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국"

Copied!
4
0
0

Teks penuh

(1)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9호 2014.10.31

37

중국

□ 중국 정부, 새로운 투자 메커니즘 도입으로 민간투자 유치증대 계획

ㅇ 중국 리커창 총리는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방식을 포함한 새로운 투자 메커니 즘 도입을 통해 주요 분야에서 민간자본의 투자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10월 24일 국 무원 상무회의에서 밝힘.

- 회의에 따르면, 내륙수로 수송시설과 공항 건설, 광대역 접속망과 GPS 운영, 원자력발 전과 송전망·배전망·분산형 전원 계통연계 구축, 가족농장을 비롯한 농업·관개사업 지원, 교육·의료·노인부양·보건·문화시설 정책지원 등 분야에 민간투자가 확대·장려될 예정임.

- 국무원의 이번 결정은 지난 4월에 발표한 민간투자 확대·장려 계획에 이은 것으로 단순 한 투자분야의 확대가 아니라 중국 정부의 지속적인 개방 의지를 반영하고 있음.

중국 국무원은 지난 4월 개최된 상무회의에서 이미 철도・항만 등 교통 인프라, 차세대 정 보 인프라, 수력・풍력・태양광 발전 등 청정에너지, 석유・가스 파이프라인과 최신 석유화학 산업기지 등 분야에서 80건의 시범사업에 대해 공개 입찰을 진행하고, 공동출자・단독출자・

프랜차이즈 등의 방식을 통한 민간투자를 장려한 바 있음.

- 또한 이러한 조치를 통해 각 분야에서의 민간투자가 시장이 필요로 하는 사업으로 투입 되고, 소극적이었던 투자심리가 회복될 것으로 보임.

ㅇ 특히 이번 회의에서 PPP 모델 등 새로운 투자 메커니즘 도입으로 민간자본가들의 투자회 수가 보장될 것으로 예상됨.

- 현재 전력·철도 등 분야에서 점진적인 개방이 진행되고 있으나 ‘보이지 않는 벽’으로 인 해 민간투자자들의 실질적인 참여는 크게 부족한 상황이며, 투자자들 사이에 투자보장 및 투자회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임.

- 이에 따라 정부는 권리·기회·규범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기존의 독점체제와 행정적 장벽을 완화함으로써 투자자들이 공정한 경쟁을 통해 합리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려고 함.

ㅇ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민간투자 장려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법률이 마련 되지 않는 한 투자유치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평가함.

- 실제로 인프라사업에 대한 민간투자 유치 방법, PPP모델을 통한 수익배분 방식 등 구 체적인 세부 법률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

- 특히, PPP모델은 중국 내에서는 다소 생소한 투자모델이므로 운영방식과 비용분담 체 계, 수익분배나 위험분담 방식 등을 상호협의를 통해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고 류상시 (劉尚希) 재정부 산하 재정과학연구소장은 지적함.

(新華網, 2014.10.24; 證券日報, 2014.10.28)

(2)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9호 2014.10.31

□ 중국 정부, 겨울철 가스소비 급증 대비 업무지침 발표

ㅇ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와 국가에너지국은 연료소비가 급증하는 겨울철을 대비하여

‘동절기 안정적인 천연가스 공급을 위한 통지’를 10월 20일 발표하였음.

- 천연가스는 계절에 따라 수급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올해 동절기 역시 과거와 마찬가 지로 가스부족 상황이 재현될 것으로 예상됨.

- 최근 중국은 스모그 등 대기오염으로 인해 국내 천연가스 소비가 급증하는 상황임.

・ 주요 난방연료인 석탄이 베이징을 비롯한 북방지역 스모그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되 자 중국정부는 보조금 지원을 통해 저가의 석탄을 천연가스로 대체하는 정책을 시 행 중임.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06~2012년 동안 중국의 천연가스 수입량은 0.95Bcm에서 42.06Bcm으로, 생산량은 58.553Bcm에서 107.22Bcm으로 각각 증가하였고, 소비량 역시 56.141Bcm에서 146.3Bcm으로 급증하였음.

ㅇ 본 통지문은 민생안정을 최우선순위에 두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기존 가스전(田)의 완전 가동, 신규 가스전 개발, 가스 생산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 감소, 우즈베키스탄 등 자원부국으로부터의 안정적인 가스 수입, CBM과 셰일가스 등 비전통 자원의 종합적인 이용 등을 통해 자원 공급역량을 확대함.

- 체계적인 가스공급 계획 수립, 긴급상황 대책 수립, 잉여전력 발생 지역의 발전량 조절 및 감소, 노후시설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약 등의 수요 관리를 강화함.

- 천연가스 소매가격 사전 조율, 2015년 말까지 민수용 가스의 단계별 가격제도 수립, 기 업의 사회적 책임(CSR) 관리감독 강화, 가스공급기업과 사용자 간의 신용 체계 관리 등을 통해 천연가스 시장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함.

- CNPC의 서기동수(西氣東輸) 3라인과 Sinopec의 지난(濟南)-칭다오 2라인 건설 등을

가속화해 수송능력을 최대화하고, 신장 등 일부지역의 경우에 민수용 가스 수송망과 산 업용 수송망을 분리 운영함.

(金銀島, 2014.10.22; 財富動力網, 2014.10.23; 經濟參考報,2014.10.27)

□ 중국 3분기 GDP성장률 7.3%로 하락, 금년 중 최저치 기록

ㅇ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4년 3분기 동안 GDP 성장률이 7.3%를 기록하였다고 10월 21일 발 표하였음.

- 이는 금년 들어 가장 낮은 수치이며, 시장 전망치인 7.2%보다는 높으나 중국 정부의 목 표치인 7.5%보다는 낮은 수준임.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2014년 1분기 성장률은 7.4%, 2분기 7.5%, 3분기 7.3%로, 올해 3분기까지의 GDP성장률은 7.4%임

- 산업생산 증가율의 경우 수출회복의 영향으로 8%까지 반등하였으나(8월 6.9%), 고정자

(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9호 2014.10.31

39

산투자 증가율은 16.1%로 둔화되었고(전년도 같은 기간 19.7%), 특히 철강업과 석탄 산업에 대한 투자는 각각 -1.4%와 -4.6%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음.

- 또한 소매판매 증가율은 11.6%로 떨어졌고(전년도 같은 기간 13.1%), 그 중 원유 및 석유제품 판매 증가율은 5.3%에 그쳤음.

자료 : 法制晚報

< 중국의 GDP 성장률 추이 >

ㅇ 중국은 2012년에 GDP 성장률 7.8%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8% 달성에 실패한 이후 지금 까지 7.5% 안팎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중국의 GDP성장률 추이(2010~2013년): 10.4%→9.3%→7.8%→7.7%

- 베이징대학 루펑(盧鋒)교수는 7.5% 정도의 성장률은 시장 자체의 성장엔진에 의한 것 이라기보다 중앙정부의 강력한 경기부양책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양책이 없었다 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이보다 더 낮을 것이라고 평가함.

- 전문가들과 중국 및 외국 기관들의 2014년 중국 GDP 성장률 전망치가 7.0~7.3%까지 모두 엇갈리는 가운데, 증권시장주간(證券市場周刊)은 올해 중국의 GDP성장률은 7.4% 안팎을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함.

(法制晚報,2014.10.21; 人民網, 2014.10.22; 證券市場周刊, 2014.10.27)

□ 국가전력망社, 2015년까지 풍력 1억kW・태양광 3,500만kW 전력망에 접속 계획

ㅇ 국가전력망(國家電網, State Grid) 기업은 2015년까지 1억kW의 풍력발전을 통합 전력망 에 접속시킬 계획이라고 10월 17일 산동성에서 개최된 ‘새로운 도시화와 배전망’ 컨퍼런 스에서 밝힘.

‘새로운 도시화와 배전망’ 컨퍼런스에서는 산동성 NDRC, 국가 재생에너지센터, 전력공급기

(4)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4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39호 2014.10.31

업, 관련 연구기관 등 약 200여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배전망을 통해 도시의 저탄소 발전 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해 토론하였음.

- 국가전력망 기업의 황전(黃震) 발전기획부 처장에 따르면, 국가전력망은 2014년 9월 말 현재 총 4,244건의 분산형 전원의 계통연계 사업을 운영 중이고, 총 용량은 312만 kW에 달함.

- 또한 국가전력망 기업은 도시의 저탄소 발전을 위해 2015년 말까지 풍력발전 1억kW, 태양광발전 3,500만kW를 전력망에 접속시킬 계획임.

- 국가전력망 기업은 현재 도시의 저탄소 발전을 위해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의 출력을 예측하고 가동을 통제하는 대규모 스마트 그리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해 도시 외곽의 청정에너지를 도시 중심부로 안정적으로 공급하고자 함.

ㅇ 한편, 국가재생에너지센터(China National Renewable Energy Centre, CNREC)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은 2015년까지 수력발전 설비용량을 2.9억kW, 풍력발전 1억kW, 바이오매스 이용량 5,000만Tce(석탄환산톤)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 또한 스모그 감소를 통해 도시의 대기오염지수를 낮추고,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2015년 까지 50만 대, 2020년까지 500만 대로 확대)를 통해 도시의 저탄소 성장을 추진할 계획임.

(經濟參考報,2014.10.27)

Referensi

Dokumen terkait

실무전담반에서는 그동안 단위사업장별로 편입하는 방안, 모사업 장별로 편입하는 방안, 조합단위로 편입하는 방안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였으나 전산개 발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감안할 때 통합공단의 안정 적 출범을 위해서는 우선 사업장을 분산하지 않고 조합단위로 편입한 후, 2단계로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후 완전 통합 관리체계로 전환하

・ 하류부문 인프라 확충: 현재 지체되고 있는 Mombasa 정유공장의 업그 레이드와 연료저장시설의 확장, 그리고 추가 파이프라인 건설 등 하류부 문에 대한 인프라 투자를 촉진함.. 이에 자국기업의 시장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해 수입 기준 완화, 수입관련 시설건설 지원 등을

또한, 시민이 행복한 도시 구현을 위해 신규 개발사업에 대한 개발밀 도 조정, 보전용지 증가와 해양 도시 위상 강화를 위해 송도, 내항 등 해양 친수공간 공간 조성과 소래지역 도시공원 확장 계획 등을 수립 했다.. 아울러, 미래 세대를 대비한 환경도시 중심의 인천을 만들기 위해 친 환경 교통 수단 확대 및 단절된 녹지축에 대한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및 프로젝트 현황 □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현황 ㅇ 캐나다 천연가스 생산량의 약 98%가 Alberta州, British ColumbiaB.C.州 등 서부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셰일가스 생산 증가로 가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캐나다의 수출량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와 EU 집행위원회, 그리고 미국은 러시아産 가스 의존도 심화 등을 이유로 Nord Stream-2 프로젝트에 공식적으로 반대해 온 반면, 독일, 핀란드 등 일... ・ 독일 반독점 규제기관인 연방카르텔청Federal Cartel Office, FCO은 남・동유럽 국가들의 격렬한 반대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