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된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된다."

Copied!
5
0
0

Teks penuh

(1)

2 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남부

4

5

6

13 9 10 1

2 3

15 16 17 18 19 25

26

21 23

20 22

24

27 7

8 12

14 11

■ 태선침선문토기 출토 유적 분포도

한편, 서해안 편년과의 병행관계를 문제삼으면서 자돌압인문의 영선동식토 기를 전기, 태선침선문토기를 중기, 퇴화침선문과 봉계리식토기를 후기로 보는 남부지방의 5기편년 기준 중, 수가리Ⅰ·Ⅱ식과 봉계리식의 침선문이 과연 중 기, 후기로 구분될 만큼의 시간적 거리가 있는지를 의문시한 의견도 제시되었 다.(안승모 2003).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중기에서 후기로의 변천 시기에는 태선침선문토기 전 통의 쇠퇴·소멸과 봉계리식토기의 등장이라는 두가지 양상이 지역에 따라 약 간의 시간차를 두고 거의 동시에 진행되고 있었다. 따라서 남부지역 각지로 봉 계리식토기의 확산현상이 나타나는 시기가 중기와 후기의 시기구분에 있어 또 하나의 기준이 될 것이다.

중기 태선침선문토기의 절대연대는 5,000~4,300B.P.가 중심연대로 되어

있으며, 후기의 퇴화침선문토기는 4,300~3,800B.P. 동안 존속한 것으로 추정

된다.

(2)

토기의변천- 남부

■ 태선침선문토기 출토 유적 목록

연번 | 유적명 | 출토 상황 | 조사연도 | 조사기관 | 참고문헌

1 양양 지경리 주거지 1995~1996 강릉대학교박물관 2002 『襄陽 地境里 住居址』

2 강릉 하시동리 주거지·노지 2004 강원문화재연구소 2004 『강릉 하시동 공군관사 부지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지도위원회의 자료』

3 강릉 초당동 주거지·노지 2003·2004 강원문화재연구소 2003·2004 『발굴조사 지도위원회 자료』

4 강릉 지변동 포함층 2004 동양대학교박물관 2004 『강릉대 관내 주차장 및 도로부지내 유적 시굴조사결과 약보고서』

5 김천 송죽리 주거지 1991~1992 계명대학교박물관 배성혁 2001 「경북 김천 송죽리 신석기유적」

『新石器時代의 貝塚과 動物遺體』(제4회 한일 신석기문화 학술세미나 발표자료집) 6 경주 하서리 지표 1995 국립경주박물관 1995 『國立慶州博物館年報』

7 청도 오진리 포함층 1993 부산대학교박물관 1994 『淸道 梧津里 岩蔭 遺蹟』

8 울산 신암리 포함층 1974 국립중앙박물관 1988 『新岩里Ⅰ』, 1989 『新岩里Ⅱ』

9 부산 영선동 패층 1933 有光敎一 有光敎一「朝鮮釜山瀛仙町の一貝塚に就いて」『人類學雜誌』51卷2호.

10 부산 동삼동 주거지 1929 橫山長三郞 橫山長三郞 1933 「釜山府絶影島 東三洞貝塚調査報告」『史前學雜誌』5-4 1932 及川民次郞+부산고고회 及川民次郞 1933 「南朝鮮牧ノ島東三洞貝塚」『考古學』4-5 1962~1964 연세대학교+위스콘신대 L. L. Sample 1974 「Tongsamdong : A Contribution to Korea

Neolithic Culture History」『Arctic Anthropology』ⅩⅠ-2 1963 서울대학교 金元龍 1969 「韓國考古學에서의放射性炭素年代」『考古學』2 1969~1971 서울대학교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2002 『東三洞貝塚』

1999 부산시립박물관복천분관(현 복천박물관) 1999 『동삼동패총 유적발굴조사 설명회 자료집』

11 부산 조도 패총 1973 국립중앙박물관 1979 『朝島貝塚』

12 김해 수가리 패총 1978·1979 부산대학교박물관 1980 『金海 水佳里貝塚』

13 부산 범방 패총 1991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3 『凡方貝塚Ⅰ』, 1996 『凡方貝塚Ⅱ』

14 부산 다대포 지표채집 1934 부산고고학회 有光敎一 1962 『朝鮮櫛目文土器の硏究』

15 가덕도 대항 지표 1992 부산여자대학교박물관(현 신라대학교)1993 『加德島文化遺蹟地表調査報告書』.

16 거제 대포·근포 지표 2003 목포대학교역사문화부 이헌종 외 2004 「거제도출토 신석기시대 신자료」『한국시석기연구』7 17 통영 연대도 무덤·패총 1988~1992 국립진주박물관 1993 『煙臺島Ⅰ』

18 통영 상노대도 패총 1978 동아대학교박물관 1984 『上老大島』

연세대학교박물관 손보기 1982 『상노대도의 선사시대 살림』

19 상노대도 산등 패총 1988 부산수산대학교박물관(현 부경대) 1989 『山登貝塚』

20 통영 욕지도 패총 1988~1989 국립진주박물관 1989 『欲知島』

21 여천 돌산 송도 패총 1989·1990 국립광주박물관 1989 『突山松島』, 1990 『突山松島』

22 진주 상촌리 주거지·수혈 1996~1997 동의대학교박물관 2002 『上村里遺蹟』

주거지 1996 동아대학교박물관 이동주 1997 「상촌리 신석기유적」『남강댐 수몰지구의 발굴성과』

(제7회 영남고고학회 발표요지) 23 합천 봉계리 주거지 1987·1988 동아대학교박물관 1989 『陜川 鳳溪里 遺蹟』

24 거창 대야리 포함층 1987 동의대학교박물관 1988 『大也里住居址Ⅰ』

25 진안 갈머리 주거지 2000~2001 호남문화재연구원 2003 『갈머리유적』

(3)

부산 동삼동패총은 부산시 영도구 동삼동에 위치하는 신석기시대 대규모 패총유적으로 주거지와 노지, 분묘 등도 확인된 바 있다.

1999년에 실시한 동삼동패총 전시관 건립부지 및 정 화구역에 대한 발굴조사에서는 3기의 주거지가 조사되었는 데, 그 중 1호와 2호 주거지는 모두 신석기시대 중기에 해 당하는 것으로 주거지 중복관계에 의해 중기단계의 변화양 상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중복관계에 있어 보다 먼저 설치된 1호 주거지에서는 구연부에 단사선문·삼각집선문·파상문·능형집선문 등 을 시문하고 동체부에는 횡주어골문을 결합시킨 복합문이 중심이 되며, 기면 전체에 전면횡주어골문을 시문한 것도 같이 출토되었다. 구연부 단사선문토기 중에는 구연부부가 문口緣部附加文이 시문된 것도 있으며, 시작과 종결점에 둥근 홈을 깊게 남긴 태선침선문토기 시문의 전형적인 기법을 보이고 있다.

1호 주거지를 절반 이상 파괴하고 만들어진 2호 주거 지에서는 구연부에 단사선문·삼각집선문·능형집선문, 동 체부에 횡주어골문이 시문된 복합문과 구연부에서부터 횡 주어골문이 시문된 단일문이 출토되었다. 2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토기 중에는 구연부에 지두흔을 2열 남기고 기면을 매우 정연하게 정면한 토기와 구연에 점토띠를 덧대어 이 중구연토기와 같은 효과를 낸 소형 심발형 토기가 출토되 어 주목된다.

1호 주거지와 2호 주거지의 토기는 문양구성에서는 그 다지 큰 차이가 없지만, 2호 주거지 토기는 1호 주거지 토 기에 비해 시문방법에 있어서 엄격함이 약화된 느낌을 준 다.

1, 2호 주거지의 위로는 중기에 해당하는 토층이 두텁 게 퇴적되어 있다. 이 5층에서도 태선침선문토기 단계의 토기가 다량 출토되었는데, 전면시문의 정연한 복합문에서 시문부위가 축소되고 세침선으로 시문한 것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태선침선문토기는 단사선문 아래에 종속구연문이 시문 되고 동체부에 횡주어골문이 시문된 전면시문 침선문토기 에서 종속구연문이 탈락하여 단사선문+횡주어골문으로 변 하고, 이어서 집선문 또는 격자문+횡주어골문에서 동부문 양이 생략되는 구연부 집선문 또는 격자문으로 변천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동삼동패총에서 조사된 주거지와 5층에서 나온 토기변화의 양상은 대체로 이에 부합하지만, 그 변화가 단 순하고 명확하게 구분된다기보다는 각 문양계통별로 복잡 한 변화양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시문방법이 나 시문부위에 있어서의 변화는 동삼동패총 자료를 통해서 도 새삼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1호 주거지의 방사선탄소연대는 4,360±60, 4,680±

60, 4,590±100으로 측정되었고, 2호 주거지의 방사선탄 소연대는 4,300±40이다.

2 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남부

부산동삼동패총

(4)

토기의변천- 남부 1호 주거지 출토 유물

2호 주거지 출토 유물

(5)

2 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남부

*횡주어골문토기/ 부산 동삼동 2호 주거지 / 잔존높이 15.6cm, 복원높이 20.2cm / 동삼동패총전시관

Referensi

Dokumen terkait

유니캐스팅은 각각의 정보 요구자들에게 정보의 개별적 메시지 복사본을 보내는 두 지점간 전송방식이다.. 유니캐스팅은 정보 요구자들이 많을 경우에는 효율적 이지 못한 문제점이

빠르게 이 동할 수록 선이 가늘어지며, 느리게 이동할 수록 선이 두꺼워 진다.. 실제로 펜촉 측면에서 팁 또는 음영으로 그릴 것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