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종단적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종단적 분석: "

Copied!
126
0
0

Teks penuh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평균 및 표준편차와 기술통계. 0~3세 영유아 엄마의 양육행동을 분석한 결과, 시간 경과에 따른 양육행동.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행연구에서는 부정확한 양육지식과 경험적 지식의 부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부모의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부족이 자녀양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반대로 영유아 엄마가 정확한 양육지식을 습득하고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면 이는 자녀양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연구문제

개인 심층 인터뷰 자료를 통해 0~3세 영유아 엄마들이 실제로 경험한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태 관련 주제의 의미를 밝히고 얻은 자료의 의미를 분석 . 인터뷰(주제별 분석)를 통해 0~3세 영유아 엄마들이 육아지식과 육아과정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절한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모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교육적, 사회적 지원 방법을 찾아봄으로써 0세부터 3세까지의 영유아 엄마를 위한 비공식적이고 실질적인 양육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이론적 배경

양육지식에 관한 기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연구동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질적 연구에서는 심층면접을 통해 어머니의 양육지식 습득경로와 양육지식의 결과로 나타나는 양육행동의 경험을 기술하고 고찰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동패널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정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Schaefer(1959)는 사랑-적대감과 자율-통제에 대한 양육 행동을 연구했습니다. Baumrind(1967)는 양육행동을 권위적, 권위주의적, 관대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학자들의 혼합방법연구의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면 Tashakkori와 Teddle(2003)은 연구문제, 연구방법, 데이터 수집, 분석과정 및 도출에 대해 정성적, 정량적 접근을 사용하는 연구설계로 정의한 반면, Johnson과 Onwuegbuzie(2004)는 연구자가 단일 연구 내에서 양적/질적 연구 기법, 방법, 접근법 및 개념적 용어를 통합하거나 혼합하는 연구로 정의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혼합모형 중에서 연구자가 정량적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설명적 순차 혼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절차

인터뷰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 하에 녹음되었으며, 녹음된 내용은 Daglo 및 NVivo12 전사 압축해제 소프트웨어로 분석 및 코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순차적 기술의 혼합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연구 절차.

그림  2.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연구절차
그림 2.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연구절차

양적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도구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아이가 피곤할 때 놀자고 하면 지루함을 느끼게 됩니다.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평균 및 표준편차와 기술통계를 시점별로 산출하고 각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변인별 변화모형을 검정하여 얻은 변인별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엄마의 육아지식과 육아스트레스, 육아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검정하였다.

그림  3.  본  연구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그림 3. 본 연구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질적연구방법

연구참여자 선정 및 특성

자녀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고 육아에 긍정적입니다. 그는 자녀 양육에 매우 관심이 많고 자신이 예민하다고 생각합니다.

표  4.  면담  참여자의  특성
표 4. 면담 참여자의 특성

자료수집

자료분석 방법

최근에는 질적 데이터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CAQDAS: Computer-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 소프트웨어는 질적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정성적 연구에 사용된 컴퓨터 분석 프로그램 중 본 연구에서 정성적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NVivo12 소프트웨어 <그림 4>를 사용하였다.

연구평가

또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연구 참여자와 함께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사실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Member Check).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황적 맥락을 포함하여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풍부하게 기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양적연구결과

예비조사

본조사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의 상관관계.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에 대한 종단적 분석모형.

표  8.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간  상관관계
표 8.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간 상관관계

질적연구결과

주제별 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주제별 데이터 시각화.

양육지식 부족의 원인 살펴보기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얻은 육아지식. 전문 육아서 등에서 얻은 육아지식

표 14.  양육지식  부족의  원인  살펴보기
표 14. 양육지식 부족의 원인 살펴보기

양육스트레스 증가의 원인 이해하기

부모 스트레스 증가의 원인을 이해하십시오. 부모지식이 부모스트레스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표 15.  양육스트레스  증가의  원인  이해하기
표 15. 양육스트레스 증가의 원인 이해하기

양육행동에 대한 부정적 요인 분석하기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가 소리지르기, 화내기, 아이에게 짜증을 내는 등의 부정적인 양육행동으로 표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양육행동에 대한 긍정적 요소 되짚어 보기

참여자들은 양육 과정에서 다양한 감정적 변화를 경험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곳에서 우리는 육아에 대해 많은 대화를 나눕니다.

논의 및 결론

0~3세 영유아 엄마의 양육지식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족건강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면담 질문지

연구참여자 동의서

Gambar

그림  1.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의  연구설계
그림  2.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연구절차
그림  3.  본  연구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표  4.  면담  참여자의  특성
+7

Referensi

Dokumen terkait

Periodontal treatment needs among blind students in extraordinary school in Jember Regency Periodontal treatment needs score Frequency Percentage 0 0 0 I 1 5 II 17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