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수술 후 초기 운동의 중요성-성과 분석. 본 연구를 통해 외과의사들은 이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복부 수술 후 초기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서론
연구의 필요성
IPA 분석 방법은 중요도와 성능의 높낮이에 따라 현재 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찾아내고, 해석과 개선 방향에 접근하기 쉽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조기 운동의 장애요인과 훈련의 필요성이 확인되거나(Kim, 2017), 산업현장에서 간호사의 재활간호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성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Park et al., 2009) 실무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술 후 조기 훈련의 중요성과 성과를 살펴본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연구 목적
용어의 정의
문헌고찰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
노인 복부수술 환자에게 수술 후 보행지원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산소포화도와 주관적 호흡곤란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et al., 2009).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의료진의 인식에 따라 조기 운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복부 수술 후 조기 운동의 중요성과 성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복부수술 후 조기운동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현재 주로 북미 지역에서 수술 후 조기 운동 개입에 대한 장벽을 식별하고 극복하기 위한 여러 전략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후 초기 운동을 직접적으로 주도하는 간호사들이 어떤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IPA 기법을 이용하여 복부 수술 후 조기 실습을 위한 외과 병동 간호사의 중요성과 수행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사분면은 좋은 일을 계속하는 것인데, 이는 중요성과 성취도가 모두 높은 영역입니다.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IBM SPSS Versio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자는 PubMed, Google Scholar, RISS 메인 페이지 검색을 통해 폐합병증 및 조기 기형 예방을 위한 운동의 중요성과 성과에 대한 기사를 구성했습니다. 3사분면은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으로 중요도와 성과가 모두 낮아 인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이다.
대상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경험과 교육 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요도-수행도 인식
Awarenes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bout early ambula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N=162) Characteristics Importance Performance.
조기운동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대상자의 인식 비교
IPA 분석을 통한 대상자의 조기운동에 대한 인식 비교
Monitor lung sound, vital signs and saturation after exercise, monitor and record response to pain or discomfort.
논의
따라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기를 이용한 호흡운동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폐합병증 예방을 위해 운동 전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확인하는 것이 중요도보다 높은 수행도를 보였으며, 활력징후 측정이 기본적인 간호업무이기 때문에 수행도가 높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IPA 매트리스를 통한 중요 수행도 분석을 통해 외과간호사의 복부 수술 후 초기 운동에 대한 인식 수준을 우선적으로 분석하고, 이는 모두 폐합병증 예방을 위한 실무적 절차에 해당하며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는 폐합병증 예방 캠페인을 추진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이므로, 교육 수준을 낮추기보다는 보다 안정적이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나 프로토콜을 편성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품질의 조기훈련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상 시뮬레이션과 반복학습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게 맞는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복부수술 후 초기 운동의 중요성과 수행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기존에 없기 때문에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므로 향후 대상을 확대하여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복부 수술 후 초기 운동 수행능력을 측정한 것이므로 실제 수행능력과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인 측정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The nurse's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role among nurses practicing in a cancer clinic. Medical intensive care unit clinicians'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to early mobilization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Comparison of lung expansion techniques on thoracoabdominal mechanics and incidence of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difference in nurses' perception of the meaning and performance of rehabilitation nur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urgical ward nurses' importance-performance awareness towards early mobilization after abdominal surgery. In the early mobilization, the significance (t=-2.559, p=.011) of the subjective severity of the pati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performance (t=-1.136, p=.258)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mean of 4.16±0.34 points for importance and a mean of 3.92±0.45 points for performance (t=8.282, p<.001) on experiencing pulmonary co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objectives to increase the importance or performance of ea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erformance was not perform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early mobilization after abdominal surgery. Therefore, each element of early mobilization is recommended to reduce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clinical care, and high performance but low importance is recommended to be effectively managed to raise awareness of importance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