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방,부등식-그래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방,부등식-그래프"

Copied!
16
0
0

Teks penuh

(1)

수능(94~17학년도), 모의고사(03~16년)

단원 : 방,부등식-그래프

1.

1) 일차함수  와 이차함수  의 그래프가 아래 그림과 같 을 때 분수방정식

 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3점][2004년 3월]

① ② ③ ④ ⑤

2.

2) 아래 그림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삼차함수    의 그래 프와축에 대하여 대칭인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이다. 방 정식

 

 

  의 모든 근의 곱을 구하시오.

[4점][2004년 6월]

3.

이차함수    에 대하여     이다. 곡선

   와 직선    가 그림과 같이 주어져 있을 때, 방정 식

  

 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단, 점선은 좌표축에 평행하다.) 3)

[4점][2005년 3월]

①  ②  ③  ④  ⑤ 

4.

두 함수      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다.

 ∣     ≦ , 는 정수,



≧ 

일 때, ∩의 원소의 개수는?4)

[4점][2007년 5월]

 

 

  O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2)

수 리 영 역

2 방부등식-그래프

━━━━━━━━━━━━━━━━━━━━━━━━━━━━━━━━━━━━━━━━━━━━━━━━━━━━━━━━━━

5.

이차함수   와 사차함수   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 을 때, 방정식 



 

  의 모든 근의 합을 구하시오.

5)

[3점][2008년 4월]

      

O 

  

  

6.

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무리방정식    의 실근의 개수는? 6)

[점][2008년 7월]

  

O 

 

①  ②  ③  ④  ⑤ 

7.

그림과 같이 삼차함수 의 그래프가 축과 세 점

  ,   ,  에서 만날 때, 부등식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7)

[3점][2008년 10월]

①  ②  ③  ④  ⑤ 

8.

아래 그림은 좌표평면에서 중심이 원점 O이고 반지름의 길이 가 인 원과 점   을 지나는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 를 나타낸 것이다. 방정식

   

     

  

 의 서로 다 른 실근 의 개수는?8)

[3점][2009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3)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3

━━━━━━━━━━━━━━━━━━━━━━━━━━━━━━━━━━━━━━━━━━━━━━━━━━━━━━━━━━

9.

9) 그림과 같이 삼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은 세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좌표는     이다.

부등식

   

 ≧ 

을 만족시키는 실수 의 최댓값을 , 최솟값을 이라 할 때,  의 값은?

[4점][2009년 6월]

①   ②  

 ③

 ④  ⑤

10.

그림은 이차함수   와 삼차함수   의 그래프이 다.

  일 때 부등식





 

≧  을 만족하는 모든 정수 해의 곱을 구하시오. 10)

[3점][2009년 7월]

11.

구간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 의 그래프가 그림 과 같다.

방정식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를 구하시오.11)

[3점][2009년 9월]

12.

12) 그림과 같이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  의 그래프가 축과 네 점

 

 

 

 

 

 

에서

만날 때, 부등식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3점][2009년 10월]

① 4 ② 5 ③ 6 ④ 7 ⑤ 8

(4)

수 리 영 역

4 방부등식-그래프

━━━━━━━━━━━━━━━━━━━━━━━━━━━━━━━━━━━━━━━━━━━━━━━━━━━━━━━━━━

13.

그림과 같이 삼차함수    의 그래프가 점 P  에서

축에 접하고 일차함수   의 그래프와 한 점 P에서만 만 난다.      일 때, 방정식 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13)

[4점][2010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14.

14)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두 집합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집합 ∩에 속하는 정수의 개수는?

(단,    )

[3점][2010년 6월]

①  ②  ③  ④  ⑤ 

15.

15) 꼭짓점의 좌표가   인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 림과 같다. 방정식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점][2010년 9월]

①  ②  ③  ④  ⑤ 

16.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

   는 두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좌표는  , 이다.

무리방정식            의 모든 실근의 합을 구 하시오. 16)

[3점][2010년 10월]

(5)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5

━━━━━━━━━━━━━━━━━━━━━━━━━━━━━━━━━━━━━━━━━━━━━━━━━━━━━━━━━━

17.

정의역이     ≦  ≦  인 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이때, 방정식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실근의 개수는? 17)

[4점][2011년 6월]

①  ②  ③  ④  ⑤ 

18.

대칭축이   인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방정식       의 모든 실근의 합은?18)

[3점][2011년 9월]

①   ②   ③  ④  ⑤ 

19.

아래 그림은 역함수가 존재하는 함수 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를 나타낸 것이다.

  ≤  ≤ 에서 부등식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모 든 정수 의 개수는?19) (단,   는  의 역함수이다.)

[3점][2011년 10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0.

이차함수   와 삼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     이고, 함수 가   에서 극솟값  를 가질 때, 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 는?20)

[3점][2012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6)

수 리 영 역

6 방부등식-그래프

━━━━━━━━━━━━━━━━━━━━━━━━━━━━━━━━━━━━━━━━━━━━━━━━━━━━━━━━━━

21.

두 다항함수   와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  ≤  ≤ 에서 방정식

 

  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21)

[4점][2012년 3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2.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  

 O

    일 때, 부등식

 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의 값의 합은? 22)

[3점][2012년 4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3.

닫힌 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와 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부등식



 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23)

[4점][2012년 6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4.

24) 이차함수   와 삼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부등식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의 값 의 합은?

[점][2012년 7월]

 O

 

 

  

     

①   ②   ③  ④  ⑤ 

(7)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7

━━━━━━━━━━━━━━━━━━━━━━━━━━━━━━━━━━━━━━━━━━━━━━━━━━━━━━━━━━

25.

25) 그림과 같이 삼차함수   의 그래프와 이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세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좌표는

   이다. 부등식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의 개수는? (단,           )

[3점][2012년 10월]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26.

26) 두 이차함수 , 에 대하여 함수   의 그래프 와 함수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부등식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3점][2012년 5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7.

27)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의 그래프와 함수       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난다.

  

  

  O 

방정식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단,      ,   )

[4점][2013년 4월]

①  ②  ③  ④  ⑤ 

28.

28) 꼭짓점의 좌표가  인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 림과 같다. 방정식    의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은?

[점][2013년 7월]

O  

①  ②  ③  ④  ⑤ 

(8)

수 리 영 역

8 방부등식-그래프

━━━━━━━━━━━━━━━━━━━━━━━━━━━━━━━━━━━━━━━━━━━━━━━━━━━━━━━━━━

29.

29) 사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고, 함수 의 극댓값은 , 두 극솟값은 각각  , 이다.

방정식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점][2013년 9월]

①  ②  ③  ④  ⑤ 

30.

30) 그림과 같이 닫힌 구간    에서 정의된 함수 와 함 수  

  의 그래프가 세 점에서 만나고 그 세 점의 

좌표는     이다. 부등식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단,           )

[3점][2014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31.

31)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  와 삼차함수   의 그래 프가 세 점에서 만나고 각 교점의 좌표는 , , 이다.

무리방정식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단,   ,   )

[4점][2014년 3월]

①  ②  ③  ④  ⑤ 

32.

32) 삼차함수   와 꼭짓점의 좌표가   인 이차함수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는 세 점에서 만나고 그 교 점의 좌표는  , , 이고, 함수   의 그래프와 직선

  는 두 점에서 만나고 그 교점의 좌표는 , 이다.

  

      

  

 O

 

부등식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의 개수는?

[4점][2014년 4월]

①  ②  ③  ④  ⑤ 

(9)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9

━━━━━━━━━━━━━━━━━━━━━━━━━━━━━━━━━━━━━━━━━━━━━━━━━━━━━━━━━━

33.

33) 함수        에 대하여 부등식



  

≥ 

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의 값의 합은?

[4점][2014년 6월]

①  ②  ③  ④  ⑤ 

34.

34) 그림과 같이 다항함수   의 그래프와 일차함수

  의 그래프는 좌표가  ,  ,  인 세 점에서만 만난다. 부등식

 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의 개수는?

[3점][2014년 7월]

O 

    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35.

35) 그림과 같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삼차함수   의 그 래프와 축에 대하여 대칭인 사차함수   의 그래프가 네 점에서 만나고 그 네 점의 좌표는  ,  , , 이다.

방정식

 

 

 의 모든 실근의 곱은?

[4점][2015년 3월]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36.

36) 그림과 같이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삼차함수   의 그 래프와 일차함수   의 그래프가   에서 접하고    에서 만난다.  이고  일 때,

방정식

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점][2015년 4월]

   

O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10)

수 리 영 역

10 방부등식-그래프

━━━━━━━━━━━━━━━━━━━━━━━━━━━━━━━━━━━━━━━━━━━━━━━━━━━━━━━━━━

37.

닫힌 구간   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  의 그래프 가 그림과 같다.

방정식

  

    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37)

[3점][2015년 6월]

① 1 ② 2 ③ 3 ④ 4 ⑤ 5

38.

38) 직선   에 접하고 점    를 지나는 이차함수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방정식

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점][2015년 7월]

O 

  

  

①  ②  ③  ④  ⑤ 

39.

39) 함수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무리방정식    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3점][2016학년도 수능]

①  ②  ③  ④  ⑤ 

(11)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11

━━━━━━━━━━━━━━━━━━━━━━━━━━━━━━━━━━━━━━━━━━━━━━━━━━━━━━━━━━

[해설] 방,부등식-그래프

1) ②

[출제의도] 그래프에서 분수방정식의 근을 이해할 수 있다.

분수방정식의 양변에      를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실근의 개수는 두 곡선     ,   

  의 교점 또는     ,      의 교점 중       ≠ 인 것의 개수와 같다.

아래의 그림에서 구하는 개수는 개이다.

O 

               

   

2) 36

 

  

  ⇔   ,  ≠±

(ⅰ)    에서

두 함수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방정식

   의 근은     이다.

그러나,  ≠ 이므로 방정식의 근은    이다.

(ⅱ)    에서

     ⋯㉠

이 때,      ,    이므로 ㉠에서

     

   로 놓으면

(ⅰ)에서 방정식      의 근은     

∴       

그러나,  ≠ 이므로 방정식의 근은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모든 근의 곱은

 ⋅⋅⋅   

3) ②

  

    

      

 의 양변에

    를 곱하면          (단,      ≠ ) 즉,         

    와       의 그래프의 교점을 구하면 그림과 같다.

1

  

  

  

 O

    

교점의 좌표는   ,   ,   

4) ④

[출제의도] 그래프에서 분수부등식의 해 구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ⅰ)   ,  ≧ 일 때 그래프에서   ≦    (ⅱ)   ,  ≦ 일 때 그래프에서  ≦  ≦  (ⅰ)과 (ⅱ)에서 만족하는 정수는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로 6개이다.

5) 1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③

     의 양변을 제곱하여 풀면

   또는   

  를 만족하는 근 개

  을 만족하는 근 개 따라서 근의 개수는 개 7) ④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정수 의 개수는 이다.

8) ②

  

    

  

의 좌변을 통분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방정식의 실근은

두 곡선   ,  ±

  가 만나는 점의 좌표 중에서

 ≠± ,  ≠ 인 좌표와 같다.

그런데  ±

  의 그래프는 원   과 같으므로 아래 그림에서 두 곡선   ,  ±

  는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난다.

그런데,  ≠ ,  ≠ 이므로 점   은 제외해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실근의 개수는 이다.

(12)

수 리 영 역

12 방부등식-그래프

━━━━━━━━━━━━━━━━━━━━━━━━━━━━━━━━━━━━━━━━━━━━━━━━━━━━━━━━━━

9) ③

  로 치환하면 부등식  

 ≧ 

 ⇆ 

 ≧ 

(i)   이면 ≦    이어야 하므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두 조건을 만족하는 의 범위는  ≦  ≦ 이다.

(ii)   이면  ≧    이어야 하므로 같은 방법으로 의 범위를 구하면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M  

,    , M    

10) 

  ≧  (단,  ≠   ≠ )

  ≧ 이므로 1)   이면  ≧ 

∴ 해는 

2)   이면  ≦ 

∴ 해는   

은 무연근이므로 모든 근들의 곱은 

11) 8개

    로 치환하면 주어진 식은

      ≥ 

···⒜

위 식을 정리하면

      

∴  

 또는  이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값은   이다.

즉     의 교점이 주어진 방정식의 근을 만족한다.

따라서 교점의 개수는 8개이다.

12) ③

   

 ≤  ⇔     

 ≤  (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①

       ⇒       ⋯②

①, ②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의 범위는  

≤  ≤ 

       ⇒         ⋯④

③, ④의 공통부분의 범위는  

≤         ≤ 

∴ 정수의 해는 -4, -3, -2, 3, 4 이다. ∴ 5개 (ㄱ),(ㄴ)에 의해 정수해의 개수는 6개이다.

13) ④

      

  

 양변에  를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

먼저,    에서   ≠ ,  ≠ 이므로 실근의 개수는 이다.

   에서    

 이고

  의 그래프는  을 지나고,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   

 에서      

이때, <에서 < 이다.

따라서,     

 에서   일 때,

   

 이고,  

<이다.

그림에서 방정식    

 의 실근의 개수는 이다.

따라서, 구하는 실근의 개수는 이다.

14) ③

그래프에서        라고 할 수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라고 할 수 있다.

부등식     

    

≤ 을 풀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집합         이므로 교집합에 속하는 정수의 개수는

(13)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13

━━━━━━━━━━━━━━━━━━━━━━━━━━━━━━━━━━━━━━━━━━━━━━━━━━━━━━━━━━

      ⋯㉠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또는   

  이면 ㉠에서    가 되어 모순

∴   

곡선   와 직선   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고 교점의

좌표를   라 하면 방정식   의 실근은    또는   이다.

(ⅱ)   일 때, 주어진 방정식은

      ⋯㉠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이므로   이고, 이는 방정식 ㉠을 만족한다.

곡선   와 직선   는 점   에서 접하므로 방정식   의 실근은   이다.

(ⅰ)(ⅱ)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실근은

    의 3개이다.

16)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모든 실근의 합은 이다.

17) ③ 방정식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   에서

교점 7개에서      

    인 3개의 교점을 제외하면 근이 4개 이고,

  에서 교점이 3개지만   ≠ 이므로   에서의 교점을 제외하면 근이 2개이다.

따라서 근은 6개이다.

18) ⑤

   라고 하면

      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 이때,   은 무연근이므로

     …㉠

따라서    의 그래프와 직선   의 교점의 좌표를 각각

라고 하면 그림과 같다.

      

  

   

즉, ㉠을 만족하는 의 값의 합은



  

  ∴      19) ④

(i)   , ≤  에서    ≤  (ii)   , ≥  에서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정수 의 개수는 이다.

20) ④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그리고 ≠ 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 인 것:    or   의 개

  인 것:         의 개 이 중   인 것:   

∴       (개) 21) ④

방정식



 





  

 

 에서

          

(14)

수 리 영 역

14 방부등식-그래프

━━━━━━━━━━━━━━━━━━━━━━━━━━━━━━━━━━━━━━━━━━━━━━━━━━━━━━━━━━

  ≠ ,     ≠ 

(ⅰ) 방정식     의 해는    또는    또는   이다.

그런데   은 무연근이므로 구하는 해는    또는   이다.

(ⅱ) 방정식     의 해는    또는    또는   이고 이들은 모두 무연근이 아니다.

(ⅰ), (ⅱ)에서 구하는 해의 개수는 이다.

22) ⑤

    (  )라 하면 부등식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 ≠ 이고   

 ≤ 이다.

  

 ≤ 의 양변에   을 곱하여 정리하면

 ≤ ( ≠ ,  ≠ )이다.

따라서 부등식   

  

≤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는 , , , 이므로 모든 자연수의 합은 

23) ②

부등식 

    

≧ (단,  ≠ ,  ≠ ) 따라서  , , 는 구하는 정수 가 아니다.

구간 내의   인 세 근을  , , 라 하자.

ⅰ)   에서   ,   이므로  ≧   인 정수 는  ,  이다.

ⅱ)  에서   ,   이므로  ≦   인 정수 는 존재하지 않는다.

ⅲ)  에서   ,   이므로  ≧   인 정수 는 이다.

ⅳ)   에서   ,   이므로  ≦   인 정수 는 이다.

따라서        로 개다.

24) ④

[출제의도] 부등식 이해하기

    의 그래프와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 

O

  

    



  

 의 해는

    의 해와 일치하므로

 일 때       또는   

   일 때       그러므로 만족하는 해는      이다.

따라서 만족하는 정수해는   이고 그 합은 이다.

25) ③

[출제의도] 분수부등식과 함수의 그래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한다.



≥ 에서  ≥ 이고  ≠  즉,   ≤ 이고  ≠ 

ⅰ)   이고  ≤ 인 경우   이면       또는     ≤ 이면  ≤   또는  ≤  ≤  ∴     ≤ 

ⅱ)   이고  ≥ 인 경우   이면    또는       ≥ 이면   ≤  ≤  또는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정수는      의 개다.

26) ②

       (단,   ),

          (단,   )라 하면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로 개다.

27) ②

[출제의도] 무리방정식 이해하기

   , ≠ 이므로

ⅰ)    인 경우   (∵   은 무연근)

O  

 

(15)

수 리 영 역

방부등식-그래프 15

━━━━━━━━━━━━━━━━━━━━━━━━━━━━━━━━━━━━━━━━━━━━━━━━━━━━━━━━━━

ⅱ) 인 경우

  (∵   ,   은 무연근)

O  

 

  

 

ⅰ), ⅱ)에 의하여 실근은    또는    따라서 실근의 개수는 

28) ②

[출제의도] 무리방정식의 성질 이해하기 방정식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와   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  라 하면

  의 그래프가 직선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 

∴       

29) ①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와 그래프의 교점은 3개 30) ⑤

[출제의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수부등식의 해를 구할 수 있는가?



≤  ⇔ 

  

≤  ⇔    ≤   ≠  (ⅰ)      ≥  일 때,

          ≤  이므로 정수 의 값은    이다 (ⅱ)      ≤  일 때,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이므로

31) ③

[출제의도] 무리방정식을 이해하고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     … ㉠

㉠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      

      

   

∴   또는  

ⅰ)  를 ㉠에 대입하면 (좌변)=(우변)=

ⅱ)  를 ㉠에 대입하면

  

 이므로 ≥ 이어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무리방정식의 실근은 ⅰ)에서 개, ⅱ)에서 개이므로 구하는 실근의 개수는 이다.

32) ③

[출제의도] 분수부등식 이해하기



 ∘ 

≤ 



 ∘  

≤ 

 ≤ ,  ≠ 

ⅰ)   일 때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또는    ≤  ∴ 정수 는  , 

ⅱ)   일 때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정수 는 

따라서 모든 정수 의 개수는  33) ③

⑴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은

    이다.

⑵   일 때,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따라서    ≤ 

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⑴과 ⑵에 의해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값은     이고 합은 이다.

34) ①

[출제의도] 분수부등식을 이용하여 수학내적 문제해결하기



(16)

수 리 영 역

16 방부등식-그래프

━━━━━━━━━━━━━━━━━━━━━━━━━━━━━━━━━━━━━━━━━━━━━━━━━━━━━━━━━━

(ⅰ) ≤ ,  인 정수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ⅱ) ≥ ,  인 정수해는       (ⅰ)과 (ⅱ)에 의하여 정수 의 개수는 

35) ①

[출제의도] 다항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수방정식 문제를 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근은 방정식    또는    의 근이다.

(단,  ≠ ,  ≠ )

ⅰ)  일 때

방정식   의 근은  ,  , ,  이므로 이 중에서 분수방정식

㉠의 근은 무연근  를 제외한  , , 이다.

ⅱ)   일 때

함수 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 이고, 함수 가 축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는     이다.

방정식     의 근은 , ,  ,   이므로 이 중에서 분수방정식 ㉠의 근은 무연근 를 제외한     이다.

ⅰ), ⅱ)에 의하여

분수방정식  

 

 의 근은

 , 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근의 곱은  이다.

36) ④

[출제의도] 분수방정식을 활용하여 추론하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이다.

ⅰ)  일 때

   또는   

 ≠ 이고     

≠ 이고    

∴  과   는 무연근이 아니므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ⅱ)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O 

   의 그래프는   의 그래프를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후, 축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시켜 얻은 그래프이다.

 이고    

 이므로

  ,   는 무연근이 아니고,   은 무연근이다.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ⅰ), ⅱ)에서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37) ②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  

    

 이므로 방정식의 실근은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실근은 그림에서 표시된   이고 개수는 개이다.

38) ④

[출제의도] 무리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

      의 양변을 제곱하면

     

   또는   

  일 때는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  

따라서  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 39) ②

[출제의도]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무리방정식을 풀 수 있는가?

      의 양변을 각각 제곱하면

     

∴       (단,  ≤ )

이때 함수 의 그래프와 곡선       가  ≤ 의 범위에서 만나는 서로 다른 점의 개수는 이므로 구하는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이다.

Referensi

Dokumen terkait

9 BIZ, CIZ를 각각 그으면 점 I는 sABC의 내심이므로 CDBI=CIBC DEZ|BCZ이므로 CDIB=CIBC 엇각 따라서 CDBI=CDIB이므로 sDBI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DIZ=DBZ=4 cm 점 I는 sABC의 내심이므로 CECI=CICB DEZ|BCZ이므로 CEIC=CICB 엇각 따라서

소리의 높이와 크기 ; 선생님도 놀란 과학뒤집기 공기의 질주, 동아사이언스 수중음향학의 시작 ; 선생님도 놀란 과학뒤집기 공기의 질주, 동아사이언스 수중음향학의 시작 사진 ;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소리의 그래프 ; http"//emusic.egloos.com 소리의 그래프 사진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사운드웨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