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을 설정하기 위해 2020 년 3 월 예비조사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녀양육에 있어 주양육자 역할을 하고 있는 어머니 30 인을 통해 예비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예비조사는 연구자가 근무하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거나 다닌 적이 있는 0~3세 영유아 어머니 24인 및 0~3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보육교사 6인에게 설문지를 발송하고 응답지를 회수하였다.

예비조사는 한국아동패널의 도구프로파일 중 부모양육특성에 해당하는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신념, 아버지의 양육참여, 자녀의 미래기대 등 총 6 가지 도구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예비질문지를 작성하였고, 예비조사 질문지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을 설정하기 위해 양육행동 6 개 문항, 양육스트레스 10 개 문항, 양육지식 13 개 문항, 양육신념 2 개 문항, 아버지의 양육참여 4 개 문항, 자녀의 미래기대 6 개 문항을 비롯해 총 51 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문지를 SPSS26.0으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변인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는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를 주요 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명목척도로 점수화 할 수 없는 양육신념과 상관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아버지의 양육참여, 자녀의 미래가치는 제외시켰다.

나. 본조사

본조사는 예비조사를 거쳐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으로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를 결정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에 대한 종단적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연구자료를 이용하기로 연구대상을 결정하였다.

혼합연구방법 중 양적연구에서는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변인 간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그림 3 >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3. 본 연구의 다변량 잠재성장모형

연구모형에서는 우선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에 대한 발달궤적을 확인해 보고, 선행연구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0~3 세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발달궤적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분석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SPSS26.0으로 각 시점별 변인의 수준과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기술 통계량을 각 시점별로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각 변인들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함수 추정을 위해

Amos26.0 을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LGM)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3개의 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무 변화모형과 선형모형을 경쟁모형으로 하였으며, 모형의 간명성과 설명력을 고려하는 객관적 기준으로는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였다. 셋째, 변인별 변화모형 검정을 통해 얻어진 각 변인의 잠재성장모형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간의 인과관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적합성에 대해 평가하는 적합도 지수는 표본 크기에 민감하지 않으며 간명도를 고려하는 TLI, CFI, RMSEA 등의 지수를 활용하였다.

적합도 지수의 평가는 TLI 와 CFI 가 .90 이상이면 모형의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간주되고, RMSEA 값은 .05이하이면 우수한 모형, .08이하이면 적절한 모형, .10이하이면 보통수준을 의미한다(이학식, 임지훈,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