 實踐論(1937年7月) (毛澤東選集Vol.1, 1952), pp.276-277.

(14)

본의와는 달리) 제멋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여기저기에서 긁어모아 각기 필요한 부분만을 취하고 필요 없는 부분은 삭제하여, ‘毛主席著作’이 그들 을 위해 복무하도록 하였다. 그들은 공공연하고 대담하게 모택동사상을 멸시하였으며, 모택동사상을 배제하여 자산계급 반동관점으로 모택동사상 에 대항하였다44)

고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北京大學校長인 陸平 등에 대해 비판을 진행할 때, 이들에 대한 죄명을 세 가지로 규정하였다.

첫째, 영도대권을 자산계급 교수에게 주어, 자산계급으로 하여금 무산 계급에 대해 전정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둘째, 교육과 생산노동이 상호 결합하는 것을 반대하고, 학생과 ‘工農兵’이 상호 결합하는 것을 반대하였 으며, 학생이 ‘3대혁명운동’에 참가하는 것을 배척하였다. 이는 실제적으 로는 모택동의 “덕육 지육 체육 등의 방면에서 모두 발전을 이룬다.”는

“교육방침”을 위반한 것이다. 셋째, 청년과 학생들에게 해를 입히고 그들 을 개인분투, 개인 명리를 추구하는 반혁명 노선으로 끌어들여 자산계급 후계자로 육성하였다45)

고 하여 대체로 그들 자산계급 교수들이 모택동이 추진하고 있는 교육 개혁에 반대하고 있음을 크게 지적하였다.46) 당시의 이러한 인식은 결 과적으로 문혁을 통하여 교육에 대한 모택동의 주장을 실현해 가는 과 정임을 간접적으로 증명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모택동은 세계에 존재하고 있는 지식을 ‘生産鬪爭知識’과 ‘階級 鬪爭知識’으로 구분하고, 단지 책 속의 지식이 아닌, 실제 활동에 참가 하여 얻은 지식을 완전한 지식으로 간주하였다.47) 그래서 그는 小學敎 育에서도 勞動敎育을 강조한 바 있으며,48) 청년들에 대해 반드시 사상 44) 打倒資產階級學閥統治 (人民日報, 1966年6月6日).

45) 陸平的修正主義教育路線及其惡果 (人民日報, 1966年7月19日).

46) 그 결과 수많은 학교의 학생들은 지주, 부농, 반혁명, 악질분자와 우파분자의 자녀들로 채워져 있고, 공농병과 열사의 자녀들은 학교에 진학할 수 없는 상황 에 이르렀다고 불만을 표시하였다. 陸平的修正主義教育路線及其惡果 (人民 日報, 1966年7月19日); 鄧雲柏, 10∶0說明了什麼? (人民日報, 1966年7月19 日).

47) 毛澤東, 整頓黨的作風(1942年2月1日) (毛澤東選集Vol.3, 1953), pp.817 -818.

(15)

정치공작을 강화하고, 청년들을 교육하여 그들이 더 이상 노동을 경시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도 하였다.49) 나아가 모택동은 소학에서 대학 까지 십 수 년의 교육을 받아도 노동자와 농민의 정황을 알지 못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지적하면서,50)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는 우선 실 제 업무에 임하도록 당부하는 한편, 이와 관련하여 그는 육체노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과계통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면서, 당시 중국 의 학제와 교학방법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과, 수많은 교사들이 ‘무산계 급을 위해 복무하자’는 그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있다고 직접적으로 비판을 하였다.51)

한편 모택동은 교육개혁을 자산계급의 복벽을 방지하기 위한 것에 서도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964년 모택동은 당과 국가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산계급 후계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면 서,52)

우리는 반드시 위에서 아래로, 보편적으로 항상 끊임없이 혁명 과업의 후계자를 육성하는데 주의해야 한다. …… 국내에서는 흐루시초프처럼 일 부 소수의 특권계층의 이익을 위해 일하지 않으며, 국제적으로는 제국주 의와 반동파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지 않는다. …… 그들은 능히 절대 다 수인과 단결하여 함께 일할 수 있는 무산계급 정치가이다. …… 그러나 특별히 흐루시초프와 같은 野心家와 陰謀者에 대해서는 주의하여 이러한 악질분자들이 당과 국가의 영도를 찬탈하려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

무산계급 혁명 과업의 후계자는 대중 투쟁에서 출현하는 것이며, 혁명투 쟁의 단련과정에서 성장하는 것이다. 당연히 장기적인 대중 투쟁을 통하 여 간부를 살피고 식별하여 후계자를 선택하고 육성해야 한다53)

48) 毛澤東, 在中央政治局會議討論高敎, 敎育兩部的請示報告時的指示(摘錄)(1953 年5月17日) (毛澤東思想萬歲(1950-1957), 1968), p.32.

49) 上海文化出版社 輯,毛主席關懷着我們(上海文化出版社, 1958);毛主席論敎 (人民出版社, 1967年12月).

50) 毛澤東, 接見尼泊爾教育代表團時關於教育問題的談話(1964年8月29日) (香港 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51) 毛澤東, 在杭州的談話(1965年12月21日) (毛澤東思想萬歲(1961-1968), 1968), p.247.

52) 毛澤東, 對“關於赫魯曉夫的假共產主義及其在世界歷史上的教訓”稿的修改(1964 年7月) (建國以來毛澤東文稿Vol.12, pp.38-45.

(16)

고 하여, 무산계급 지식인이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개혁을 통해 무산계급 지식인을 후계자로 육성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수많은 인민대중과의 단결을 통해 일어난 대중운동을 이용하여 자신의 인식과 궤를 달리하는 사람들에 대한 투쟁을 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 였다. 즉 교육개혁을 통해 무산계급 후계자를 육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대중 투쟁을 경험해야 한다는 것으로 마치 문혁의 진행 방법에 대해 예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毛澤東은 라오스 愛國戰線黨 文工團과의 담화에서도 자산계급의 복 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에 대한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청년들을 교육하는 것은 큰 문제이다. 만약 우리들이 정신이 마비되어 깨닫지 못한다면, 자산계급이 정권을 탈취하여 자본주의가 부활되는 것을 옳다고 여길 것이다. 마르크스주의가 수정주의를 극복하지 못하고 오히려 수정주의가 마르크스주의를 극복한다면 자본주의는 부활을 진행할 것이 다. 공산주의 깃발을 내걸고 자본주의 정책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 문제 는 십년, 수십 년이 걸려도 해결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54)

며 자본주의의 부활을 경고하고, 이 자본주의의 부활을 막기 위해 청 년들에 대한 새로운 교육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모택동 은 교육에 대한 개혁만이 무산계급 후계자를 육성함으로써 수정주의자 들에 의한 자본주의의 복벽을 막을 수 있으며, 수정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마르크스주의를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던 것 이다.

한편 모택동은 교육개혁 외에 기존 교육계 인사들에 대해서도 비판 적인 인식을 보이면서, 지식인에 대해 경외심을 지닐 필요가 없음을 주장하였고,55) 이보다 앞선 1958년 3월에도 모택동은 자산계급 지식인 53) 人民日報編輯部 紅旗雜志編輯部, 關於赫魯曉夫的假共產主義及其在世界歷史上

的教訓 (人民日報, 1964年7月14日).

54) 毛澤東, 接見老撾愛國戰線黨文工團團長, 副團長和主要演員時的談話(1964年9 月4日) (毛澤東思想萬歲(1961-1968)), p.179.

55) 毛澤東, 在八大二次會議上的講話(1958年5月8日) (毛澤東思想萬歲(1958

(17)

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닌 제거해야 할 봉건 잔여물이라고 공개적으로 선언하였다.56) 모택동은 당시 학교를 책임지고 있는 교육계 인사들에 대해 갖가지 불신으로 가득 차 있었다. “학교의 교장, 교원은 학생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지, 학생이 교장과 교원을 위해 봉사하는 것은 아 니다”57)라며 현재 잘못되어 있는 학교 구조도 함께 질타하였다. 나아 가 그는 대학교수들이 “너무나 어리석고 게으르다”58)는 말로 교원들에 대한 깊은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이어서 1964년 7월5일 모택동과 그 의 조카인 毛遠新과의 대화는 교육개혁에 대해 주로 집중되었다. 그는

“계급투쟁이야말로 너희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과목이다.”, “계 급투쟁에 대해 알지 못하면 졸업해서는 안 된다”, “교육개혁에 있어서 관건은 바로 교원들이다”라고 까지 언급하였다.59) 이들의 담화 내용은 신속하게 고등교육부로 전달되었고, 고등교육부는 모택동의 동의를 얻 어 전국에 그들의 대화를

毛主席與毛遠新談話紀要

라는 제목으로 전 국에 배포하기에 이르렀다.60) 이는 근본적으로 교육혁명을 진행하기 위해 새로운 정치 내용을 주입하고 방향을 규정하고자 한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학생들에게 그들 스승을 대상으로 한 계급투쟁을 준비하라 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교육 및 교육개혁과 관련한 그의 인식은 문혁 초기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1966년 3월20일 개최된 中央政治局 擴大會議上에서 모택동은, “교수, 교장을 맡고 있는 이들은 실제로는 국민당이다”61)

-1960), 1968), p.69.

56) 毛澤東, 在成都會議上的講話(1958年3月22日) (毛澤東思想萬歲(1958-1960), 1968), p.39.

57) 毛澤東, 接見幾內亞教育代表團 幾內亞總檢察長及夫人的談話(1965年8月8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58) 毛澤東, 在中央常委會上的講話(1964年6月8日) (毛主席論敎育, 1967年版 內部資料).

59) 毛澤東, 與毛遠新的談話(1964年8月)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60) 中央敎育科學硏究所敎育史硏究室 編,中華人民共和國敎育大事記稿 1949 -1979(中央敎育科學硏究所, 1981). pp.355-356.

(18)

고 주장함으로써, 투쟁 대상을 직접적으로 명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과거의 교육제도와 교학방침, 그리고 교학방법을 개혁하는 것이 ‘무산 계급 문화대혁명’의 가장 중요한 임무”62)라고 하여 교육개혁이 문혁의 주요 임무 가운데 하나임을 밝혀 교육부문에 대한 문제 해결 의지가 문혁을 통하여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모택동의 교육개혁에 대한 의지는 기존 질서에서 소외되어 왔던 노동자와 농민들에게는 새로운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했던 것 이고, 수많은 중국의 인민 대중들로 하여금 그동안 지식인들로부터 받 아왔던 교육에 대해 불신이 깊어지도록 하게 하는 데에도 성과를 거두 었다. 그리고 지식인들에 대한 이러한 불신이 문혁을 전후한 시기 중 국의 대중, 특히 청년 학생들에게 구체화되었던 것은 “자산계급 지식 인이 우리 학교를 통치하는 현상이 더 이상 계속되어서는 안 된다.”63),

“무산계급 문화대혁명의 깃발을 높이 들고서, 反黨 反社會主義의 이른 바 ‘學術權威’의 자산계급 반동입장을 철저히 폭로하고, 學術界 敎育 界 言論界 文藝界 出版界의 자산계급 반동사상을 철저히 비판하여, 문 화영역에서 이들의 영도권을 탈취해야 한다.”64)는 모택동의 주장에 의 한 것이었다.

1966년 발포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이

5․16통지

가 중국에 서의 문혁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알린 것이었다면, 문혁을 전국적인 운 동으로 확대시켰던 것은 홍위병운동의 출현과 이들에 의해 확산되었던 대자보의 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홍위병과 대자보에 대한 모택동의 입장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1966년 5월 25일, 북경대학에 나 61) 毛澤東, 在中央政治局擴大會議上的講話(1966年3月20日) (香港中文大學 中國

研究服務中心, CCRD).

62) 中國共產黨中央委員會關於無產階級文化大革命的決定 (中國人民解放軍 國防 大學 黨史黨建政工敎硏室, 王年一 選編,“文化大革命”硏究資料上冊, 1988), p.75.

63) 毛澤東, 對總後勤部關於進一步搞好部隊農副業生產報告的批語(1966年5月7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64) 中國共產黨中央委員會通知(1966年5月16日) (中國人民解放軍 國防大學 黨 史黨建政工敎硏室, 王年一 選編,“文化大革命”硏究資料上冊, 1988), p.4.

(19)

붙은 대자보는 즉각 모택동의 지지를 받게 되었고, 수일 후 모택동은 康生과 陳伯達에게 中央人民放送局이 “宋碩, 陸平, 彭佩雲은 문화대혁 명 중에 도대체 무엇을 하였는가?”라는 제목의 이 대자보를 방송할 것 을 희망하였다.65) 같은 날

人民日報

는 “橫掃一切牛鬼蛇身”이라는 사 설을 발표했으며, 6월2일에는 북경대학의 대자보를 환영한다는 글이 게재되었다.66) 이를 시작으로 1950년대를 풍미했던 대자보가 다시금 등장하게 되면서, 문혁 초기의 일반적인 투쟁 형식을 이루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때부터 전국의 각 대학에 엄청난 양의 대자보가 등장 하면서 문혁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를 이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교내에 등장하기 시작한 대자보에 교육계에 대한 모택동의 말을 인용 하여 “자산계급 학술권위” 이른바 지식인, 학자, 스승을 비판할 수 있 는 근거를 마련하거나 비판 자료로 이용하였던 것이다.

이로 보건대 문혁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던 홍 위병 조직은 모택동사상의 결정체이자, 결국 모택동의 지지 속에서 출 현이 가능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2.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강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발생한 수많은 투쟁과 운동을 비롯하여 문혁 이 전국적인 성격의 운동으로 대중에게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모택동 의 호소와 이에 대한 대중의 호응이 적절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했던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풍조의 영향력 때문이기도 하였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194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풍조는 1950 년대 들어서면서 모택동에 의해 정치적인 위기와 문제를 해결하고 극 복하기 위한 방편에서 부정되기도 재차 긍정되기도 하였다. 개인숭배 65) 毛澤東, 關於播發《宋碩, 陸平, 彭佩雲在文化革命中究竟幹些什麼》大字報的

批語(1966年6月1日)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66)人民日報評論員, 歡呼北大的一張大字報 (人民日報, 1966年 6月 2日).

(20)

에 대한 모택동의 이러한 인식은 林彪에 의해 개인숭배의 강화 가능성 을 열어 놓았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한 개인숭배를 통하여 1960년 대 당 내외에서 약화되어 가고 있던 자신의 지위를 견고하게 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67)

1950년대 초, 스탈린 사후 소련과의 불화로 인해 잠시 모택동에 의 해 개인숭배가 부정되었던 적이 있었지만, 1950년대 후반부터 개인숭 배에 대한 모택동의 긍정적인 입장으로의 전환과 임표의 지속적인 노 력 덕분에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는 최고점으로 치닫고 있었다. 이 시기 당 내외에서 지위가 약화되어 가고 있던 모택동은 개인숭배를 반 대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하면서, 오히려 개인숭배는 곧 대중과 하나가 되는 방법이라고 주장하기에 이르렀다.68)

결과적으로 1960년대 초부터 중국에는 모택동을 최고 권위자로 하 는 개인숭배 분위기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면서 언론에는 毛澤東思想에 대한 기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69) 그리고 모택동 역시 흐루시초프

67) 金祺曉, 知識人에 對한 毛澤東의 認識硏究 , p.188.

68) 關於國際共產主義運動總路線的建議 -中國共產黨中央委員會對蘇聯共產黨中央 委員會 (人民日報, 1963年6月17日).

69) 1960년부터 1월부터人民日報에는 毛澤東 思想을 고취하자는 내용의 기사 가 대거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江渭清, 學習毛澤東思想充分發揚自覺的能動性 (1960年1月19日); 林默涵, 更高地舉起毛澤東文藝思想的旗幟(在一個學習會上的 發言) (1960年1月21日); 更高地舉起毛澤東文藝思想的旗幟 (1960年1月22日);

“文藝報”社論, 用毛澤東思想武裝起來, 爲爭取文藝的更大豐收而奮鬥! (1960年1 月22日); 蘇星, 學習毛澤東同志的高速度建設社會主義的思想 (1960年2月25日);

李富春, 毛澤東思想指導下的群眾運動 (1960年2月28日); 中共陝西省委候補書 記 趙守一, 在毛澤東思想指導下, 加強農業科學技術工作 (1960年3月19日); 鄭 君里, 毛澤東思想照亮了電影創作的道路 (1960年3月22日). 그런데 당시 중공중 앙은 이렇듯 모택동에 대한 숭배가 무비판적으로 선전되거나 牽强附會한다고 지적하면서 주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中央宣傳部, 中央宣傳部關於毛澤東思 想和領袖革命事跡宣傳中一些問題的檢查報告(1961年2月23日) ( 中共中央轉發中 央宣傳部《關於毛澤東思想和領袖革命事跡宣傳中一些問題的檢查報告》(1961年3 月15日) , 香港中文大學 中國研究服務中心, CCRD). 이후 잠시 주춤하다가 1966년부터는 “모택동사상”을 표제로 한 기사가 홍수를 이루고 있다.人民日 참조.

(21)

실각 이후 에드가 스노우와의 담화에서도 흐루시초프가 실각한 이유가 아마도 그에게 개인숭배가 없었기 때문이며, 중국에는 확실히 개인숭 배가 있고, 또한 개인숭배가 필요하다고 말하여,70) 이러한 분위기를 뒷 받침 하였다. 개인숭배의 확산은 바로 이러한 모택동의 인식이 주된 요인이 되었다. 그래서 과거에 개인숭배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였을 때 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인사들이 문혁이 개시되자 곧이어 개인 숭배를 구실로 ‘모택동사상’에 대해 반대했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으 며, 아울러 소련과 흐루시초프에 대한 비판과 연계하여 비판을 받기 시작하였던 것이다.71)

한편,

人民日報

를 살펴보면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의 표현은 인 민 대중들의 자발적인 의사에서 비롯된 측면도 없지는 않다.72) 1960년 대 초, 특히 문혁 발생 초기인 1966년부터 대략 3년여의 시간 동안 중 국에는 모택동에 대해 맹신하는 현상이 출현하여, 중국 도처에는 모택 동을 숭배하는 현상이 중국의 인민들에 의해 발생하였던 것이다. 이로 보아 중국의 인민들은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를 지극히 당연한 것으 로 받아들였던 듯하다. 하지만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개인숭배는 문혁을 전후한 시기 동안 당과 정부 차원이나 문혁에 적극적인 인사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루어진 면이 많았던 것이 사실이고,73) 따라서 개인숭배

70) 張家康, 從反對到欣賞再到討嫌 -毛澤東對個人崇拜的態度 (黨史文苑(紀實 版), 2005-1; 자료 출처: http://wf66.com/page/200610/263634F545.htm, 검색일 자: 2009년8월17일)

71) 北大 聶元梓等十一人, 鄧小平是黨內走資本主義道路的當權派!!(1966年11月8 日) (CCRD, 2006); 張寶駒, 奴才和奴才的奴才 (1966年5月27日); 於堅, 周揚 的罪惡活動徹底破產 (1966年7月15日); 武繼延, 駁周揚的修正主義文藝綱領 (1966年7月17日); 威爾科克斯強烈抨擊蘇修集團的背叛行徑 馬列主義者決不能同 修正主義者講團結 (1966年10月7日); 誰反對我們歌頌毛主席, 誰就是我們的敵 人 (1967年6月10日, 이상人民日報).

72) 誰反對我們歌頌毛主席, 誰就是我們的敵人 (人民日報, 1967年6月10日).

73) 문혁이 발생하기 전인 1965년 10월13일을 시작으로人民日報第1面 가장 상단의 우측에는 매일 모택동의 저작에서 발췌한 글 가운데 간추려 毛主席語 錄 이라는 欄을 통해 인민대중에게 소개되었다. 1965년에는 22편의 “毛主席語 錄”이人民日報에 게재되었으며, 1966年6月1日人民日報에 대한 탈권이 성

(22)

풍조는 끊임없는 학습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하튼 이 것은 문혁의 시작과 함께 문혁의 투쟁 방향이 모택동의 말과 글을 통 해 인민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었 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모택동의 개인숭배와 관련된 글들이 홍 위병 조직들을 통해 광범위하게 선전, 확산되고 있었다는 사실에서 홍 위병 조직의 성립이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와도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모택동이 중국의 인민에게 자신에 대한 개인숭배를 직접적으 로 강요했는지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없지만, 청년학생들에 대해 개인 숭배 교육을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숭배’가 진행되었던 것은 확실 하다.74) 예를 들어, 문혁 시기 어린 학생들이 배웠던 학교의 교재를 살 펴보면, 책의 표지에 “모주석어록”이 자리하고 있거나, 홍위병의 그림 이 있으며, 투쟁하고 있는 전사들의 모습을 싣고 있는 것이 당시 교과 서의 일반적인 형태였다.75) 학교 수업에 사용되는 교과서를 통해서도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가 교육을 통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69年 1月 北京市 中小學 敎材 편집부에서 발행한 北京市 中學의 교 과서인

數學 第二冊

“第四章 簡單圖形”의 ‘정삼각형’에 대해 설명하 고 있는 부분을 보면,

정삼각형

위대한 지도자인 모주석께서는 우리에게, “…… 모든 객관사물 자체 는 서로 연관되어 있고 내부 규율을 지니고 있다”는 가르침을 주셨다. 이 등변 삼각형의 성질에서, 우리는 정삼각형의 성질까지도 알 수 있는 것이 며 …….

또 1969年 7月 重慶市 革命委員會 中學敎材 편집부가 발행한 重慶市

공한 이후 1976년 말까지 거의 매일人民日報에 게재되었다. 童懷周, 文化 大革命中的陳毅同志 (歷史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79-2).

74) 方蘇, 文革: 一場轟轟烈烈的大革命 (全球首家中文電腦期刊 中國新聞電腦網 絡(CND) 主辦, 앞의 책, 第八十四期, 1996年4月21日).

75) http://www.lofott.com/show.php?tid=162 (검색일자: 2010년12월25일)

(23)

中學의 교과서인

語文

(1年級用) 제1단원의 “語文知識”편을 보면, 工農兵이 상용하는 몇 가지 修辭方法에 대해서 모주석은 우리에게

“인민의 어휘야말로 풍부하고, 생동감 있으며, 실제 생활을 표현하는 것 이다”(毛澤東, 反對党八股 (1942年2月8日),

毛澤東選集

Vol.3, p. 838. 역 자 주)라는 가르침을 주셨다. 장엄하게 진행되고 있는 무산계급 문화대혁 명에서, 수많은 工農兵이 쓴 한 수의 詩, 경의를 표하는 電報는, 가장 아 름다운 어휘와 완벽한 형식으로 최고로 아름답고 훌륭한 (그들의) 바람을 표현하고, 위대한 영수 모주석에 대한 工農兵의 무한한 深情을 토로하여, 한 글자 한 글자, 한 구절 한 구절 모두 무산계급의 열정적인 감정을 응 집하고 있어 …… 진정으로 언어를 능숙하게 활용하고 修辭를 이해하는 것은 공농병 대중인 것이다.76)

또한 이른바 모택동의 어록을 책으로 만든 ‘紅寶書’는 黨員들이 필수 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강제성을 띠고 있었으며, 문혁이 진행된 기간 동안, 모택동의 形象은 사무실이나 상점을 물론, 심지어는 일반 가정에 서도 갖추어야 할 필수품이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모택동은 자신에 대한 맹목적인 숭배보다는 인민들이 자신의 사상을 이해하고 그로부터 자신에 대한 숭배가 가능하게 되기를 바랐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개인 숭배에 대해서는 부정을 하였지만, 한편으로는

人民日報

를 통해 ‘語 錄’이 실리는 것을 반대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문혁 기 간은 물론이거니와 문혁 이전 시기부터 중국에서 추진되던 정책은 “모 택동사상의 위대한 기치를 높이 치켜들고”서야 비로소 진행될 수 있다 는 전제가 있었던 것이다.77)

이러한 점에서 문혁 초기의 홍위병운동은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 의 영향 하에 일어난 것이며, 문혁 기간 동안 개인숭배 분위기를 전 중국에 확산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고 하여도 대과가 없을 것이다. 특 히 문혁의 중심지였던 북경 소재 각 학교의 홍위병들에 의해 간행된

76) 제한된 지면으로 기술하지 못하였으므로, 모택동에 대한 숭배의 정도를 더 이해하고자 한다면, http://www.zyy65.zj001.net/show_hdr.php?xname=MUMP CV0&dname=PEM6M01&xpos=3 (검색일자: 2010년12월25일)을 참고하기 바 람.

77) 玄黙,中共文化大革命與大陸知識分子(中共硏究雜誌社, 1978), p.135.

(24)

紅衛兵小報

를 비롯하여, 북경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上海 四川 廣州 등지에서 발행되어 주로 그들의 활동을 선전하였던 홍위병 조직 신문 들 또한 모택동사상을 전파하는 등의 방법으로 모택동에 대한 숭배를 강화하고 문혁을 추진하는 동력으로 이용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직 접 출판하는 이 신문들을 통해 대부분 정치적 목적에서 타도 대상으로 지목된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 발표하는 것으로 모택동 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78) 그리고 해당 지역의 반혁명분자를 선별 하거나, 반혁명분자로 지목된 사람들의 죄를 조사하고 그들이 직접 비 판적인 기사를 게재하여79) 이들을 타도의 대상으로 지목하는 상황은 문혁 시기를 통하여 나타난 일반적인 현상이었다.80)

당시 교육, 선전, 통제의 역할을 하고 있었던

人民日報

는 1965년 10월 13일을 시작으로 가끔씩 ‘毛主席語錄’을 싣기 시작하였으며, 이듬 해부터는 매일 ‘毛主席語錄’을 지면의 1면에 게재하여, 자연스럽게 모 택동의 사상을 독자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人民日報

가 社論을 통하여 中共中央이 대량으로 모택동 저작을 출판하기로 했다는 소식을 전하자,81) 북경의 일부 대학에서

毛澤東選集

을 발행하여 무

78) 金祺曉, 知識人에 對한 毛澤東의 認識 硏究 , p.190.

79) 대부분의 홍위병 신문들의 특징이 이러하다. 이들 신문 가운데에는 당시 반 혁명분자로 분류된 인물에 대한 비판을 전문적으로 하는 신문도 출현하였다.

이 신문들의 이름만으로도 ‘누구’를 비판, 타도하기 위해 제작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가령 陳再道에 대한 비판을 주로 하는 신문은 毛澤東思想紅衛兵武漢地區 革命造反司令部 主辦,鬪陳戰報; 中國科學院武漢紅色造反團專揪陳再道戰鬪 臺 武漢鋼二司, 三司硬革聯新華師戰報合辦,專揪陳再道戰報가 있고, 팽진 에 대한 비판을 주로 하고 있는 신문은 國家建委反到底聯合兵團, 國家計委革命 造反公社, 國家經委井岡山革命造反總部 合辦,鬪彭戰報(1967年); 首都批鬪彭 眞聯絡委員會批彭戰報編輯部 編,批彭戰報(1967年)가 있으며, 陶鑄에 대 한 비판을 위주로 하는 신문은 批判劉鄧路線新代表陶鑄聯絡委員會 主辦,批陶 戰報(1967年); 鬪爭陶鑄大會籌備處 主辦,鬪陶戰報(1967年) 등이 있다.

80) 1966년부터 각 지역의 홍위병과 조반파들이 쏟아낸 신문들은 짧게는 몇 달, 길게는 1968년 8월까지 출판이 되었다. 신문의 내용은 대부분이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모택동에 대한 숭배, 자산계급, 반혁명분자의 타도, 文革을 끝까지 수행하자는 등의 획일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81) 中共中央決定大量出版毛主席著作 , 全國人民的大喜事 (人民日報, 1966年

(25)

료로 배포했는데,82) 이 또한 개인숭배 열기를 고조시키는데 일익을 담 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방송국에서는 연일 모택동의 강화를 방송하였 고, ‘毛主席語錄’을 들고 그것을 외우는 것이 혁명과 모택동에 대한 충 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었다. 모택동을 지칭할 때에는 ‘위대한 수령’,

‘위대한 스승’, ‘위대한 통솔자’, ‘위대한 조타수’라는 형용사를 붙이는 것이 전국을 풍미하였고, 당시 중국의 인민들이 모택동에게 보내는 편 지의 내용은, 모택동에 대한 개인숭배가 얼마나 극도로 치달았는지를 여실하게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83)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 하에서 이를 단순히 존경의 의미만을 지니는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 이러한 모택동에 대한 숭배와 문혁에 대한 당시 대중들의 인식은

人民日報

를 통해서도 쉽게 살펴볼 수 있지만,84) 이 시기 모택동을 선전하는 각 종 그림이나 노래, 우표, 출판물 등이 쏟아진 것만 보아도 충분히 납득 할 수 있다.85) 문혁 당시 모택동에 대한 숭배는 대중들에 의해 자발적 으로 구호나 노래로 표현되거나, 청화대학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에 모

8月8日).

82) 高皋 嚴家其,“文化大革命”十年史(天津人民出版社, 1986), p.45.

83)文匯報,解放日報全體革命職工, 向毛主席致敬電 (人民日報, 1967年1 月9日).

84) 여기에 소개된 기사는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모택동에 대한 숭배 열기는 뜨거웠다. 戰鬪在北部灣上 -記“南海英雄船”一○一八號貨船的英雄事跡 (1967年1月5日); 堅決執行偉大統帥毛主席的戰鬪命令 解放軍示威遊行支持革命 左派奪權 嚴正警告國內外反動派:誰敢反抗左派奪權, 誰敢破壞文化大革命, 就堅 決鎮壓 (1967年1月28日); 粉碎黑龍江省葦河林區反革命假奪權陰謀 劉英俊生 前所在部隊堅決支持革命派奪權鬪爭 (1967年2月28日) ; 革命的“三結合”是奪權 鬪爭的政治和組織保證 (1967年3月11日); 象無產階級革命派那樣敢於革命徹底 革命 山西省軍區某部一連暢談在支持革命派奪權鬪爭中向革命派學習的體會 (1967年3月15日); 上海大中學校革命師生認真學習第六女中的經驗 批深批透黨內 頭號走資本主義道路的當權派 在大批判中推進革命大聯合和革命“三結合” (1967 年4月16日); 革命人民無限熱愛毛主席 (1967年4月29日); 毛主席永遠和我們在 一起 (1967年5月14日); 顧阿桃, 世世代代不離毛澤東思想 (1967年7月2日, 이 人民日報) 등이 있다.

85) 中央直屬美術系統革籌小組評論組, 毛主席革命路線勝利的頌歌 (人民日報, 1967年11月28日).

Referensi

Dokumen terkait

러운 땅에는 麋糞을, 물기 많은 땅은 鹿糞을, 소금기가 많은 토지에는 貆糞을, 성근 땅에는 狐糞을 각기 토양의 성질에 따라 사용할 것을 제 시했던 것이다.31 이런 사실을 宋代 農書에서 재확인하여 적용하고 있 는 것을 보면 가축의 糞尿가 당시 토양개량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가축분의 성질을

․ 만주국, 일본의 대륙정책 및 극동정세에 간접, 직접 영향이 큰 미국 내 중요 정책의 조사정보 ․ 미국 내에서의 여론의 구성, 여론 지도기관의 연구 조사 ․ 만주국 특산물을 원료로 하는 제품의 해외시장 경쟁품인 미국 농산 물을 원료로 하는 제품에 관한 조사 ․ 미국 진출을 목표로 하는 만주국 농산품의 미국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