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 居 와 代 代 代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의 居 와 代 代 代"

Copied!
15
0
0

Teks penuh

(1)

秦漢 居貲 贖債 와 代贖 · 代役 · 代刑

( )

朴 健 柱 全南大

. 서 언

의 관부에서 여러 노역에 부역되고 있는 층에는 와 함께

秦漢 刑徒

가 있다

.

에 “

( )

居貲贖債 雲夢秦律 「司空」 有罪以貲 贖及有責 債 於公ㆍ 이라1) 한 것에 의하면 居貲贖債는 居貲와 居贖과 居債의 합칭이라 할 수 있다

.

居貲는 貲罰로 인한 貲錢을 납부하지 못하고 그 액수를 관부 에 居하며 노역으로 변상하는 것이고

,

居贖은 贖刑으로 인한 贖錢을 관부에서의 노역으로 변상하는 것이다 대체로

.

贖刑은 貲罰에 비해 重 에 해당한다

.

는 국가의 기물을 단순 과실로 손상하였거나 빌

犯罪 居債

렸다가 망실하여 이를 변상하게 된 경우 관리들의 감독 부실에 의한

,

손실 보상 등으로 관부에 채무를 진 자들이 이를 노역으로 변상하는 것이다

.

2) 居貲와 居贖은 罪刑에 해당하고

,

居債는 민과 관부 사이의 상태에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

債務 罪人

1) 이하 雲夢秦律 인용은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 睡虎地秦墓竹簡 (北京, 로 표기한다

, 1978) . p.84.

文物出版社 面數

2) 雲夢秦律 秦律十八種 金布律, pp.60-63.

. 서 언

의 사례

. 居貲贖債 - 里耶秦簡

분석

의 성격과 . 居貲贖債 服役 秦漢

계승 문제

후한대 의 사례와

. 代贖代役

.결 언

아야 한다 위의 율문에서

.

“有罪以貲 贖及有責 債 於公ㆍ

( )

”로 有罪인 居 과 이 구분되어 표기되고 있는 것은 그러한 사실에 의한 貲 居贖 債於公

것이라 할 수 있다

.

3) 따라서 居貲贖債는 이 三者의 합칭이기도 하지 만 때에 따라서는 앞의 兩者만 가리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왜냐하

.

면 居貲와 居贖 모두 債의 상태에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며

,

또한 여러 법률적 처우에서 죄인에 해당하는 경우와 일반 채무 상태에 있는 자가 항상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

4) 그리 고 貲罰과 贖刑에 의한 채무액을 각각 貲錢과 贖錢이라 칭한다

.

의 수가 매우 많았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刑徒

의 수 또한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진한의 율문에

.

居貲贖債 貲罰 贖

에 해당하는 사항이 상당히 광범위하고 정부는 가능한 한 재화의

,

수입을 위해 이 두 가지 처벌을 상용할 필요가 있었다 여러 자료에서

.

을 으로 감형하여 처리하고 있는 사례가 많다

.

를 확대한

實刑 贖刑 贖罪

전한 무제 이후의 사정이지만 전한말의 貢禹는 武帝 이래의 贖罪法을 비난하길

,

“모두 범법하여도 贖罪할 수 있으니 선비를 구하여도 참다

,

운 현인을 얻을 수 없고 관리들이

,

財利를 숭상하며 처벌이 행해지지

,

않는 소치다”5)라고 그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 .

貢禹의 進言은 당시 받 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武帝의 조치는 대체로 전한말까지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율에 정해진

.

贖刑 외에 후대에 특별히 황제 의 은전을 베푸는 뜻으로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

6) 이에 따라 居貲

3) 張金光, 「論出土秦律中的居貲贖債 制度’ 」( 中國歷史文獻硏究 2, 1988; 秦制

8 - , , 2004에 재수

硏究 第 章居貲贖債制度 兼說趙背戶秦墓的性質上海古籍 ), p.562.

4) 이를테면 雲夢秦律 秦律十八種司空, p.87 居貲贖債에 있는 자가 重刑徒 城旦舂과 같은 노역의 에 편성되어 복역케 한다는 조항이 있는데 후술( ) 단순 채무로 인한 복역자도 이러한 처우를 받았을까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 우의 居貲贖債 居貲 居贖의 채무자만을 가리킨 것으로 보는 것이 합당할 듯하다.

5) 漢書 72 貢禹傳.

6) 이에 대해서는 박건주, 중국고대의 法律 判例文 (서울: 백산자료원, 제 장 제 절 참조 의 체계 내에서도 여러 형태를

1999) 1 6 . 贖刑 貲罰 刑律

(2)

에 속하게 되어 의 와 다르지만 함께 관부의 여러 노역에

贖債 實刑 刑徒

종사하는 수가 점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즉 국가에 대한 채무자가

.

양산되고 있었다 그래서 전체 인구 가운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

있었던 층이 곧 이들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들을 국가가 관리 운영하는

.

것도 쉽지 않았을 것이다

.

에 대해서는 에 집중적으로

居貲贖債 雲夢秦律 「秦律十八種 司空」

기술되어 있다 이밖에 근래

.

里耶秦簡 이 발견되어 그 일부 簡文이 소개되었는데 그 가운데 貲錢과 贖錢

,

居貲贖債와 관련된 문건들이 있 다 이 자료를 통해서 그 형태와 관부의 운영 실태에 대해 일부의 사

.

실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여러 문건에

.

戍邊役에 복역중인 자들의 貲錢 과 贖錢 내역 그리고 그 담당 관부 간의 업무 처리 사정이 기술되어

,

있다 이 문건의 사례를 분석하여

.

居貲贖債 및 代役 ・ 代贖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

代役과 代贖은 본인이 노역 복무로 벌금형이나 속형 으로 납부해야 할 재화를 변상하는 것을 말하기도 하고 타인이 대신

,

그 형을 받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본고는 이 양면을 함께 다루지만

.

주로 후자의 경우가 주요 논점이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

代刑으 로서의 代役과 代贖으로 기술하여 구분한다 한편

.

代刑 가운데 代死가 있다

.

代死의 첫 허용은 후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배경과 의미를

.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중국사회에서

.

明代까지 의 전통과 습속이 부분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에 의하면 이를 중 代刑

국문화적 토양에서 나올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

代役 과 代贖을 일정한 경우에 한하여 허용하는 법률적 제한 규정이 점차 완화되고

,

贖法이 확산되는 현상과 관련하여 代死 허용의 의미를 살펴 볼 수 있다 아울러

.

居貲贖債에 있는 자들이 實刑의 刑徒와 어떻게 다 른 처우를 받고 있으며 그 복역의 성격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겠다

.

지금까지 贖刑과 貲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거의 모두

띄고 있고 시기별로 변화되는 사항도 있어 그 성격 규정이 쉽지 않다 이에, . 대해서는 선행의 많은 연구가 있고 본고의 주제 및 논지는 그 문제에 직접적, 으로 해당되지는 않기 때문에 소개와 의론을 생략한다.

의 형태와 성격 및 진한간의 변화 계승 문제를 주로 다루었고

,

刑制上

와 의 면에서 운영되고 있는 면을 전론으로 한 연구는 매 居貲贖債 代刑

우 드물다

.

7)

. 居貲贖債 의 사례

-

里耶秦簡 의 분석

-

에서 출토된 만 천여매의

2002

年,湖南省龍山縣里耶鎮

3 6

里耶秦簡 가운데

2003

30

여매가 사진과 함께 석문이 발표되었다

.

8) 현재 그

이 공개된 것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지만 그 가운데

, 12

개의 釋文

문건에서 貲錢

11

例와 贖錢 例

1

의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모두 연대는

.

7) 단지 본고의 논지에 부분적으로 해당하는 선행의 연구로서 앞에 든 張金光 글이 있다 이 연구는. 장가산한간 과 里耶秦簡이 소개되기 이전의 연구이 지만 주로, 居贖 居貲 居債 三者 同異 관계, 居貲贖債에 있는 자의 성 격 등을 논급하고 있어 본고의 논지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居貲贖

단절을 주장한 , < > “ ”

漢代 宋艶萍從 二年律令 中的 貲看秦漢經濟處罰形式的

( 6, , 2004.12); , ,

轉變出土文獻硏究 上海 藤田高夫 著 楊振紅 譯秦漢罰 등의 연구가

( 2001( ), : , 2001)

金考簡帛硏究 桂林 廣西師範大學出版社 있다.

그리고 瞿同祖, 中國法律與中國社會 北京( , 中華書局, 2003) 第三節 三 代刑의 항목이 있다(pp.67-69). 전체 분량이 2페이지에도 이르지 못하고, 한에서 명대에 이르는 代刑의 사례들을 간략히 열거하는데 머무르고 있지만 본고의 논지에 해당한다.

8) 里耶秦簡 가운데 공개된 32개 간독의 석문과 사진은 湖南省文物考古 究所에 실려 있

, - ( 2003-1)

湖南龍山里耶戰國 秦代古城一號井發掘簡報文物

다 이하; 「簡報로 약칭); 簡文에 대한 標點 註解로는 湖南省文物考古 究

, (

所 湘西土家族苗族自治州文物處、 「湘西里耶秦代簡牘選釋中國歷史文物 이하 으로 약칭

2003-1; 「選釋」 ); 李學勤, 「初讀里耶秦簡」( 文物 2003-1; 「

으로 약칭); , (1)(2)(3) ( , 2005.11.14,

初讀馬怡里耶秦简选簡帛網

2005.11.18, 2005.11.24; 中 社国 会 学 历 研 院 史 究所 第四集, 2004) 등이 있다 본고는 이 가운데. 馬怡 謝桂華 蔡萬進 宋 萍、 、 豔 등과 공동 연구 하여 簡帛網에 발표한里耶秦简选(1)(2)(3)」에 기재된 석문을 저본으로 인용하고, 選校로 약칭한다 이밖에 간문의 일부분을 고증 주해한 연구가. 여러 편 있다.

(3)

진시황

33 3

년 월과

4

월 사이이고 그들의 원거주지는

,

陽陵縣이며 士伍 인 인이다 그 액수는 각각

11 ,

公卒

1 .

貲餘錢

8,064,

貲錢

836,

貲餘錢

1,728,

貲錢

1,344,

貲錢

384,

貲錢

2,680,

貲錢

11,211,

貲錢

1,344,

贖錢

7,680,

貲錢

1,344,

貲錢

852,

貲錢

1,344

錢이다

.

贖錢 건 외에는 모두 또는 이다 총 사례의 최하 액수는

1

貲錢 貲餘錢

. 12

전 최대는 이고 최하 전에서 최대 전까지이

384 , 11,211

, 384 11,211

다 평균하면 약

. 3,234

전이다

.

운몽진률 「司空」에 죄를 지어“ 貲罰 과 贖刑을 받은 자와 국가

( )

公 에 채무가 있는 자에게는 규정된 납부 일수에 의거하여 부과하고 그 날짜에 납부할 수 없거나 상환하지 못

, ,

하면 규정된 일수 동안 관부에서 노역하게 하는데 日當

8

錢으로 計上 하고 관부에서 식사하는 경우에는

,

日當

6

錢으로 計上해준다”9)는 규정 이 있다

.

戍邊役에 복역할 경우에 대해서는 혹“ 贖遷의 형을 받은 자 가 錢을 납부하고자 하면 일 당

1 8

錢으로 계상한다 는 규정이 있기 때” 문에

,

10) 수변역의 경우도 일반 관부에서의 노역과 변제액이 같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의하면 관부에서 식사를 제공받으며 복역하는

.

경우 평균액

, 3,234

전은 최하

64

일에서 최대

1,868 ,

일 평균한 액수 로는

539

일 동안 복역해야 면제되는 액수이다 이 자료에 등장하는

.

채무자

12

인 모두 원거주지 陽陵縣에서 “戍洞庭郡”하고 있는 자들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의

.

戍邊 복무가 백성 누구나 정기적으로 교대 하여 복무하는 戍邊役인지 居貲贖債로 복역하고 있는 것인지 분명치 않다

.

貲錢과 贖錢이 개별로 명기되어 있어 居貲贖債로 복무한 것일 가능성이 크지만 채무자도 일반의 수변역을 이행해야 한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단지

.

戍邊役에 복무 하면서 貲錢 등을 관부에 상환할 수 있는 형편이 되지 못할 것인데 현거주지 관서와 관할 관서 사이에 그 貲錢 등의 담당 소재를 묻는 공문서가 왕래하고 있는 것에 의하면 로 복역하고 있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이 문제를 해

.

居貲贖債

9) “有罪以貲贖及有責 債 於公( ) ,以其令日問之其弗能入及賞 償( ),以令日居之

, ”( , p.84).

日居八錢 公食者 日居六錢雲夢秦律

10) “或贖 遷 欲入錢者 日八錢( ) , ”( 雲夢秦律 , p.91).

결하는 데는 陽陵縣의 위치와 소속도 확인되어야 하나 분명치 않다

.

「 은 양릉현을 동정군에 속한 것으로 보았으나

選釋」 11) 「選校」는 이를

부정하고 그

,

地望은 不詳이지만 秦의 故地에 있던 현이라고 보았 다

.

12) 洞庭郡은 문헌 기록에 秦의 郡으로 나온 바가 없다 따라서 본

.

간문은 문헌 기록에 闕한 동정군의 실재를 알려주었다

.

개의 문건은 내용이 비슷하다 그 가운데 비교적 많은 사항을 담

12 .

고 있는 다음 문건을 들어 관련 사항들을 살펴보겠다

.

<J1(9)3 A >面 :

( )

卅三年三月辛未朔戊戌 司空騰敢言之 陽陵下里士五 伍 不識有貲餘

㈠ , :

錢千

. ( ) .

七百廿八 不識戍洞庭郡 不智 知 何縣署 今爲錢校券一 上謁言洞庭

㈡ , ,

尉 令署,

( ) [ ]

縣責 以受 授 陽陵司空 司空 不名計 問何縣官計 付署 計年

㈢ , 。 , , , 、

. 名爲報 已訾

[ ] .

責其家 家 貧弗能入 有物故 弗服 毋聽流辭 以環書道遠 報署

㈣ , , , , ,

. /

主責發 敢言之 四月壬寅 陽陵守丞恬敢言之 寫上 謁報 署金

㈤ , , : , ,

<J1(9)3 B >面 : / 布發 敢言之 堪手

㈠ , 。 。

/ 卅四年七月甲子朔辛卯 陽陵遬敢言之 未得報 謁追 敢言之 堪

㈡ , : , , 。

手。

( )

卅五年四月己未朔乙丑 洞庭 假 尉 謂遷陵丞 陽

㈢ , 叚 觿 :

/

陵卒署遷陵 以律令從事 報之 嘉手 以洞

㈣ , 。 。 。

     庭司馬印行事 敬手

㈤ 。

현재 간문의 해석상 여러 부분에서 다른 견해가 제기되었다 우선

.

필자의 견해에 따라 여러 주석들을 참고하여 독해하고 논란이 되는

,

부분은 각주에서 논급한다

.

11)「選釋」J1(9)1A注文.

12) 「選校가 그 근거로 제시한 자료는 史記秦本紀」, “孝文王元年……子莊襄

” “ , ”;

王立 索隱 名子楚 三十二而立 立三年卒 葬陽陵, , 中國歷史博物館所

“ ”;

秦陽陵兵符 甲兵之符 右才 在 皇帝 左才 在 陽陵, 〈 〉 , 〈 〉 史記 “( )

高祖功臣侯者年表陽陵侯傅寬以舍人從起橫陽 至霸上, ,為騎將 入漢, ,

···”에 대해 , “ ”(

定三秦王國維曰 是高帝時已有陽陵其因秦故名蓋無可疑

18 ).

觀堂集林 秦陽陵虎符跋

(4)

(1) < J1(9)3 A >面 :

진시황 년 전 년 월 에 이 삼가

( )33 ( 214 )3 辛未朔戊戌 (陽陵縣) 司空 騰

문건을 올려 청합니다 의 은

( ) . “陽陵縣 下里 士五 伍 不識( ) 貲餘錢 1728錢 을 미납하고 있고, 不識은 현재 洞庭郡에서 戍邊에 복역하고 있지만 어 느 현에 속하여 복역 중인지 모르겠습니다. 13)금일 錢校券 하나를 만들 어 洞庭郡尉에게 올리오니 (동정군의) 관할 縣에서 맡아 처리하여 그, 내역을 받아 陽陵縣 司空에게 보내 주십시요. (陽陵縣 司空이 회계하지) 못하여14) 어느 현의 관부가 計上하고 있는지를 알고자 하오며 관할 관, 부에 이 錢校券을 전해 주시고 복역, 年數(와 명부 를) 15) 계산하여 보내 주도록 해주십시요 이전에 미납액을 계산하여 그. 家에 납부 독촉하였으 나 가난하여 납부할 수 없었고, (책임질 만한 가족 성원이) 死去하여 복 역하지도 아니하고, 辭令을 듣지 아니하고 흘러 보내버렸습니다.16) 문서 가 오고 가는데 길이 멀기 때문에 관할 관서의 책임자가 직접 발송하도( ) 록 해주시길 감히 청합니다.”

월 이 삼가 글을 올립니다 문서를 하여 올 / 4 壬寅 陽陵守丞, 恬 . “ 抄寫 리오니 회답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17) 金布官에게 서명케 하여 발송합니 다.

J1(9)3 B面

삼가 올립니다.” 堪이 서명하다.

년 월 에 의 가 삼가 글을 올립니다 아직 회답 34 7 甲子朔辛卯 陽陵縣 遬 . “

을 얻지 못하였습니다 삼가 보고 드립니다. .” 堪이 서명하다.

13) 「選校는 이 부분의 ‘ ’를 거처하며 복무하는 곳으로 해석한다 이에 따른. .

14) “[司空]不名計選校‘ ’ ‘ ’ 의 뜻으로 보아 명료한 회계 로 해석하“ ” 였으나 멀리 떨어진 채무자의 상황을 전혀 알 수 없고 복역하고 있는 현에, , 서의 현황 보고도 받지 못하고 있는 사정에서 회계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 ’ ‘을 명료하다 는 뜻으로 보기 어렵다 채무자 명부상의 회계’ . 처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5) 여타의 문건에는 ‘ ’名 字가 없어 衍字가 아닐까 한다.

16) 簡文 弗服 毋聽流辭“ , ” ‘ 流辭選校流言즉 근거없는 말 로 해석하‘ ’ 였으나 전후 문맥상 통하지 않는다 그런데 다른 문건. J1(9)9 A에는 “[‘ ’缘 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래서 이 를 관부의

+ ] ” . ‘ ’

之右頁 有流辭 弗服 勿聽, ,

으로 해석하면 전후 문맥이 통한다 즉 관부의. “ 을 흘러 보내고 복역

辭令 辭令

하지 않았으며 듣지 않았다 는 뜻이 된다 이렇게 해석하면” . 流辭 勿聽의 앞 에 오든 뒤에 오든 상관없이 동일한 뜻이 된다 때문에 두 문건에서 그 위치. 를 바꾸어 쓰게 된 것으로 생각한다.

17) ‘謁報는 상급 기관의 회답을 청구한다는 뜻의公文 用語이다.

년 월 에 이 에게 문서를 보내 말

35 4 己未朔乙丑 洞庭假尉 觿 遷陵丞 ( ) 하였다. “陽陵의 戍卒이 遷陵縣에 소속되어 복무하고 있으니 律令에 따라

하고 보고하라.” 가 서명하다. 가 날인하고, 하여

從事 嘉 洞庭郡 司馬 代行

업무를 처리하다.18)  敬이 서명하다.

본 문서의 전달 회신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년 월 의 이 에게 문서를 보내어 청

33 3 : 陽陵縣 司空 騰 陽陵守丞 恬

하길, 洞庭郡에서 戍邊하고 있는 士伍 不識의 所在 縣과 회계 상황을 洞 에게 물어보는 본 문건을 보내고 그 회답을 보내달라고 요청하였, 庭郡尉

다.

년 월 이 요청을 받은 은 본 문건을 하여

34 4 : 陽陵守丞 恬 抄寫 洞

에게 전송하였다. 庭郡尉

년 월 회답을 받지 못한 의 가 의 34 7 : 陽陵縣 治所 遬 陽陵縣 司空

에게 동정군으로부터 회신이 아직 오지 않았음을 전하였다. 騰

년 월 은 이 문서를 수령한 후 이

35 4 : 洞庭假尉 士伍 不識 遷陵

④ 觿

에 복역 중인 것을 파악하고, 에게 문서로 명하여 율령에 따라

縣 遷陵丞

조사하여 보고하도록 하였다.

년 월에 의 가 삼가 글을 올립니다 고 한 문건의 작성

34 7

“陽陵縣 遬 ”

자와 장소가 어디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건의 서명자가

. 34 4

년 월 陽陵守丞 恬이 보낸 문건의 서명자와 이름 ‘ ’堪이 같기 때문에 陽陵 이 있는 의 에서 작성한 것이겠다 단지 작성자

.

守丞 陽陵縣 治所 遬

의 인지 그 속관인지 파악하기 어렵다

.

後任 陽陵守丞

결국 이 문건이 동정군에 도착하여 현황 파악의 지시가 내려지게 되기까지

2

1

개월이 소요되었다 같은

.

陽陵縣 내에서 본 사안이 처 리되기까지도 무려

1

1

개월이 걸렸다 이 시점까지는 동일 현에서

.

일어난 일이라는 점에서 원거리가 처리 지체의 요인은 아니었을 것이 다 그 간에 무슨 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 .

陽陵守丞 이 洞庭郡에 전송한 문건도

9

개월 만에 처리 지시가 내려지고 있다

.

양릉현 治所에서 동정군에 보낸 문건에 대한 회답을 기다리다 오지 않 18) ‘行事他官 某官 職權을 대행하여 맡는 것을 말한다 보통. 低級관원 이 일급 높은 직무를 攝行하거나 혹은 同級의 직책을 겸행하는 것을 가리킨 .

(5)

은 사실을

3

개월 후에 처음 문건을 보내 처리를 요청한 같은 縣 司空 에게 연락하고 있다 이에 의한다면 이 문건은 늦어도

. 3

개월의 기간 내에 동정군과 문건이 오가며 처리되어야 할 일이었음을 알 수 있다

.

본 문건에 문서가 오고 가기에 길이 멀기 때문에“

(

以環書道遠

)”

라 한 것에 의하면 陽陵縣은 洞庭郡에 속한 縣이 아닐 가능성이 크나 왕복하 며 처리되는 기간이

3

개월 정도라면 아주 멀리 떨어진 지역은 아닌 듯하다

.

「選校」가 陽陵縣을 洞庭郡 소속 현으로 보지 아니하고

,

秦의 에 있는 현으로 보았는데 동정군에 비교적 가까운 라면 타당

故地 故地

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

그리고 이 문건이 처리되기까지

2

1

개월간 여전히 士伍 不識이 동정군에서 戍邊役에 복무 중이었을 것이다

.

그의 채무액 貲餘錢 을 으로 변제하면 일이 된다 즉 그가 하고

1728

錢 日當

6

288 .

戍邊

있는 일수 최소한

( 760

일 이상 는 채무액을 변제하고도 훨씬 남는 일

)

수이다 단지

. 12

개의 문건 가운데 貲錢 액수가

11,271

전으로 가장 많 은 士五 伍 小欬

( )

의 경우도19) 문건의 처리 기간이

2

년이 되고 있지만 일을 복역해야 변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의 사안과는 다르다

1878

不識

.

그렇다면 남자 성인 모두가 교대로 일정 기간 복무하는 繇戍에 징발된 것일까 즉 자신의

.

貲餘錢을 居貲 복역으로 모두 변제하고 나머지 기

,

간은 자신의 戍邊役에 복역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

.

秦의 의무 戍邊役 복무 기간이 확실치 않지만

,

漢書 卷

7

昭帝紀 元鳳

4

年條의 「三年以前

에 대한 에 ‘( )

逋更賦未入者 皆勿收」 如淳注 「食貨志曰 加 月爲更卒 已復

,

’.

.

라 한

爲正 一歲屯戍 一歲力役 三十倍於古 此漢初 因秦法而行之也」 것에 의하면

1

回次 戍邊은

1

년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

士伍

의 복무 기간은

288

일을 공제하고도 최소한

472

일 이상을 더 복 不識

역하고 있으니 자신의 수변역 복무로만 보기도 어렵다 한편

. 12

개의 사안에서 해당 채무가가 모두 똑같이 가난하여 납부할 수 없었다 는“ ” 구절이 있다 그래서 이들이 변방에서

.

戍邊하고 있는 것은 가난하여“ 19) 里耶秦簡 J1(9)7 A: ㈠卅三年四月辛丑朔戊申 司空騰敢言之 陽陵, : 褆

이하 생략

( ) . ( ) .

陽士五 伍 小欬有貲錢萬一千二百七十一

납부할 수 없었다 는 사실과 밀접히 관련되는 것 같다 그래서 자신의”

.

채무액을 변제한 기간이 지났어도 수변역을 계속하고 있는 것은 代役 내지 代贖 중에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문서 처리상의 지체로 인

.

해 복역자가 변제 기간을 넘어 복무하고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본인의 貲餘錢에 해당하는 복무 일수를 자신이 알고 있었을 것 이고 그렇다면 이미 변제 해당 복무 일수를 최소한

, 472

일 넘게 계속 복무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관부의 일방적인 착취

.

로 볼 수도 있겠으나 하루의 노역까지 면밀히 계산하여 회계 처리하는 의 행정체계에서

1

년이 훨씬 넘는 기간을 하여 부역시켰다고는

秦 違法

생각하기 어렵다

.

에 의 에 관한 다음 규정이 있 雲夢秦律 「司空」 居貲贖債 代役 代贖

.

와 및 가 죄를 지어 로 있으면서 타 (2) 大嗇夫 丞 官嗇夫 居貲贖責 債( )

인으로 代贖하고자 하면 耆弱이 相當한 자인 경우에 허용한다. 手工業作 의 과 상인 그리고 부채가 있는 자는, (타인을) ( )시킬

坊 工人 代贖代役

수 없다.20)

에 이 에 있게 되어 그 집안을 돌볼 사 (3) 一室 二人 以上 居貲贖責 債( )

람이 없게 된 경우에는 그 가운데 1인을 내보내고 서로 교대로 관부에, 서 복역하게 한다. 居貲贖責 債( )에 있는 자가 혹 같은 명적에 있는 사람 과 함께 관부에서 복역하고자 한다면 이를 허용하되 그들의, 繇戍의 의 무를 면제해주지는 않는다.21)

이 조문에 의하면 代贖은 大嗇夫와 丞 및 官嗇夫 등의 관리인 경우 와 一室에 二人 以上이 居貲贖責 債

( )

에 있게 되어 그 집안을 돌볼 사 람이 없게 된 경우에만 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이 가운데

.

洞庭 에서 중인 자들이 자신의 채무를 복역으로 변제한 후에

郡 戍邊 戍邊

빈궁하여 수입을 목적으로 代贖하고 있는 것이라면

(2)

의 경우에 해

20) “大嗇夫 丞及官嗇夫有罪、 , 居貲贖責 債( ), 欲代者耆弱相當許之 作務及賈. ) ”(pp.84-85).

而負責 債 者 不得代

21) “一室二人以上居貲贖責 債 而莫見其室者 出其一人 令相( ) , , 為兼居之. 居貲贖責 ( )債 者 或欲籍 藉 人與, ( ) 并居之 許之 毋除 徭 戍, , ( ) ”(p.85).

(6)

당할 것이다 또는

.

一歲一更의 戍邊役을

3

백전으로 代役하는 제도에 해당한 것일 수도 있다

.

22) 한편 居貲贖債者의 문서 이관과 관련하여

에 다음 규정이 있다

.

雲夢秦律 金布

관부에 채무가 있거나 의 처벌로 다른 현에 하며 복역하

(4) 貲 贖、 居

게 된 경우는 곧바로 복역중인 縣으로 문서를 이첩한다 관부가 백성에. 게 채무가 있는데 상환하지 못한 경우도 또한 그 소재의 현에 문건을 이 첩하여 그 현에서 상환하도록 한다.23)

여러 연구들은 상기의 里耶秦簡

(1)

에서 陽陵縣과 洞庭郡 사이에 의 문서 왕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이 율문에 의거한 것 居貲贖債者

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 (1)

의 문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4)

의 율 문에 의거한 것만은 아니다

. (1)

에서 양릉현 司空이 동정군으로부터 받고 싶어 한 문건은

,

居貲로 洞庭郡에서 복역 중인 士伍 不識의 所在 과 그의 복역 기간에 따른 회계 문건이었다 만약 양릉현에서

. (4)

의 縣

규정을 지키지 못하여 아주 늦게 不識의 문건을 동정군에 이송한 것이 라면 늦게 보내게 된 사정 등이 기재되어야 하는데 전혀 보이지 않는

. (1)

의 내용은 무엇보다도 문건의 요청이다 그런데 회계 문건의

.

이송과 관련하여 다음 조문이 있다

.

다른 관부에서 로 복역하고 있는데 그 노역 일수를 (5) 居貲贖責 債( )

해야 할 관부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는 월까지 그 노역일수와 의8 計上

복 수를 그 관부에 보고해야 하며, 9월을 지나지 않아서 그 관부에 도착 하도록 해야 한다.24)

즉 멀리 떨어진 다른 관부에서 노역하는 경우 복역 소재지 관서는 22) 漢書 7 「昭帝紀元鳳4年條如淳注天下人 皆直戍邊三日 亦名爲更

.

律所謂繇戍也 雖丞相子 亦在戍邊之調 不可人人自行三日戍 又行者 當自戍三日 . 不可往便還 因便住一歲一更 諸不行者 出錢三百 入官 官以給戍者 是爲過更也

···. 此漢初 因秦法而行之也.”

23) “有責 債 于公及貲 贖者居( ) 、 它縣 輒移居縣責之, . 公有責 債 百姓未賞 償( ) ( ),

, ( )”( , p.60).

移其縣 縣賞 償金布律

24) 雲夢秦律司空」, p.85官作居貲贖責 債 而遠其計所官者 盡八月各以( ) ,

( ) .”

其作日及衣數告其計所官毋過九月而觱 畢 到其官

그 회계 사항을 원적이 있는 관할 관서에

9

월까지 도착하도록 전송해 주어야 한다

. (1)

의 문서 독촉은 일단 이 규정에 의해 이해될 수 있 다 이 율문에 의하면

.

陽陵縣에서는 不識이 동정군에 戍邊하기 위해 출발한 년도나 그 다음 년도의

9

월까지 그 회계 문건을 받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 된다 이 문서 독촉이

. 33 3

년 월이니 이 시점에서 문서 도착이 최소한 개월 지체된 셈이다

6 .

그런데

(1)

을 비롯한

12

개의 문건 모두 금일“ 錢校券 하나를 만들 어 洞庭郡尉에게 올린다 는 구절이 들어 있다 단순히 타방에서 복역”

.

중인 자의 정례적인 회계 문건 만을 요청한 것이라면 錢校券을 보내야 할 필요가 있었을까 무엇보다도 일단

.

錢校券을 보내어 행정 처리를 요청하였다는 것은 不識 등 수변 복역자가 모두 자신들의 當番이 되어 의 정례 에 복역 중인 것은 아니었음을 말해준다 최소

.

一歲一更 屯戍役

한 자신들의 貲錢이나 贖錢을 빈궁하여 납부하지 못하고 이 복역으로 상환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그들 대부분의 복역

.

일수가 이미 채무액을 상환하고도 남는다 이러한 사항들에 의하면 이

.

들의 복역은 代役 내지 代贖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일 가능성이 크다

.

그렇다면 양릉현 현지에서 不識의 代役 복역 상황 내지 그 회계에 관 련하여 처리해야 할 代役 내지 代贖 의뢰자의 사안이 있었을 것이다

.

의 발송은 그러한 사정을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

과 의

錢校券 代贖 代役

계약은 代役者와 의뢰자만이 아니라 관부가 그 사이에 개재하여 증빙 하고 문건을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 본래 그 복무가 관부에 의해 내

.

려진 처벌이기 때문이다 양릉현 현지에 있는 의뢰자에 대한 면역 또

.

는 책벌 면제의 결정은 동정군에서 복역 중인 不識의 복역 상황에 따 라 이루어진다 단지 이

.

代役이 定例의 수변역에 대한 것인지 타인의 채무 변제에 관련된 것인지는 판별하기 어렵다 어떻든 이 자료는 이

.

두 면의 가능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 (1)

을 비롯한

건의 문서는 이와 같이 과 의 변제를 위해

12

里耶秦簡 貲錢 贖錢 戍

으로 에 있는 예이면서 아울러 으로 과

邊役 居貲、居贖 戍邊役 代贖 代役

하거나 定例의 戍邊 代役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례로서 귀중한 자료가

(7)

된다 하겠다 또한

.

居貲贖債와 代刑이 병용되면서 많은 인원의 복역 일수와 代役 관련 양자간의 회계를 처리하는 등의 업무가 매우 많았을 것이다

.

里耶秦簡 의 관련 문건은 그러한 사정과 함께 원거리 지역 간의 문서 왕래로 더욱 어려운 실정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의 성격과 의 계승 문제 . 居貲贖債 服役 秦漢

에 있는 자들은 이나 등의 형도와는 분명

居貲贖債 城旦舂 鬼薪白粲

히 구분되지만 관부에 居하면서 구속되어 형도와 다름없는 노역에 묶 여 있는 것에 의하면 일반의 자유민도 아니다 그래서 이들의 신분적

.

성격을 간단히 논단하기가 어렵다

.

居貲와 居贖에 있는 자들은 각각 와 에 해당하는 죄를 범하였거나 그 밖의 중죄를 짓고 법률

,

貲罪 贖刑

에 정해진 규정이나 황제의 은전으로 減刑의 처분을 받은 죄인들이다

.

단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문

( )

居債에 있는 자들은 일반의 죄인과는 구 분된다 이들의 수가 전체 인구에서 상당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을

.

것이라는 점에서25) 이들의 신분적 위상과 성격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에 의해 이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도

.

중요한 사항이다

.

벌금형과 贖刑은 實刑으로서 그 貲錢과 贖錢이 완납되기 이전에는 아직 형벌로부터 벗어난 상태는 아니라고 보아야 한다

.

貲錢과 贖錢의 미납도 엄밀히 보면 율문에서 구분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를테면

.

에 다음 조문이 있다

.

夢秦律 金布

25) 1979 12 臨潼縣趙背戶村始皇陵 秦代工人墓地에서 발견된 18건의 瓦片 가운데 대부분이 로 복역중인 자들이다.

墓志文 居貲

1. 東武居貲上造慶忌. 2. 東武東閒居貲不更 ( ). 3. 博昌居此 貲 用里不更( )

  瞗

. 4. . 5. . 6. .

楊民居貲大〔 〕教 〔 〕楊 民居貲公士富  楊民居貲武德公士契必 7. 平陰居貲北游公士滕. 8. 闌陵居貲便里不更牙. 9.  ……〔 〕 □□ 不更

. 10. ( ) .( ,

〔 〕…〔 〕 …〔 〕 更滕 始皇陵秦俑坑考古發掘隊秦始皇陵 ( 1982-3, pp.6-7).

西側趙背戶村秦刑徒墓文物

가 면직되었다가 다시 에 복직하였는데 때의 죄로 납

官嗇夫 嗇夫 前任

부해야 할 貲錢이나 그 밖에 관부에 납부해야 할 채무가 있지만 빈궁하 여 납부하지 못하는 자는 그 月俸 錢( 과 식량 에서 매달 떼어 갚게 하고) ,

하지 않도록 한다 면직된 경우에는 율령에 따라. 하게 한다.

居作 居作 26)

이 조문에 의하면 前任 때의 죄로 납부해야 할 貲錢이 있었지만 다 시 관직에 복직될 수 있다 그러나

.

貲錢만 규정되고

,

贖錢은 나와 있 지 않다 여기서 그 밖에 관부에 납부해야 할 채무 는 죄로 인한 채무

.

“ ” 가 아닌 경우를 가리킨다

.

貲錢은 가벼운 죄의 벌금이지만 대체로 贖 은 중죄에 해당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

錢 居貲贖債

연칭된 채로 여러 규정에서 같은 적용을 받는 경우가 많다

.

이하인 자로 에 있는 자가 의 노역에

公士 居贖刑罪、居贖死罪 城旦舂

복역하는 경우는 赤衣을 착용하지 아니하고,枸櫝欙杕의 형구를 채우지 않도록 한다. 鬼薪白粲 下吏,  로서 耐刑이 아닌 자,民의 奴妾으로 居贖貲 에 있으면서 의 노역에 복역하는 경우는 모두 를 입고

( ) ,

責 債 城旦 赤衣

의 형구를 착용시켜서 이들을 관리한다.

枸櫝欙杕 27)

과 가 연칭되는 경우 은 대부분 에 대한 을

贖刑 贖死罪 贖刑 肉刑 贖刑

가리킨다 이들이

.

公士 이하의 서민인 경우 赤衣와 형구를 채우지 않 지만 중형인 城旦舂의 노역에 복역한다

.

“居貲贖債

,

當與城旦舂作

者28)라 한 조문도 그러한 사정을 말해준다 또

.

“隸臣妾 城旦舂之司、 이라 한 것에 의하면

( )

寇 居貲贖責 債、 繫城旦舂者 勿責衣食, 居貲贖債 에 있는 자들이 繫城旦舂의 노역에 복역하기도 한다

.

二年律令 亡律 에 다음 조문이 있다

.

26) “官嗇夫免 復 嗇夫 而坐其故官以貲賞 償, 為 , ( )及有 責 債它 ( ),貧窶毋 無 以賞( ) ( )償 者 稍, ( )其秩 月食以賞 償 之 弗得居、 ( ) , ; 其免 也( ),令以律居之”(pp.62 -63).

27) “公士以下居贖刑罪 死罪者、 ,居於城旦舂 毋赤其衣 勿枸櫝, , 欙杕. 鬼薪白粲, 

( ) ”(

下吏毋耐者 人奴妾居贖貲責 債 於城旦 皆赤其衣, , ,枸櫝欙杕,將司之 雲夢 , p.84).

秦律司空

28) 雲夢秦律司空」, p.89.

(8)

이 도망하여 일년이 넘었으면 로 처벌하고,

隸臣妾 收人、 繫城旦舂六歲

년이 넘지 못하였으면 스스로 복귀하면 로 처벌한

1 繫城旦舂三歲, □□

다. 繫城旦舂 歲3 로 복역하다 도망하였으면 繫城旦舂6세로 처벌하고, 繫 세로 있다가 도망하면 에 처벌한다

6 .

城旦舂 完城旦舂 29)

은 과 의 중간에 위치한 형벌이며

,

繫城旦舂 隸臣妾 完城旦舂 有期刑

.

居貲贖債에 있는 자들은 城旦舂이나 鬼薪白粲등의 刑徒와는 달리 이나 또는 와 와 함께 관부에서 복역할 수 있고

,

一臣 一妾 一馬 一牛 30)

때나 때

20

일간 귀가하여 할 수 있다

.

播種 育苗 田農 31) 요컨대 居貲

에 있는 자들은 노역형 가운데 가장 무거운 또는

贖債 城旦舂 繫城旦舂

의 형도와 함께 그 노역에 복역하지만 형구를 채우지 않고 귀농할 수 있는 등의 우대를 받는다 또한

.

張家山漢簡 二年律令 「收律」에 죄“ 인 完城旦과 鬼薪 이상 및 奸罪로 腐刑을 받은 자는 모두 그 妻子와 재산 전택을 몰수한다”32)고 하였다 일부 형도의 이러한 처지는 처자

.

와 재산을 그대로 지닐 수 있는 居貲贖債에 있는 자들과 크게 다르다

.

한편 里耶秦簡 의

J1(16)5

正面 、

J1(16)6

正面 簡文에 秦始

년 월 에서 관할 에 하달한 에 다음 기사가 있다

27 2 .

皇 洞庭郡 縣 令

지금 에서는 군수물자를 와 에 수

···. 洞庭郡 內史 巴、南郡、蒼梧郡 송을 하고 있는데 甲兵 수송에 傳送을 맡을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 바로.

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傳送 乘城卒 隸臣妾 城旦舂、 、 、鬼薪白粲、居貲贖 를 모두 다 동원하라 농사철이면 를

( ) .

責 債 、司寇、隱官、踐更縣者 黔首 징발하려 하지 말라. ···.33)

29) 亡律 165隸臣妾 收人亡 盈卒歲、 , , 繫城旦舂六歲 不盈卒歲, , 繫三歲,

, . , , , .”(

自出歟 □□ 其去繫三歲亡 繫六歲 去六歲亡 完爲城旦舂 張家山二四七號

, , : , 2001),

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北京 文物出版社 p.155).

30) “百姓有貲贖責 債 而有一臣若一妾 有一馬若一牛 而欲居者 許( ) , , , .”( 雲夢秦律 , p.85).

司空

31) “居貲贖責 債 者歸田農( ) , 種時 治苗時各二旬、 ”( 雲夢秦律司空」, p.88).

32) 174罪人完城旦鬼薪以上及坐奸府 腐 者( ) , 皆收其妻 子 財 田宅・ ・ ・ .”(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p.156).

33) J1(16)5 正面 ; “···. 今洞庭兵輸內史及巴南郡蒼梧, 輸甲兵當傳者

. ( ) , ( )

節 卽 傳之 必先悉行乘城卒 隸臣妾 城旦舂、 、 、鬼薪白粲居貲贖責 債

여기에서 군수물자의 운송에 동원되고 있는 층은 병사

(

乘城卒

),

여 러 刑徒

,

형을 마친 隱官、일반민으로서 縣의 更役에 복역하러 온 자 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는 거의 형도의 에 속하여

(

踐更

) .

居貲贖債 類

있다 즉

.

居貲贖債는 常時와 임시의 여러 노역에 징발되어 여타의 형 도와 같은 노역에 복역한다 한편

.

居貲贖債는 城旦舂을 이끌지

( )

將 못 하며

,

城旦에

3

년 이상 복역한 자 가운데 임명되는 城旦司寇

1

인에 의해

20

인 단위로 여타의 형도와 함께 지휘를 받게 되어 있다

.

34) 즉 居貲贖債는 刑徒를 감독하는 司寇가 될 수 없고

,

實刑의 刑徒와 같 은 노역의 組에 속하여 지휘 감독을 받아야 한다

.

實刑의 刑徒 보다 우대 받는 면이 있지만 그 노역의 현장에서 예속된 면과 노역의 질은

등과 다를 바가 없다

.

城旦舂

대체로 贖錢의 부담은 대단히 큰 것이었다 한대의

.

贖錢은 시기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

이년율령 에 贖死 金 斤

2 8 ,

兩 贖城旦舂

1

8 , 1 8 , 1 4 ,

斤 兩 贖鬼薪白粲 斤 兩 贖斬 斤 兩35) 贖腐

1 4 ,

斤 兩 贖劓

1 ,

斤 의 규정이 있고 한서 식화지에 의거

1 , 12 , 8 ,

贖黥 斤 贖耐 兩 贖遷 兩

하여 金 斤

1

1

만전으로 계산하면 贖死가

25,000 ,

전 贖城旦舂은 전 등이 되나 과 의 교환 비율이 시기에 따라 달랐고 후

15,000

金 錢

,

한말까지 속전의 액수도 수시로 변하고 있다 종래

.

貲錢과 贖錢에 대 한 시기별 比價와 변화 계승의 사항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다

.

36)

. ( ), .···.” 원문은

司寇隱官踐更縣者 田時歟 也 不欲興黔首 湖南省文物考古

, - ( 2003-1), p.33

硏究所湖南龍山里耶戰國 秦代古城一號井發掘簡報文物

에 처음 소개되었고 인용은, 李學勤이 새로 句讀한 원문에 의거하였다. 李學

, ( 2003-1), p.77.

初讀里耶秦簡文物

34) “無令居貲贖責 債 將城旦舂 城旦司寇不足以將 令隸臣妾將( ) . , . 居貲贖責 債( ) 與城旦舂作者及城旦傅堅城旦舂當將司者 廿人 城旦司寇一人將 司寇不, , 。 ( )免城旦勞三歲以上者 以 城旦司寇, 為 .”( 雲夢秦律司空」, p.89).

35) 贖斬에서의死刑 斬刑이 아니고, 斬左趾 斬右趾, 이다. 36) 국내의 주요 연구만 든다 임중혁. , 「雲夢秦簡 貲罰에 대하여」( 동양사학

연구 24, 1986.12); 「秦漢律의 벌금형」( 중국고중세사연구 15, 2006.2);

( 중국학보 54, 2006.12); 이성규, 의 형벌체계의 재

秦漢律 贖刑 秦 漢

「 」 「 ・

검토 -雲夢秦簡 <二年律令> 司寇를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85,

(9)

또한 秦律 二年律令 正史類

, , ,

居延漢簡 등에 보이는 액수에 차이가 많다

.

正史類에서 황제의 은전으로 베풀어진 속죄 등의 액수는 대부분 중죄인 경우가 많고 액수가 많으며 자주 변동되고 있다 또한 율문

, , .

의 경우는 甲

,

,

,

錢 사이의 比價를 규명해야 하고 여러 이설이

,

있다 실제 액수의 적용은 시기별로

.

比價가 다르다는 점 때문에 율문 의 액수를 대표로 올리는 것도 난점이 있다 그래서 실제 적용의 예라

.

할 수 있는 다음의 居延漢簡 의 사례만 들어 간략히 그 액수의 부담 정도를 분석한다

.

居延新簡 漢 宣帝時의 簡文에 “贖完城旦舂六百石   直錢四萬”(EPT56:36), “髡鉗城旦舂九百石   直錢六萬”(EPT56:37) 의 사례가 있다

.

37) 完城旦舂의 贖錢이

4

만전이고

,

髡鉗城旦舂은

6

만 전이다 이 액수를

.

居作으로 변상하려면 일당

6

전으로 計上할 경우 각 각 약

6600

일과

1

萬日에 이르게 된다 무려

. 20

년 내외의 기간 동안 복역해야 상환될 수 있는 액수이다 이 금액은 어느 정도 되는 것일

.

.

居延漢簡 에 보이는 노비와 여러 재화의 값 및 봉급액수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

38)

나이 세 의 재산목록 . ‘候長 觻得廣昌里公乘(8等爵 禮忠) 30 ’

인 만전 필 만전 인 만전

2 3 , 5 2 , 1 , 1 2 , 2

小奴 用馬 宅 區 萬錢 大婢 牛車 兩

천전 만전 만전 두 천전

4 , 5 5田 頃 , 軺車2乘 , 服牛2 6 이상 재산총합15만전 (3735) (p.61)․

에게 준 전

. 燧長 月俸 600 (15 3) (p.23)․ 의 값 전

. 5麥 斗 192 (332 1) (p.521)․ 인의 월 봉급 전

. 斗食吏3 1 2700 (411) (p.5)․ 의 값 전

. 2帛 匹 900 (8912) (p.155)․

와 인에 대한 월 봉급 만 백 일인당 약 전

. 佐 史 89 10 8 1 ( 900 )

(10435, 326 12) (p.175)․ ․

의 월에서 월까지 개월간의 봉급 전 매월 전 . 尉史 李卿 6 8 3 2700 ( 900 )

(1615) (p.265)․

임병덕

2003.12); , 「張家山漢簡<二年律令> 刑罰制度(1) -肉刑 罰金刑 贖중국사연구

- ( 19, 2002.8).

37) 居延新簡(北京,文物出版社, 1990), pp.308-309.

38) 이하 예문은 謝桂華 李均明 朱國炤․ ․ , 居延漢簡釋文合校(上 下· ) (北京: 에서 인용함

, 1987) .

物出版社

만전과 만전은 등 하급 관료의 개월과 개월의 봉급에

4 6

佐 史

44 66

해당되고

,

4

頃과

6 ,

頃 用馬

10

匹과

15

匹에 해당한다 또 후한

.

明帝 년에 이하의 모든 죄목에 대해 을 허락하여 는

2 ,

中元 死罪 贖免 死罪 縑

에서 은 에서 까지는

20 ,

匹 右趾刑 髡鉗

,

城旦舂

10 ,

匹 完城旦舂 司寇

3

그리고 이 가 내려지기 전에 한 자는 이 액수의 반으로

,

匹 詔書 自首

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 8 10

년 월에는 도 받을

贖免 同 永平 亡命者 贖罪

수 있도록 하였고

,

15 2

년 월에는 亡命者와 死罪 이하의 죄목에 贖 을 명하여

,

40 ,

에서

,

10 ,

免 死罪 縑 匹 右趾刑 髡鉗 城旦舂 匹 完城

에서 는

5 ,

이 가 내려지기 전에 한 자는 그 액수를

旦 司寇 匹 詔書 自首

반으로 하여 贖免하도록 하고 있다

.

39)贖死의 액수는 시기에 따라 매 우 다양하다 전후한에 걸쳐

.

贖死의 액수는

6

만전

, 50

만전 또는

100

만전

,

20 , 30 , 40 ,

필 필 필 황금

2 8

斤 兩 등이다

.

40) 무제기의

50

만전 을 기준으로 한다면 이 액수는

,

斗食吏나 佐 史 尉史

, ,

등 하급공무원

개월의 봉급 등에

555 ,

用馬

125 ,

斗 服牛

166 ,

斗 田

50 ,

頃 麥

13,020

斗 해당한다 황제의

.

恩典으로 贖刑을 받은 자들이 크게 증가되었겠지만 일반 서민으로서는 이러한 과대한 贖錢을 모두 재화로 완납하기가 어 려웠을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

居貲贖債 기간도 매우 길었을 것이다

.

의 와 함께 에 있는 자들은 관부의 각종 사업에 소요 實刑 刑徒 居貲贖債

되는 주요 노동력이다 이들은 관부에서의 일상적인 노역 뿐 아니라

.

일반 서민 대신에 軍役 관련 물자 운송에 동원되고 있다 앞의

(

里耶秦 국가는 이들 풍부한 노동력을 일반 서민들의 농사 등 생업 활동

).

을 보호하는데도 활용하였다 원칙상

.

全民이 복역하는 定例의 更繇를 제외하고 임시로 징발하는 노역은 대부분 刑徒와 居貲贖債에 있는 자 들이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

한편 秦律에 여러 규정이 명시되어 있는 居貲贖債가 한에서는 중단

39) 후한서 권2 「明帝紀」.

40) 이에 대한 개괄적 소개는 박건주, 中國古代 法律 判例文(서울 백산: 자료원, 1999), pp.140-142참조.

(10)

되거나 한초에만 보류되어 유지되다가 이후에는 소실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그 근거는

.

이년율령 에 ‘居貲贖債’의 명사가 보이지 아니하고 기타 전한대의 여러 자료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

張金光은 단지 논형 量知에 관련 내용이 있어 한의 문헌에 그 이름은 보이지 않지만 그 實은 尙存하였다고 한다

.

41) 이어지지 않았다고 하면서 그 은 하였다는 기술이 상당히 애매하다 또

.

의 과 같이 노

實 尙存 秦 貲罰

역일수를 錢으로 환산하여 대체하는 예가 한에서는 징벌성 노역의 사 례를 제외하고 일반백성의 경우 보이지 않는 것이 진과 한에서 구별되 는 사항이며 반드시 이를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 .

42) 또한 ‘居 의 명사가 장가산한간 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한에서 소실된

’ 貲贖債

것이지만 이년율령 「田律」에 벌금을 居作으로 대체한다는 규정이 있 고 후술

( ),

거연한간 과 은작산한간 등에는 모두 이러한 내용도 보 이지 않기 때문에 이 제도가 漢初까지만 유지된 것이라고 한 견해도 제기되었다

.

43)

앞에 제시된 논형 「量知」의 관련 기사는 다음과 같다

.

가 관부에 무거운 채무를 지고 빈한하여 갚지 못하니 채무를 지면 貧者

필경 관부에서 노역하게 되는데 집도 없이 장벽만 있을 뿐이다.44)

이러한 모습은 居貲贖債가 여실히 시행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

또 이년율령 「田律」

253-254

簡의 조문에

,

馬 牛 羊、 、 등이 남의 농 지에서 稼穡을 食한 경우 벌금을 그 주인에게 부과하는데 가난하여“ 갚을 수가 없으면 관부에서 居作하게 한다

(

貧弗能賞 償 者 令居縣

( ) ,

고 하였다

)” .

官 45) 이 규정 또한 居貲贖債와 다를 바가 없다 이 조문

.

41) 전게張金光(1988; 2004, p.566).

42) 藤田高夫 著 楊振紅 譯, , 「秦漢罰金考」( 簡帛硏究 2001( ), 桂林: 廣西師 , 2001), p.609

範大學出版社

43) 宋艶萍, 「從 二年律令 中的 貲< > “ ”看秦漢經濟處罰形式的轉變」( 出土文獻硏究 6, 上海, 2004.12), p.148.

44) “貧人負官重責 債( ), 貧無以償 責 債, ( )乃畢竟.夫官之作 非屋廡則墻壁也, .”

45) 앞의 張家山漢墓竹簡, p.167.

이 한초까지만 유지되고 이후 곧바로 폐지될 만한 이유가 있었을까

.

은 이에 대해 한에서는 보다 경제처벌 재산형 이 경감되어

( )

宋艶萍 秦代

백성이 관부에서 居作할 필요가 없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

46)그 러나 秦의 과도한 부과 액수가 한에서 일부 경감되었다 하더라도 일반 서민으로서는 居作하지 아니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위의

.

논형 의 사례는 상당히 보편적인 모습을 기술한 것이라 생각한다

.

이년율령 에 자세히 규정된 贖刑 등의 액수도 일반 서민으 로서는 상환하기에 벅찬 고액이다 비록 액수상의 변화와 납부 방식에

.

있어서 변화가 있었다 하더라도 秦의 貲罰이 한의 벌금형으로 계승되 었고

,

贖刑의 형태와 성격 또한 일부 변화가 인정되지만 漢律에서 상 당히 체계적으로 贖刑이 규정되어 있다 벌금형과

.

贖刑이 운영되고 있 는 사회라면 그 액수를 납부하기 어려운 층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

.

한 풍부한 노동력이 제공되는 제도를 국가가 방기할 이유가 없는 것이 기도 하다 따라서 벌금형과

.

贖刑이 律에 엄연히 있다는 사실에도 불 구하고 漢初 이후 居貲贖債의 규정이 실재하지 않았다거나 단절되었다 고 보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알려진

.

漢律은 전체의 일부 에 지나지 않고

,

居貲贖債를 폐지했다는 증거도 없다 직접적인 자료

.

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만으로 그 제도가 이어지지 않았다고 단언하기 는 어렵다

.

후한대 의 사례와

. 代贖 代役 代刑

는 에 대한 대체형이라는 면에서 보면 의 일면이

居貲贖債 實刑 代刑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

代役이나 代刑이라 할 때는 他人이 대신하여 복역하거나 처벌 받는 것을 가리킨다 양자 모두

.

實刑의 형태가 변환 되었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본 장에서는 후자의 경우에 대해 논급하

.

46)宋艶萍,앞의 글, p.149.

(11)

고자 한다

.

전반적으로 漢代에는 贖法 적용의 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특별 조치

,

에 의한 시행도 많아졌다 그에 따라

.

秦律에 규정된 代贖과 代役의 적 용도 보다 많아지고 그 허용 범위도 넓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 .

秦律에 규정된 代贖과 代役의 사례는 후한서 의 몇 곳에서 보인다

.

明帝영평

년 에 에 명하여 군국과 의 를 하여

8

條 三公 中都官 死罪繫囚 減罪一等 度

에 보내고

,

의 에 하도록 하였는데 가 遼將軍營 朔方 五原、 邊縣 屯戍 妻子 스스로 따라나서면 바로 邊縣의 籍에 올리도록 하고

,

父母同

이 代役 하고자 할 경우 이를 마음대로 허용하도록 하였다

.

47) 이러한 조치는 앞에 든 秦律

(3)

에 규정된 室人의 代役 代贖 허용의 범위

(

一室

2

인 이상인 경우에 한정 를 넓혀 시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 .

大逆

와 의 및 를 각기 차등을 두어 하

無道殊死者 一切募下 蠶室 亡命者 贖罪

도록 하고 모든

,

徙邊者들에게 弓弩와 衣糧을 사여하도록 하였다

(

其大

. ,

逆無道殊死者、 一切募下蠶室、 亡命者令贖罪各有差 凡徙者 賜弓弩衣

).

糧 48) 이 조칙에서 贖罪의 대상을 어디까지 지칭한 것인가 하는 해 석의 문제가 있다 즉

.

亡命者에만 해당한 것인가 그 앞의

,

二者도 포 괄되는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 조령 이전에 수차례

.

“詔死罪繫囚皆 년 년조 의 조칙이 있었

,

”(

28 , 31 )

一切募下蠶室 其女子宮 光武帝紀 建武

.

“一切募下蠶室”의 뜻은 死罪囚를 蠶室刑으로 감형하는데 본인이 응 하지 않을 경우도 있어 사죄수를 대상으로 희망자를 모집한 까닭에 이 러한 표기가 나온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이 문장은 일체 모집되어

.

“ 잠실형에 처해진 으로 해석된다 이”

.

建武 연간의 조칙과 명제기영평

8

년조

(65 )

년 의 조칙이 다른 점은 문단에 속죄해준다는 내용이 전자에

는 없고 후자에는 있다는 점이다 건무

, . 28 ( 52), 31 ( 55)

년 후 년 후 에 死 였다가 되어 에 처해진 자들이 있었고 그

, 13

년과

10

罪囚 減刑 蠶室刑

47) 후한서 2, 明帝 永平8년조에臨辟雍 養三老 五更, 、 . 禮畢 詔三公募郡,

, , , , ,

國中都官死罪繫囚 減罪一等 勿笞 詣度遼將軍營 屯朔方 五原之邊縣 妻子

, , , .”

自隨 便占著邊縣 父母同欲相代者 恣聽之 48) 후한서 권2, 明帝 永平8년조.

년 후가 되는 영평 년에

8

其大逆無道殊死者와 일체 모집되어 蠶室刑에 처해진 이들 망명자를 포괄하여 속죄로 처리케 한 것이라고 해석된

,

다 그렇게 볼 수 있는 근거로

.

大逆無道者와 亡命者가 함께 赦罪 내지 되는 조칙이 이 시기 무렵에 자주 내려지고 있다는 사실을 들 수 減刑

있다 명제 영평 년

. 2

“其令天下自殊死已下 謀反大逆

, ,

皆赦除之”, 광무 제 건무

28

년 “詔令天下繫囚自殊死已下及徒各減本罪一等”, 명제 영평

15

년 “詔亡命自殊死已下贖

,···”,

명제 영평

16

년 “詔令郡國中都官死罪繫囚 등이 그 사례이다 이와 같이 로부터 에

.

減死罪一等 大逆無道者 亡命者

이르기까지 함께 포괄되어 赦罪 내지 減刑하는 조칙이 빈발되고 있었 던 까닭에 영평 년의

8

贖刑 조칙의 경우도 그 대상에 대역무도자와 잠 실형에 처해진 자가 포괄되어야 마땅하다

.

또한 贖罪를 해주면서 徙邊하고 있는 것은

,

罪의 경중에 따라 贖錢 에 차등이 있고 그 액수가 많기 때문에 일반 서민은 대부분

,

額 居貲贖

에 있게 되어 의 으로 변상하게 된 것을 말해주고 있다

.

債 屯戍 役

한편

1964

년 낙양성 南郊에서 발견된 후한 刑徒墓 出土 塼志에 “曹 등의 이 있다 의 시기는

”, “ ”

.

福代胡非 胡生代路次 銘文 銘刻 安帝 永初 원년

(107 )

년 에서 永寧

2 (121 )

년 년 사이이다

.

49) “曹福이 刑徒 胡非에 하여 복역”, “ 이 에 하여 복역 한다는 것이다 이”

.

代 胡生 刑徒 路次 代

가 인지 인지는 구분하기 어렵지만 서로 성씨가 다른 것으

‘ ’代 代役 代贖

로 보아 一室 二人 代役 허용의 경우는 아닐 것이다 단지

.

代役 代贖 의 적용 범위가 후대에 더 확대된 사정을 반영한 것인지도 모른다

.

과 모두 타인이 대신 형벌을 받고 있는 셈이기 때문에

代役 代贖 代

이라 할 수 있다 또한

.

에 가 있다 후한에서

.

가 공식

刑 代刑 代死 代死

허용되고 있는 것은 후한 安帝時 尙書 陳忠의 진언에 의해서이다

.

陳 의 부친 이 재직 중에 번잡한

( )

감축을 건의한

忠 陳寵 廷尉 甫刑 大刑

바 있었는데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후

.

陳忠은 부친의 뜻을 이어

23

개 조목의 진언을 올려 번잡한 苛法의 감축을 주장하였다 그 가운데

.

請 4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東漢洛陽城南郊的刑徒墓地」( 考古 1972-4),

pp.2-19.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는 고지책에 반영된 사후세계관에 서 저승은 이승의 연장일 뿐 진묘문의 그것처럼 巫術的 세계는 아니었 음을 의미한다.17 반면 진묘문에 반영된 사자의 세계는 고지책과 달리 도교적 성향이 훨씬 강한 巫術的 혹은 呪術的 차원에서 설정된 세계로 서, 사자는 이승과 철저히 단절된 명계의 일원일 뿐 아니라 심지어 생 존중인 가족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