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러시아와 구소련국가의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러시아와 구소련국가의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망"

Copied!
7
0
0

Teks penuh

(1)

러시아와 구소련국가의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망

에너지국제협력본부 최영림([email protected])

러시아는 세계에서 셰일오일 매장량 세계 1위(약 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됨.

러시아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세계 총 매장량 206Tcm 중 8Tcm으로 세계 9위를 차지함.

EIA(2013)에 따르면, 러시아를 포함한 구소련지역(리투아니아 포함)의 셰일오일 가채매장량은 772억 배럴, 셰일가스 가채매장량은 415Tcf임. 러시아의 매장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셰일자원은 우크라이나에 부존되어 있음.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셰일가스 매장지로는 서부지역의 Olesskaya 매장지와 동부지역의 Yuzovskaya 매장지, 흑해 Skifskaya 매장지가 있음.

러시아 극동・자바이칼지역에는 탐사・개발 중인 전통 천연가스 매장지가 크게 부 족하고, 신규 파이프라인 건설을 통한 가스공급 비용이 매우 높아서 셰일가스 개발을 통한 역내 가스화가 계획되고 있음.

우크라이나는 자국 내 셰일가스 자원 탐사・개발업자로 Chevron(미국)과 Shell을 선정하고 생산물분배협정(PSA) 방식으로 셰일가스 매장지를 개발하기로 했으나 내전으로 인해 사실상 개발사업이 중단됨.

1. 셰일자원 부존 현황

□ 러시아의 셰일자원 부존 현황

ㅇ 2013년 6월 미국 EIA가 발표한 42개 석유생산국의 셰일자원 가채매장량 자료

에 따르면, 러시아는 세계에서 셰일오일 매장량 세계 1위(약 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됨.

- 세계 총 셰일오일 매장량 3,450억 배럴 중 러시아의 셰일오일 매장량은 750 억 배럴임(미국 580억 배럴, 중국 320억 배럴).

- BP 역시 2014년 1월 보고서를 발표하고, 향후 20년 내 러시아 셰일오일 생 산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음. BP는 러시아의 셰일오일 개발 속도가 향후 10년 내 러시아의 석유생산량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ㅇ 또한, 러시아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세계 총 매장량 206Tcm 중 8Tcm으로 세 계 9위를 차지함(중국 32Tcm, 아르헨티나 23Tcm, 알제리 20Tcm)(EIA(2013).

ㅇ 러시아 셰일오일 매장지는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에 고루 분포되어 있

“러시아는 세계에서 셰일오일 매장량 세계 1위(약 7%)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

“러시아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세계 총 매장량 206Tcm 중 8Tcm으로 세계 9위를 차지”

(2)

Bazhenovskaya 셰일층에 집중되어 있음.

- Bazhenovskaya 셰일층은 서시베리아 중부지역 지하 2,500~3,000m에 두께 10~40m로 형성되어 있는 지층으로 약 100만km2 넓이로 분포되어 있음.

- EIA 평가에 따르면, Bazhenovskaya 셰일층의 셰일오일 매장량은 1.24조 배 럴로 미국 Bakken 셰일매장지보다 많은 자원이 매장되어 있음.

- Bazhenovskaya 셰일층은 러시아의 채굴이 어려운 원유 매장지 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총 매장량 중 가채매장량은 6%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있음.

- Bazhenovskaya 셰일층에는 셰일가스도 약 1.92Tcf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됨(EIA).

- 이외에도 서시베리아 Achimovskaya, Tyumenskaya 지층에도 셰일오일이 매 장되어 있음.

자료: The American Interest

< 러시아 북서부지역 Bazhenovskaya 셰일층 >

ㅇ 그 밖에 러시아 Timano-Pechora지역, 볼가-우랄 지역, 북카스피지역 등에도 셰일자원이 매장되어 있음.

- 러시아 볼가-우랄 및 북카스피해 지역의 Domanikovaya 지층에는 원유성분 물질인 케로겐(Kerogen)을 포함하는 흑색 규질과 석회질 셰일이 매장되어 있으며, Timano-Pechora지역의 Domanikovaya 지층의 셰일오일 매장량은 약 10억 톤으로 추산됨.

- 그러나 우랄 및 카프카즈지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러시아 동부지역에서는 아 직 셰일자원 매장량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ㅇ 러시아 극동 자바이칼지역에는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셰일자원 매장지가 4개 (Chitino-Ingodinskoye, Ononskoye, Gusinoozerskoye, Eravisnkoye)가 있으며, 총 매장량은 1.3억toe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산됨.

“러시아 극동 자바이칼지역에는 상업적 생산이 가능한 셰일자원 매장지가 4개가 있으며, 총 매장량은 1.3억toe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산”

(3)

□ 구소련 국가의 셰일자원 부존 현황

ㅇ EIA(2013)에 따르면, 러시아를 포함한 구소련지역(리투아니아 포함)의 셰일오

일 가채매장량은 772억 배럴, 셰일가스 가채매장량은 415Tcf임. 러시아의 매 장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셰일자원은 우크라이나에 부존되어 있음.

- 우크라이나의 셰일오일 매장량은 11억 배럴, 셰일가스 매장량은 128Tcf임.

- 한편, 우크라이나 정부는 셰일가스 매장량을 22Tcm(동부지역 14.3Tcm, 서 부지역 3.4Tcm, 남부지역 4.3Tcm)으로 추산한 바 있으나, 전문가들은 우크 라이나 셰일가스의 상업적 생산가능량은 이보다 3~4배 적을 것으로 분석함.

ㅇ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셰일가스 매장지로는 서부지역의 Olesskaya 매장지와 동부지역의 Yuzovskaya 매장지, 흑해 Skifskaya 매장지가 있음.

- Olesskoaya 매장지는 우크라이나 서부 Ivano-Frankovskaya州, L’vovskaya 州에 위치해 있으며, 셰일가스 매장량은 3Tcm임.

- 우크라이나 동부 Donetsk州와 Kharikov州 경계에 위치한 Yuzovskaya 매장 지의 가스 매장량은 4Tcm(Dnieper-Donets 지층 1.3Tcm 포함)으로 추산됨.

- 우크라이나 소유 흑해 대륙붕에도 셰일가스와 같은 비전통 가스가 대규모로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짐. 흑해 Skifskaya 매장지의 셰일가스 매장량은 4Bcm임.

자료: vestifinance

< 우크라이나 셰일가스 매장지 및 매장량 >

2.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략

□ 러시아의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략

“우크라이나의 대표적인 셰일가스 매장지로는 서부지역의 Olesskaya 매장지와 동부지역의 Yuzovskaya 매장지, 흑해 Skifskaya 매장지가 있음”

(4)

가스 자원 개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않고 않지만, 미국의 셰일오일 및 셰일 가스 개발기술을 습득하려고 함.

- 이에 따라 러시아 에너지부는 2012년 말 국영기업 Rosneft와 Gazprom에 자 국 내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 매장량 조사와 시범 개발을 지시한 바 있음.

- Gazprom은 아직 셰일가스 개발에 큰 관심을 두지 않지만, 대표적인 석유기

업들은 볼가 및 서시베리아지역에서 외국기업과 공동으로 셰일오일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러시아 정부는 채굴이 어려운 원유에 대한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 2013 년 9월 발효된 세법개정에 따라 Bazhenovskaya, Abalak, Kahdaum, Domanik 등의 셰일지층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가 15년간 면제됨.

- 그러나 EU의 對러시아 제재로 셰일가스 관련 탐사설비 및 기술의 러시아 수 출 금지 조항도 포함되면서 현재 대부분의 셰일자원 개발이 중단된 상황임.

지난 7월 29일 EU 회원국은 에너지 부문과 관련된 일부 기술을 러시아에 수출 할 경우 사전 승인을 얻어야 하며 심해시추, 북극 에너지 및 셰일가스 탐사에 필요한 장비와 기술의 對러시아 수출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對러시아 추 가제재안에 합의함(인사이트 제14-27호(8.1일자) p.41 참조).

ㅇ Rosneft는 서시베리아와 볼가지역의 셰일오일 매장지 탐사 및 개발을 추진하 고 있음.

- 2012년 말 Rosneft와 ExxonMobil은 협력협정을 체결하고, Rosneft가 보유 하고 있는 서시베리아 23개 라이선스 구역의 Bazhenovskaya 및 Achimovskaya 셰일층에서 셰일오일 개발·생산 가능성 평가를 공동 시행하 기로 함.

- 이 사업에 미국 ExxonMobil은 시범생산 비용 3억 달러를 지원하고, 셰일오 일 개발부문의 전문인력과 기술을 지원하게 됨.

- 사업 계획에 따라 2015년에 양사는 유망 매장지를 선정하여 시범생산을 시 작할 예정이었으나,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EU 회원국들의 對러시아 제재 조치에 따라 ExxonMobil은 동 사업을 포함한 러시아 자원개발 사업을 2014 년 9월부터 중단한 상황임.

ㅇ 2013년 말 Rosneft는 노르웨이 Statoil과 러시아 볼가지역 내 Samara州

Domanik 셰일층의 상업적 셰일오일 생산 가능성 평가를 위한 합작기업 설립

협정을 체결하였음.

- 이에 따라 양사는 3년 동안 정보수집, 시범정(pilot well) 시추, 수압파쇄공법 적용 등이 포함된 셰일오일 생산 시범프로그램 시행과 상업적 생산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게 됨.

- 시범프로그램이 끝나면 양사는 공동 개발대상 매장지를 선정하게 됨.

- 그러나 EU 회원국의 對러시아 제재로 인해 Statoil 역시 셰일오일 등의 사업

“2012년 말 Rosneft와 ExxonMobil은 Rosneft가 보유하고 있는 서시베리아 23개 라이선스 구역의 셰일층에서

셰일오일 개발·생산 가능성 평가를 공동 시행하기로 합의”

(5)

에 난항을 겪고 있음. Statoil은 러시아와의 협력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 으나, 셰일오일 사업은 계획보다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함.

- Rosneft는 2014년 5월 BP와도 볼가지역 Domanik 셰일층에 대한 공동 개발 합작기업 설립 협정을 체결한 바 있음.

ㅇ Gazprom은 셰일자원 개발에 부정적인 입장이나 셰일오일 탐사를 적극 추진하

기로 결정함. Gazprom Neft는 메이저 기업 Shell과 2013년 4월 자원개발 공동 사업에 대한 MOU를 체결함.

- MOU에는 Gazprom의 북극해 대륙붕 개발뿐 아니라 서시베리아

Khanty-Mansi 자치구의 Verkhne-Salymskoye 유전의 셰일오일 탐사 및 개 발에 관한 협력이 포함됨.

- 이에 따라 양사는 합작기업 Salym Petroleum Development N.V을 설립하고 셰일오일 개발을 공동 시행하기로 함.

- 그러나 이 사업도 7월 유럽 제재 이후 중단된 상황임. Shell은 Gazprom Neft와의 협력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으며, Gazprom Neft는 이후 독자적 으로 이 지역에 대한 셰일오일 탐사 및 개발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언급 하였음.

ㅇ 러시아 민간 석유기업 Lukoil도 프랑스 Total과 2014년 초부터 서시베리아 Kahnsty-Mansi 자치구 Sredne-Nazymskoye 유전의 Bazhenovskaya 셰일층 공 동 개발을 협의하고 있었음.

- Total은 2014년 9월 Lukoil과의 셰일오일 사업 추진에 관한 가능성을 다시 평가하고 해당 사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힘.

ㅇ 러시아 극동・자바이칼지역에는 탐사・개발 중인 전통 천연가스 매장지가 크게 부족하고, 신규 파이프라인 건설을 통한 가스공급 비용이 매우 높아서 셰일가 스 개발을 통한 역내 가스화를 계획하고 있음.

- 2013년 말 극동 자바이칼지역 지방정부는 Gazprom 및 Rosneft와 역내 셰일 가스 매장지 개발에 관한 협정안을 마련하고, 자바이칼지역 가스화를 위한 셰일가스 및 CBM 생산 여건을 검토한 바 있음.

- 자바이칼 지방정부는 역내 셰일가스 매장지에 1개 유정 시추비용을 300만 달러로 평가하고, 수송비용을 고려한 역내 가스 최종소비가격을 1000m3당 5,500루블(약 126.5달러)로 추산함.

- PNG 공급가격 수준을 고려할 때, 셰일가스를 통해 역내 가스 수요의 30~100% 충당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구소련국가의 셰일자원 개발 현황 및 전략

ㅇ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가스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하여 자국 가스 생산량을

“러시아

극동・자바이칼지역 에는 탐사・개발 중인 전통 천연가스 매장지가 크게 부족하고, 신규 파이프라인 건설을 통한 가스공급 비용이 매우 높아서 셰일가스 개발을 통한 역내 가스화를 계획”

(6)

면, 자국 가스 생산량을 연 44.4Bcm까지 증대시키고, 수입량을 5Bcm까지 감 축할 계획임.

BP(2014)에 의하면, 2013년 가스 생산량 19.3Bcm, 소비량 45Bcm, 수입량 26.9Bcm임.

ㅇ 우크라이나는 자국 내 셰일가스 자원 탐사・개발업자로 Chevron(미국)과 Shell 을 선정하고 생산물분배협정(PSA) 방식으로 셰일가스 매장지를 개발하기로 함.

- 우크라이나 국영 Nadra Yuzovskaya는 2013년 10월 Shell과 셰일가스 개발 PSA에 서명함.

- PSA에 따라 양사는 우크라이나 동부 Yuzovskaya 매장지에서 50년간 셰일 가스 탐사 및 생산 사업을 추진하게 됨. 사업 1단계에서 셰일가스 매장량 조 사를 위한 2D/3D 지질탐사와 시추작업이 진행됨.

- 우크라이나 국영기업 Nadra Olesska와 Chevron은 당초 2012년 말 Olesskaya 매장지에 대한 셰일가스 개발 PSA를 체결하려고 했으나, 지역주 민의 반발로 연기되어 2013년 11월에 체결함.

- 양사는 Olesskaya 매장지를 공동 탐사·개발하게 되며, Chevron은 탐사단계 에서 3억5,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임.

ㅇ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내전으로 인해 동부지역 내 셰일가스 개발작업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됨.

- Shell은 우크라이나 동부 Yuzovskaya 매장지 시추작업을 반정부 시위로 인 해 중단한다고 2014년 6월 밝혔음. 이후 Shell은 동 매장지 내에 상업성을 갖는 셰일가스 매장량이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개발사업을 중단하겠다고 7 월 발표함.

- 반면, Chevron은 서부지역의 셰일가스 생산 사업을 계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2014년 5월 발표한 바 있음.

ㅇ 벨라루스는 최근 자국 내 셰일자원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음. 2014년 4월 벨라루스 국영석유기업 Belarusneft는 Rechitskoye 매장지에서 매장량 조사 작 업에 착수하였음.

- Belarusneft는 Rechitskoye 매장지의 Petrikovsko-Eletskaya 지층에 수압파쇄 공법 시행을 위한 첫 번째 유정을 시범 시추하였으며, 9월 이 곳에서 처음으 로 원유를 생산하고, 일일 20톤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음.

- 이 지역의 원유 매장량은 70만 톤에 이르는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벨라루스 의 러시아 원유 도입량의 3%에 해당하는 수치임.

3. 평가 및 전망

ㅇ 러시아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셰일가스 등 비전통자원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

“우크라이나는 자국 내 셰일가스 자원 탐사・개발업자로 Chevron과 Shell을 선정하고 PSA 방식으로 셰일가스 매장지를 개발하기로 했으나 내전으로 인해 사실상 개발사업이 중단”

(7)

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보고 있음.

-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2035년 이후부터 비전통원유를 생산하고, 2050~2070 년 이후에야 셰일가스 생산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함.

- 러시아의 전체 원유 생산량은 2020~2025년에 최대치를 기록하고 5~7년간 유지하다가 2030년 이후부터 감소국면에 접어들 것이기 때문에 2030년부터 비전통자원에 대한 본격적인 탐사·시추 활동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 들은 평가함.

- 앞서 언급했듯이 BP도 러시아의 셰일오일 개발속도가 향후 10년 내(2025년 경) 러시아의 석유생산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ㅇ 러시아 기업들은 셰일오일 개발을 시범사업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으나, 우크라 이나 사태에 따른 EU 회원국들의 대 러시아 제재로 셰일자원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음.

- 러시아 석유기업들은 셰일오일 등 채굴이 어려운 자원 개발에 필요한 장비 대부분을 유럽 및 미국으로부터 공급받고 있었음.

- 서방 제재에 따라 셰일오일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외국 파트너기업들도 러시 아 내 사업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있음.

ㅇ 우크라이나는 당초 러시아의 가스 의존도 감축을 위해 러시아 가스를 대체할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였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셰일가스 개발 사업이 추진됨.

- 그러나 동부지역 Yuzovskaya 매장지에서 셰일가스 상업적 매장량이 발견되 지 않아 Shell의 셰일가스 개발이 중단되는 등, 우크라이나는 셰일가스 사업 의 경제성을 갖지 못하고 있음.

- 지난 7월 우크라이나 재정부가 발표한 러시아 가스 수입 대체 방안에도 셰일 가스 개발은 포함되지 않음. 동 방안에는 심야전력 활용, 해상터미널을 통한 LNG 수입, 소규모 지역에 바이오연료 사용, 석탄가스화 등이 포함되어 있음.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Lenta, “Shell прекратила разрабатывать сланцевую нефть в России”, 2014.10.3

Oilru, “Хорошие запасы сланцевого газа позволят отказаться от импорта -глава Минэкологии Украины”, 2013.8.2

RBC, “Total переоценивает планы по освоению сланцевой нефти в ХМАО”, 2014.9.23

RIA, “Statoil скорректировала некоторые проекты с ‘Роснефтью’ из-за

“우크라이나는 당초 러시아의 가스 의존도 감축을 위해 러시아 가스의 대체 차원에서 셰일가스 개발 사업을 추진했으나, 동부지역

매장지에서 상업적 매장량이 발견되지 않아 사실상 개발이 중단됨”

Referensi

Dokumen terkait

□ 해양에너지 및 항만·해양구조물 설계/유지관리 기술 개발 필요성 ㅇ 해상풍력발전 산업 촉진을 위한 발전단가LCOE 분석 및 절감기술 개발의 필요성 - 국내 에너지기본계획, 전력수급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등의 국가 에너지 계획에서 활용되는 경제지표 및 전제조건을 반영한 해상풍력발전 발전단가 LCOE 분석 및 국내

3 신규 유지/다당류 가수분해효소 10 종 이상 대량발굴 및 응용기술개발 4 해양 생명체 유래 광학선택적 epoxide hydrolase 5 종 이상 발굴, 구조분석을 통한 광학선 택적 분해 mechanism 분석 및 epoxide 생산 기술 개발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1 한국해양연구원KORDI ◦열대지방, 극지,

결론 및 시사점 ¡對이란 경제제재 해제는 자원 부국이자 역내 강국인 이란이 국제석유시장에 본 격적으로 재진입하는 계기로 작용하면서 셰일 혁명 및 세계경제 저성장 기조로 촉발된 저유가 상황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음.. ‒ 국제석유시장에서 이란의 석유공급 증대는 단기간 내에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 로 보이며,

바이오디젤 개요 국내 바이오디젤 산업 현황 정부의 바이오디젤 보급 관련 중장기 정책 바이오디젤 산업 전망 바이오디젤 산업의 과제...  바이오디젤 혼합연료유 동·식물성유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료바이오디젤 및 이를 석유 제품과 혼합한

중동 주요 산유국의 석유 ・ 가스 개발 전략 지역협력연구실 신상윤 부연구위원[email protected] ▶ 중동 산유국들은 산업다각화 등을 통해 경제를 고도화하면서도, 동시에 석유・가스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이란 역시 제재 이전 수준으로 생산규모를 대부분 회복하였으며, OPEC내 최대 산유국인 이들

유럽 신재생에너지 및 풍력발전 현황 해외정보분석실 김정아[email protected] 러시아 야말-LNG 사업의 경제성 평가 및 전망 해외정보분석실 한혜진[email protected] ▶ 야말-LNG 사업은 러시아 야말반도 South Tambeiskoye 육상가스전 개발과 Sabetta 액화플랜트 건설을 통해

부모교육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35 부모교육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조민경 여성가족부 가족정책과 과장 최근 아동학대 예방 및 가족관계 증진 차원에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부모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부모교육을 통하여 부모의 양육역량을 강화하려는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다.. 여성가족부 는 지난 3월 부모교육

- 기존 가스전田의 완전 가동, 신규 가스전 개발, 가스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 감소, 우즈베키스탄 등 자원부국으로부터의 안정적인 가스 수입, CBM과 셰일가스 등 비전통 자원의 종합적인 이용 등을 통해 자원 공급역량을 확대함.. - CNPC의 서기동수西氣東輸 3라인과 Sinopec의 지난濟南-칭다오 2라인 건설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