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 새로운 代 究 패러다임에 대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의 새로운 代 究 패러다임에 대한 *"

Copied!
40
0
0

Teks penuh

(1)

패러다임에 대한 摸索 *

( )

李 俊 甲 仁荷大

문제의 제기 .

의사소통의 수단 파생언어

. :

지역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상호 .

작용

경제적 상호작용 1.

정치적 상호작용 2.

문화적 상호작용 3.

.공간의 多層性

경제적 공간 1.

정치적 공간 2.

문화적 공간 3.

.결론

문제의 제기 .

명청시대 지역사 연구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패 러다임은 이른바 스키너 이론이다 스키너 이론은 두 가지의 핵심개념

.

으로 구성되어 있다

.

하나는 시장체계

(Marketing Structure)

1)라는 개념이고 다른 하나는 대권역

(Macro-Region)

2)이라는 개념이다 두

.

본고는 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작성하였다 과제번호

* 2005 (

: KRF-2005-041-A00064).

1) Skinner, G.William, “Marketing and Social Structure in Rural China” (Journal of Asian Studies, 24-1, 1964; 24-2, 24-23,․

이 논문의 우리말 번역은 양필승 신서원

1965). , 中國 傳統市場 , , 2000.

이하 본고의 인용부분은 우리말 번역본에 근거하였다.

2) Skinner, G. William, “Regional Urbanization in Nineteenth-Century China”(in Skinner, G. William ed, The C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P, 1977); Skinner, G. William,

“Presidential Address : The Structure of Chinese History” (Journal

(2)

개념은 명청시대는 물론 송대와 민국시대의 사회경제사를 연구하는 학 자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스키너는 하천과 산맥을 기준으로 중국의 경제와 사회 활동의 지리 적 단위를 북중국 북서중국 양자강 상류 양자강 중류 양자강 하류

, , , , ,

동남연해 영남 운남귀주의

, , 8

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

3)

8

개의 대권 역은 기왕에 통용되던 淮水와 秦嶺을 경계로 華南

,

華中으로 양분하거 나 광동의 주강 델타를

,

華南

,

양자강 유역을 華中

,

그 이북을 華北으 로 삼분하는 지리구분에 비해 지리적 경제적 특성을 파악하기에 훨씬

,

용이하다 스키너 자신은

. 8

개의 대권역의 특성을 간략하게 제시하는데 그쳤지만 대권역의 특성은 그의 이론을 수용한 학자들의 연구로 구체 화되었다

.

4) 대권역은 표준시장권에서 시작하여 중간시장권 중심시장

,

권 도시교역권 지역교역권으로 연결되는 다층적 시장권을 매개로 중

, ,

심부와 주변부가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

스키너의 이론은 구미는 물론 일본과 중국 우리나라에도 상당한 영 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에서는 스키너 이론이 학계에 상당한 영향력을

.

미치면서 그의 이론에 대한 비판과 그 비판에 대한 반비판이

1980

년대 후반기에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

5) 일본에서는 스키너의 논문이 간행된

of Asian Studies 44-2, 1985).

3) 그 후 스키너는 양자강 중류지역에서 강서성의 파양호 감강일대를 감강유역, 을 별도로 분리하고 동북의 만주도 별개의 대권역으로 상정하여 모두 10개의 대권역을 설정할 있다고 주장하였다[Skinner, G. William,

“Presidential Address: The Structure of Chinese History”(Journal of Asian Studies 44-2, 1985)].

4) 대권역의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서술은 Naquin, Susan and Rawski, Evelyn S., Chinese Society in the Eighteenth Century (Yale U.P., 정철웅 역 세기 중국사회 신서원 에 집약적으로 되어 있

1987)[ , 18 ( , 1998)]

다 개별적인 대권역에 대한 연구성과는 이 책의 참고문헌에 자세하게 수록되. 어 있다.

5) 스키너는 대권역을 자급자족적이고 폐쇄적인 시장으로 상정하고 가격에 비, 해 무게나 부피가 큰 상품은 운송비 부담 때문에 장거리 유통이 어렵다고 주 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권역간의 장거리 유통은 명청시대에 활발하게 되. 었다 또한 곡식 소금 따위의 가격에 비해 운송비가 많이 드는 물품들이 전. , 국적 시장에서 대규모로 유통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스키너 이론의 오류를 지.

(3)

직후부터 그의 시장체계 이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 1966

년 송대 사 연구자인 斯波義信을 비롯하여 명청 민국시대의 많은 연구자들이

-

직접 간접으로 그의 이론을 수용하여 시장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

,

.

6) 뿐만 아니라

1979

년에는 그의 논문 전체를 일본어로 번역하였 다

.

7) 근래에는 중국에서도 스키너 이론이 전파되면서 그의 시장체계를 상세하게 소개하고 대권역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

8) 뿐만 아니라 스키 너가 편집한

The City in Late Imperial China (Stanford Univ.

에 수록된 그의 논문들을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하였

Press, 1977)

.

9) 우리나라에서도 명청시대 지역사 연구자들 대부분이 이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다

.

10)

적한 비판은 Babara Sands & Ramon Myers, “The Spatial Approach to Chinese History: A Test” (Journal of Asian Studies 45, 1986).

스키너 이론을 옹호하는 입장에서 행한 재비판은 Daniel Little & Joseph Esherick, “Testing the testers : A Reply to Babara Sands and Ramon Myers' critique of G William Skinner's regional systems approach to China” (Journal of Asian Studies 48, 1989). 양측의 논 쟁에 대한 소개는 Daniel Little, Understanding Peasant China : Case Studies in the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Yale Univ., Press, 1989).

6) 대표적인 연구만 열거해 보면 斯波義信, G..W.「 スキナ中國農村社會におけ

, ( 49-2, 1966); ,

市場 社會構造 東洋學報 百瀨弘 淸代直隸靑縣市場共同

」 「

( 27-3, 1968); , (

體雜考東洋史硏究 石原潤 明淸民國時代定期市地理學

46-4, 1973); , ( 2,

評論 中村哲夫淸末華北農村市場講座中國近現代史

, 1978); , ( , 1988).

京大學出版會 斯波義信 宋代江南經濟史 硏究 汲古書院

7) 今井淸一, 中村哲夫, 原田良雄 譯, 中國農村 市場 社會構造 法律文化社 ․ ( , 1979).

8) 그 대표적인 학자가 王笛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명칭을. 跨出封閉的世界- 이라 하여 라는 1644-1911 ( , 1993)

江上流區域社會硏究 中華書局 長江上流

대권역 명칭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또한 저서 제 장에서는 스키너의 시장. 4 체계론을 상세히 해설하고 사천지역에 적용하였다.

9) 王旭 等譯, 中國封建晩期城市硏究-施堅雅模式 原著, G.W施堅雅 (吉林敎育出 , 1989).

版社

10) 국내에서는 명청시대 연구자들은 스키너의 대권역 구분을 직접적 간접적으, 로 수용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스키너 이론에 대한 소개와 국내. 지역사연구의 동향에 대해서는 鄭炳喆, 「中國史에서의 地方史 硏究 現況 을 참고하라 스키너의 시장체계에 대한 연구

( 7, 1999) .

課題Ⅰ」 中國史硏究

(4)

이처럼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스키너 이론에 대해 현재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세계학계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하고 있 다 그 하나는 시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촌락의 중요성을 간과

.

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시각에서 비판한 학자들은 사회적 단위로서의

.

촌락이 시장보다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구체적 연구에서 재확인하였 다 다른 하나는 시장권을

.

社會圈으로 간주하였다는 점이다 실제로는

.

시장권은 스키너가 주장하듯이 시장권은 通婚圈등의 사회권과는 일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11)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명확한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스키너 학설에

.

서 공간이 지역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 대해서는 동의하 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을 구성하는 일차적인 요소는 공간이라는 인식

.

은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시장 체계를 지역의 구조와

.

연결시킨 스키너의 방법론이 역사학 연구자들에게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으면서 이런 경향은 더욱 강화되었다

.

인간의 활동은 기층시장

이면 기층시장 중간시장

(Standard Market) , (Intermediate

이면 중간시장 중앙시장 이면 중앙시장

Market) , (Central Market) ,

지방도시

(Local Cities)

면 지방도시

,

지역도시면 지역도시

(Regional

라는 고정된 공간 속에서 펼쳐지고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

Cities)

였다 따라서 인식의 기초단위는 표준시장 중간시장 중앙시장 따위

. , ,

의 공간적인 범주였다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은 부차적인

.

의미를 지닐 뿐이다

.

그러나 필자는 지역을 공간 중심이 아니라 인간의 활동을 중심으로

성과를 응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방면의 연구는. 韓承賢, 17「 세기 福建

( 서울대 18, 1995)가 유일하다 국내에.

定期市發達 抗租東洋史學科論集

서 지역사 연구가 시작된 초창기에 지역사 지방사 개념을 정리한 연구성과로( ) 閔斗基, 「中國史硏究에 있어서의 地方史硏究」( 大丘史學 30, 1986)가 있 .

11) 스키너 학설에 대한 미국 일본학자들의 수용과 비판에 대해서는,  石原潤, 「

-G.W.Skinner (

舊中國における市場圈について 所說をめぐつて舊中國にお

, 2-5 (A)

地域社會 特質 平成 年度科學硏究費補助金一般硏究 硏究成果報告

ける

에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 1994) .

(5)

파악해 보려 한다 즉 지역에 정체성과 특성을 부여하는 일차적 요소

.

는 인간의 활동이며 공간은 부차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인간의 활동

, .

이 집적됨으로써 비로소 삶의 터전인 공간의 범위가 결정된다 지역은

.

주민들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有機體이다

.

따라서 이 유기체에 퇴적된 삶의 歷程이야말로 地域史라 할 수 있으며 그 歷程을 분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야말로 地域史硏究의 핵심 과제이다

.

이런 측면에서 필자는 우선 인간의 다양한 활동을 유기적으로 연결 시켜주는 수단이라 할 言語에 대한 의미 부여를 새롭게 해보려한다

.

유기적 활동은 의사소통의 매개가 되는 言語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 문이다 다음으로는 언어의 교환을 통해 상호작용이 어떻게 발생하는

.

가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런 상호작용이 지역사연구의 무

.

대인 공간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

언어의 교환을 통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곧 연속하는 인간의 활동이 야말로 공간의 성격과 범위를 규정하는 영향력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 함으로써 이제는 공간 중심의 지역사에서 벗어나 인간활동 중심의 지 역사를 구축할 필요성을 문제제기 차원에서 강조하려한다 따라서 본

.

고는 스키너 이론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은 아니며 새로운 모색을 위 한 초보적인 試論이다

.

의사소통의 수단 파생언어

. :

12)

12) 본고에서 제시한 파생 언어의 개념은 이러하다 인간생활에 관련된 정치적. , 경제적 문화적 요소를 포함한 모든 사물에는 각각의 메시지가 담겨 있는데, 사람들이 그 메시지로써 의사를 소통하는 경우 메시지가 담긴 사물이 곧 파, 생 언어이다 즉 파생 언어는 고유한 언어인 말이나 문자가 아닌 의사소통의. , , 수단으로 활용되는 다른 모든 사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파생 언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으나 필자의 이런 관점은 이미 기호 학자들에게는 상식이 된 것이 다 필자의 생각도 기호학의 성과에서 응용한 것으로 루디켈러 지음 이기숙. , 옮김, 기호와 해석 인간사랑( , 2000)[원저: Rudi Keller, Zeihentheorie,

(6)

지역이란 우리들의 세계이기도하고 그들의 세계이기도 하다 내가

.

지역의 구성원으로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우리들의 세계이다 내가

.

그 속에 포함되지 않았으면 그들의 세계이다 따라서 내가 어디에 위

.

치하느냐에 따라 지역은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명청시대의 중국사

.

회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역을 규정할 때 그 속에는 내가 포 함될 수 없다 따라서 지금부터 지역은 그들의 세계라는 의미로 사용

.

한다

.

그들의 세계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주체로서의 그들과 객체로서의 세계가 필요하다 그들은 누구인가 주민들이다 세계는 무엇인가 상

. ? . ?

호작용하면서 살아가는 삶의 터전이다 그들의 세계는 주민들이 상호

.

작용하면서 살아가는 터전인 것이다 그들을 세계 속에서 의미를 지닌

.

존재로 만들어주고 세계에 생명을 불어넣는 힘은 상호작용이다 상호

.

작용이 없는 개별적인 인간이 분산 고립하는 상태에서는 그들이라는

, ,

정체성을 가진 집단적 존재가 출현할 수 없다 인간을 둘러싼 세계도

.

삶의 터전 노릇을 하지 못한다

.

그러면 주체와 주체를 연합시킬 뿐 아니라 그 주체가 객체 속에서 생명을 지니는 존재로 활동하는 힘을 부여하는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 루어지는가 인간이 창조한 근원적인 상호작용의 수단은 언어이다 인

? .

간은 언어를 구사함으로써 타자와 의미 있는 관계를 맺어왔다 인간이

.

타자와 관계를 맺는 이곳이 바로 삶의 터전이요 세계인 것이다 타자

.

에는 인간만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환경 신 동물과 식물 도구 생

, , , ,

산물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

의사소통이 언어의 본질적 기능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한편으로 말

.

의 서언과 제 부 제 절의 표현과 의미 부분을 참

(Francke Verlag, 1995)] 2 9 ‘ ’

조하였다 인간의 의사소통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뤄질 수 있음은 움베르토. 에코 지음, 서우석 옮김, 기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5)[원제, Umberto Eco, A Theory of Semiotics(Indiana U.P., 1976)]의 서론 부분을 참조하라.

(7)

은 아니지만 다양하게 존재하는 사물이나 행위 등도 의사소통 수단으

,

로 활용되어 왔으므로 이들도 또 다른 범주의 언어로 파악할 수 있 다

.

13) 필자는 편의상 언어를 고유언어와 파생언어로 구분한다 고유

.

언어는 타인과 직접적인 의사를 소통하는 수단인 말이다 파생언어는

.

권력 마을 시장 인간관계 조직 상품 유통 화폐 축제 세시풍속

, , , , , , , , , ,

민간 신앙 등 인간생활에 관련된 모든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다 이것

( ) .

들이 언어로 파악될 수 있는 이유는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메시지 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한 철학자의 다음 수필은 파생언어에 분명한

.

메시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

뱃길 철길 고속도로 산길 들길 이 모든 길들은 그냥 자연현상이, , , , , 아니라 우리에게 무엇을 뜻하는 인간의 언어이다 언어는 인간만의 속성. 이다 그러기에 인간만의 세계에 길이 있고 길이 있는 곳에서 인간이 탄. 생한다.

길은 부름이다 길이란 언어는 부름을 뜻한다 언덕 너머 마을이 산길. . 로 나를 부른다 가로수로 그늘진 신작로가 도시로 나를 부른다. (朴爾汶, 길).

인용문에 따르면 수필의 저자에게 길은 자연현상에 그치지 않고 우 리에게 무엇을 뜻하는 즉 메시지를 담은 인간의 언어 로 다가왔다‘ ’ ‘ ’

.

그는 길 파생언어 을 배나 기차 자동차 사람이나 동물 따위가 왕래

( ) , ,

하는 통로로 인식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속에서 부름이라는 메시지를 찾아내었다 물론 누구나 길을 부름으로 인식하지는 않는다 이별 만

. . ,

남 멀다 가깝다 등 극히 다양한 메시지를 찾아낼 수 있다 그러나

, , .

길에 관한 이런 다양한 메시지들은 인간관계와 관련한 것 이별 만

( ,

),

거리에 관련한 것 멀다 가깝다 이라는 상위의 범주로 구분할 수

( , )

13) 말을 통하지 않고 행동이나 의례를 통해 의사를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인류 학적 접근으로는 한국문화인류학회 엮음, 낯선 곳에서 나를 만나다 일조각( ,

초판은 에 번역 소개된 말하지 않고 이야기하기

2007. 1998) 「 , Edward T.

Hall & Mildred Reed Hall, “The sound of silence”(Playboy, 1971) ,」 수술실 이야기, Pearl Katz, “Ritual in the operating

「room”(Ethnology, 20-4, 1981)」가 흥미롭다.

(8)

있다

.

이처럼 사람들은 하나의 파생언어 속에서 극히 다양한 메시지를 찾 아낼 수 있는데 얼핏 보면 그 메시지들은 서로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 메시지들을 찬찬히 살펴보면 몇 개의

.

상위범주로 묶을 수 있는 공통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의 파생언어

.

에서 동일한 범주로 포함되는 메시지를 찾아낸 사람들은 의사소통 과 정에서 자신들만의 독특한 정체성을 형성한다 예컨대 전통 중국사회

.

의 주민들이 일상적으로 접하였던 벼

( )

稻 라는 파생언어에는 ① 노동

,

감자 옥수수 고구마와 바꾸어야 할 것· ·

,

화폐를 입수하는 매개물

,

② ③

식량

,

상품

,

대규모 교역

,

납세

,

관개작업

,

소작료

④ ⑤ ⑥ ⑦ ⑧ ⑨

납부

,

⑩ 소작료 수취 등의 다양한 메시지가 담겨있다

.

① ② ③ ④

, , , ,

가운데서 메시지를 찾아낸다면 그는 대체로 농민으로 보

, , ,

⑦ ⑧ ⑨ ⑩

아도 무방하다 농민이라도

.

⑨를 인식하는 자는 소작농 ⑩을 받아들이 는 자는 지주일 것이다 반면

.

④ ⑤ ⑥

, ,

중의 어느 메시지를 받아들이 는 자는 상인일 가능성이 높다 농민과 상인이 벼라는 하나의 파생언

.

어에서 찾아내는 메시지가 서로 다르다 이처럼 파생언어 속에서 비슷

.

한 메시지를 찾아내는 자들은 유사한 경험의 공유자이며 이들 사이에

,

서는 의사가 소통되면서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이 발생한다

.

지역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상호작용 .

경제적 상호작용 1.

지역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상호작용의 핵심은 교역이다 교역은 시

.

장에서 모이고 흩어지는 갖가지 상품들을 통해 발생한다

.

14) 상인들이 14) 이하 각각의 상호작용이나 공간부문에서 제시하는 사례들은 다양한 성격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어느 한 부분에만 포함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다 예컨대. 정치적 공간에서 사례로 제시한 향약이나 문화적 상호작용과 문화적 공간에,

(9)

취급하는 상품은 단순한 물자가 아니라 파생언어이다 파생언어로서의

.

상품은 각각 고유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예컨대 비단이라는 상품 파

. (

생언어 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 (

갈포나 면포에 대한

)

고급의료 비싼

,

, (

피지배층과 구분되는

)

지배층의 옷감 화려함 등이라는 내용을

,

담고 있는데 이들 메시지에서 공통적으로 읽을 수 있는 속성은 천하

(

제일이라는

)

자부심이다 예컨대 사천산

.

蜀錦에 대한 자부심은 ‘奇産’ 이라는 칭호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

15) 비단의 생산과 판매를 통한 경 제적 상호작용은 전국적인 범위에서 발생하였다 생산자의 입장을 살

.

펴보면 蘇州

,

南京

,

成都 등 각 지역의 전통적인 비단생산 중심지에서 비단을 짠 織工이나 機戶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비단에 천하제일이라는 자부심을 공통적으로 담았다 또한 비단 소비자들도 그러한 생산자의

.

그런 자부심을 수용하여 자신의 것으로 공유하였다 이러한 자부심의

.

공유과정에는 비단의 생산과 소비를 연결시키면서 자부심을 매개하고 확산시키는 전달자로서의 비단상인과 공간으로서의 시장이 기능하고 있다 비단의 생산자와 소비자들은 전국적인 차원에서 천하제일 이라

. (

는 자부심의 메시지를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 .

반면 省내에서 이뤄지는 국지적인 교역을 통한 메시지의 공유현상 도 발생한다 예컨대 청말 민국연간 사천성 성도부

.

金堂縣에는 簡陽縣 의

, ,

자중현의

,

,

중경의 땔 資中縣 內江縣 白糖 氷糖 煤炭 川北 桐油

감 사홍현 간양현 봉계현의 소금 강서성의 자기

,

· ·

, ,

郫縣 什 縣· 邡 등지의 담배 등의 상품이 유입하여 판매되었다 그 가운데 금당현에서 수입한

.

담배는 최고 품질인 복건산 담배에 버금간다는 자부심이라는 郫縣産

메시지가 담겨있다 따라서 비현산 담배의 소비자들은 상품 속에 내포

.

된 으뜸이라는 메시지와 접촉하게 된다

.

과 간의 교역이든 내부의 교역이든 소비자가 파생언어에 포

省 省 省

서 사례로 제시한 신앙과 종교 활동에는 각각 경제적 문화적 측면이나 정치, , 적 경제적 측면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본고에서는 논지전개의 편의상 특히, . 가장 두드러지는 하나의 측면에 초점을 두어 사례로 언급하였다.

15) 王士性, 「西南諸省廣志繹 5(中華書局, 1981), p.107.

(10)

함된 메시지를 접하는 가장 하층의 공간은 스키너가 말하는 기층시진 이다 기층시진에는 통상 최소한의 편의

(Standard Market Town) .

시설도 있었다 이것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찻집 술집 그리고 음식점

. , ,

이외에도 한 두 가게 정도의 기름집 심지가 있는 등잔에 필요한 기름

(

을 파는 집

),

향과 초를 파는 가게 종교의식에 필요한 필수품을 파는

(

)

들이다 그리고 베틀 실과 바늘 빗자루 비누 담배 및 성냥과

. , , , ,

같은 품목을 파는 가게들이 적어도 몇 군데 있었다

...

기층시진은 농 민이 생산한 것을 필요한 물품으로 교환하는 기능을 지닌다

.”

16) 郫縣 에서 운반되어온 담배 파생언어 를 기층시장에서 접촉한 금당현의 주

( )

민들은 그 속에 내포된 중국에서 담배의 본고장인 복건산 담배와 필

(

적하는

)

‘사천에서 으뜸가는 담배 라는 메시지와 접촉한다 금당현 주’

.

민들은 이 메시지가 자신들이 지불하는 대가 화폐 에 걸맞는 것인지를

( )

저울질 한다

.

대가에 비해 메시지의 사실성을 보증할만한 품질이 뒤 따라주지 않는다면 이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청말 민국연간

.

에 금당현의 농민들은 기층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화폐를 지불하고 담배 를 소비하였으므로 사천에서 으뜸가는 담배 라는 메시지를 수용한 것‘ ’ 으로 이해할 수 있다

.

郫縣産 담배의 생산과 유통 소비라는 경제적

,

상호작용은 郫縣産 담배 파생언어 에 포함된 메시지의 전파 그리고

( ) ,

그 메시지 수용에 대한 대응행위로서 화폐 지불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 될 수 있었다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서 파생언어에 대한 메시지 공

. , ,

유와 그 대응행위로서 화폐 지불이 경제적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핵 심요소인 것이다

.

물론 파생언어에 내포된 메시지의 공유를 거부하는 경우도 일상적 으로 발생한다 성도에서 생산된 비단은 사천 내부는 물론 섬서 감

. ,

숙 운남 귀주 호남 호북 등 전국 각지로 팔려 나갔지만 유독 사천

, , , ,

북부지방에서는 판매가 침체되었다 이곳에서는 내부적으로 생산된

.

潼 의 흰 비단 ‘ ’, 의 노란 비단 ‘ ’ 등의 토착 비단

川府 川北紬 鹽亭縣 鵝溪絹

16) 스키너 지음 양필승 옮김, , 中國傳統市場 (신서원, 2000), p.51.

(11)

이 소비되었기 때문이었다

.

17) 사천북부의 토착비단은 成都産의 蜀錦 보다 품질은 나빴으나 값은 쌌기 때문에 이곳의 주민들에게서 환영받 았다 천북지역의 비단소비자들은 성도산

.

蜀錦에 포함된

(

천하제일이 라는 자부심이라는 메시지를 수용하고 그 대가로 화폐를 지불하는 행

)

위를 거부하였다 대신 이들은 토착비단인

.

‘川北紬’나 ‘鵝溪絹’에 내포 된 전국 최고의 품질은 아니지만

( )

‘우리 지방 최고 라는 메시지를 수’ 용하고 대가를 지불하였던 것이다

.

비단 담배의 경우처럼 대부분의 경제적 상호작용은 경제적 범주 내

,

에서 완성되지만 경제적 상호작용의 일부는 정치적 상호작용을 촉발

,

시키기도 한다 양귀비는 재배자들 사이에서 곤궁해소 화폐획득을 위

. ,

한 수단이라는 메시지 이외에 환각과 쾌락이라는 메시지도 담고 있다

.

특히 아편으로 가공된 이후에는 후자의 메시지가 더욱 강렬해 진다

.

아편의 소비자 역시 환각과 쾌락이라는 메시지에 동조하고 경제적 대 가를 지불하게 된다 양귀비와 아편에 담긴 환각 쾌락 메시지는 정치

. ,

권력의 개입을 촉발시킨다 군벌시대처럼 정치권력이 조세수입을 확대

.

하기 위해 양귀비와 아편의 재배와 유통을 묵인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청조나 국민정부에서처럼 양귀비의 재배와 아편으로의 가공을 불법화

,

하고 단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양귀비 재배자 아편의 생산자와 소

.

· 비자 사이에 공감된 환각과 쾌락의 메시지는 정치권력이 요구하는 권 력에의 순종 메시지와는 상충하는 측면을 품고 있다 따라서 양자는

.

팽팽한 긴장관계 속에서 정치적 상호작용을 주고받게 된다

.

이처럼 상인들이 유통시킨 상품 파생언어 과 상품에 담긴 메시지는

( )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전부 혹은 일부가 공유되거나 혹은 거부되

,

면서 이뤄지는 교역이 경제적 상호작용의 핵심이다 경제적 공간은 이

.

러한 경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실체가 뚜렷이 드러난다

.

정치적 상호작용 2.

17) 乾隆潼川府志 3, 土産, 35 .

(12)

지역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상호작용의 핵심은 국가의 지배의지를 향촌에서 수용하는가하는 여부이다 정치적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경로

.

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앙과 지방의 통속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

다른 하나는 지방에서 나타나는 자치적 차원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것 이다 중앙과 지방의 통속관계에서 발생하는 정치적 상호작용은 징세

.

나 치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징세와 치안은 국가의

.

命運을 좌우하 는 요소였으므로 明王朝는 이를 원만하게 확보하기위해 심혈을 기울였 다 이런 두 가지 정치적 상호작용은 명초 홍무 연간에 전국적으로 시

.

행된 里甲制 속에서 통합되어 나타났다 이갑제 속에는

.

甲首와 里長 강남지역에서는 도 포함 으로 이어지는 중앙과 지방의 통속

(

糧長

)

徵稅

(

의 대표적 사례

)

라인과 里老人

(

과 申明亭 旌善亭

, )

으로 대표되는 敎 지방 자치활동의 대표적 사례 라인이 이원적으로 작동하였

, ( )

化 治安

다 이런 관점에서 이해한다면

.

里甲制 역시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한 파생언어로 파악할 수 있다

.

파생언어인 이갑제를 매개로한 중앙과 지방 사이에서 발생하는 정 치적 상호작용은 이갑제의 작동원리를 통해 구체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방차원에서 산발적으로 시행되던 이갑제가 전국적 규모로 실

.

시된 때는 洪武

14 (1381)

년 이었다 이갑제의 시행방식은

.

110

호를 단위로 ② 丁糧이 많은

10

戶는 里長戶로 ③ 나머지

100

호는 甲首戶로 삼고 ④ 매년 이장

1

인과 갑수

10

인이 里의 일을 管攝하되 ⑤

10

년에 번씩 그 임무를 담당한다 이나 에 응하지 않는 호

1 .

⑥鰥寡孤獨 役

, 110

이외의 畸零戶를 둔다

.

⑦ 이런 사항은

10

년에 한번씩 작성하는 賦役 에 기록하는데 부역황책은 모두

4

부를 만들어

1

부는 에

黃冊 ⑧ 戶部

나머지는 각각 布政司 府 縣· · 에 두도록 하였다

.

18)

이갑제에는 세 가지 복합적인 성격이 내포되어 있다 첫째는

.

鄕村組 의 성격이다 여기에는 향촌사회의 질서유지 민중교화 권농 등을

. , ,

18) 栗林宣夫, 里甲制 硏究 (文理書院, 1971), pp.10-25; 川勝守, 中國封建

( , 1980), pp.45-51.

國家支配構造 東京大學出版會

(13)

통한 향촌의 관리와 지배를 위한 戶 단위 편성 조직으로서 이갑제가 강조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갑제는 국가권력의 강제에 따른 인위적

. ,

행정적 촌락이 아니라 華北과 華南에서 각각 다른 형태로 존재한 자연 촌락을 토대로 삼고 그 위 에 유력자의 존재인정 농업용수의 관개

, ,

· 배수를 위한 공동노동 산림의 공동이용 등의 공동체적 관행을 인정함

,

으로써 작동할 수 있었다 둘째

. ,

稅役制度의 성격이다 이갑제는 세량

.

의 징수와 함께 이갑의 정역과 雜泛을 부과하는 요역제도의 성격을 갖 고 있었다 명조가 전국적으로 통일된 요역제도를 정비하고 그것을 이

.

갑제의 기능에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명조는 이갑을 통해

.

稅 이나 중앙정부와 궁중의 소요물자 조달 지방정부 운영경비 조달

, ,

각종 요역의 징발할 수 있었다 셋째

. ,

自治組織의 성격이다 이때의

.

는 를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재판 교화 치안 권농 상호부

, , , ,

自治 官治

조 등을 의미한다 향촌의 질서유지에 꼭 필요하지만 국가권력이 현실

.

적으로 일일이 침투하기 어려운 부분을 里長과 里老人이 주도하여 보 완하도록 하였다

.

이러한 세 가지 복합적 성격을 주목할 때 파생언어인 이갑제에는 라는 메시지가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 , .

鄕村自律 稅役徵收 官治補助

세 가지 메시지는 당연히 국가권력 측에서 이갑제에 편제된 이장호와 갑수호에 전달되었다 세 메시지에 대해 이갑제하의 주민들은 어떻게

.

반응하였을까

?

우선 향촌자율이라는 메시지에 대한 이장호 양장 층의

( )

반응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향촌자율을 확보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

교화에는 향촌지배층이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

을 중심으로 한 의 거행 신명정 명선정에서 이장이 선행

,

·

里長 鄕飮酒禮

을 표창하고 악행을 징계하는 행사는 이갑에서 이장 층의 위상을 강화 하는 장치로 작용하기에 충분하다

.

糧長은 大土地所有者 里長

,

은 鄕居

는 내지 으로서

,

地主 甲首 自作農 自小作層 19) 현실적으로 경제적 위상 에 상당한 차이가 있고 갑수호의 이장에 대한 열세 내지 종속이 발생

19) 川勝守, 中國封建國家支配構造 , p.170.

(14)

하는 상황에서 里長은 교화를 통해 경제외적으로 새로운 권력을 장악 하게 되었다 따라서 양장호를 포함한 이장호의 입장에서는 향촌자율

.

을 거부할 이유가 없었다 갑수호의 입장에서도 이장과 이노인이 주도

.

하는 鄕村自律이 기왕에 형성되고 관습적으로 유지되던 향촌질서와 相 하거나 자신들의 생활을 위협하지 않는 한 이에 저항할 이유는 없었 衝

다 명초의 향촌자율은 유교이념에 바탕을 두고 소농민의 생활을 안정

.

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

그러나 稅役徵收 메시지에 대한 이장 양장

( )

층의 반응은 복합적이 다 이장 양장 은 세량을 징수 운반 하거나 체납분 대납을 책임지거

. ( ) ( )

나 관료와 서리 환관들의 수탈에 시달리면서 몰락하는 경우가 드물

, ,

지 않았기 때문에 세역징수에 저항하는 입장을 나타내었다 명대 중

.

기 후기에 나타난 이장 양장 층의 몰락과 역할축소·

( ) ,

朋充 현상은 세역 부담 과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20) 그러나 한편으로 세량징수를 책 임진다는 구실을 내세워 이장호에게 자신의 稅糧이나 上供物料를 떠넘 기는 불법을 자행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장 양장 은 세역징수의 메시

. ( )

지를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왜곡하여 활용한 것이다

.

21) 이장은 또 갑수들에게 稅役납부를 독촉하면서 刑具를 지참하여 때리기도 하였 는데 이는 이장의 갑수에 대한 권력을 강화시켰다 이리하여 이장과

.

갑수의 경제적 신분적 격차는 시간이 흐를수록 커졌다

, .

22) 이처럼 이 장 양장 은 세역의 징수과정에서 자신이 부담해야할 부분을 국가권력

( )

에 불법적으로 의지하여 갑수호에게 전가하는 동시에 이들을 보다 강 력하게 장악하게 되었다 이런 모순이 지속되면서 갑수호의 몰락과 이

.

산 대토지 소유자

, (

豪强

)

의 출현 특권지주층의 등장이 가속화하였다

, .

명 중기 이후에 신사층이 사회지배계층으로 등장한 하나의 원인으로 이러한 대토지소유자 특권지주층의 등장도 지적할 수 있다

, .

20) 權仁溶, 「明末 徽州 糧長制變遷」( 明淸史硏究 26, 2006).

21) 里長이나 糧長의 이러한 직권 남용현상과 폐단에 대해서는 山根幸夫, 明代

( , 1966), p.48, .59.

徭役制度展開 東京女子大學學會 p 22) 川勝守, 中國封建國家支配構造 , pp.86-88.

(15)

반면 甲首戶는 일방적으로 세역을 부담해야 하는 입장이었으므로 세역징수 메시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기는 어려웠다 세역

.

의 납부가 과중해지고 이에 더하여 이장 양장 호의 침탈 관료와 서리

( ) ,

들의 횡포가 겹치면서 갑수호는 명대 중기에 접어들면서 점차 원래의 이갑에서 도망하여 禁山區나 都市 혹은 미개발 평원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리하여 명 중기 이후 이갑의 해체가 전국적인 현상

.

으로 보편화하였다

.

23) 갑수호는 국가권력의 일방적인 세역징수 메시 지에 대해 省內外로의 이주를 통해 저항의 의사를 분명히 하였다 갑

.

수호의 이탈은 명 중기 이후 전국 도처에서 이갑제가 해체하게 되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

메시지가 분명하게 전달되는 분야는 향촌재판이었다 사법

.

官治補助

권은 국가의 권력행사를 정당화하는 수단이었으므로 향촌의 유력자들 이 국가권력의 위임을 받아 재판권을 행사하는 일은 官治補助의 전형 이라 할 수 있다 명초에는

.

敎民榜文을 통해 戶婚 田土 鬪毆

, , ,

相爭 등의 사소한 사건은 소송당사자들이 반드시 향촌의 유력자인 里長과

에게 알려 판결을 받도록 하였다 이를 어기고

.

한 자는

里老人 越訴 杖

에 처하도록 하였으며 제대로 판결하지 못해 원고나 피고가 관청으

60

로까지 가서 소란을 피우면 해당 이장과 이노인도 杖

60

에 처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향촌재판을 제도화한 국가의 의도는

.

官府에서 재판에 시시콜콜 관여하여 행정력을 탕진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려는 것이었 다 따라서 이장과 이노인의 입장에서는

.

官治補助 메시지를 수용하여 향촌재판에 참여하는 일이 제도적으로 강제된 것이었지만 이에 반발할 성질의 것은 아니었다 재판을 통해 유형무형으로 향촌에서 위상을 강

.

화하고 私的 影響力을 발휘할 여지가 충분하였기 때문이었다

.

24) 23) 吳金成, 「明末 淸初· 社會變化」(서울大學校東洋史學硏究室 編, 講座中國史

,知識産業社, 1989), pp.92-96.

24) Ⅳ明 宣德 연간에 徽州府 祁門縣에 거주하는 李阿謝 謝能靜· 李景祥 李景昌· 사이에 발생한 상속분쟁에서 이 사건의 재판을 담당한 里老人 謝尹奮이 자신 의 이해관계에 따라 분쟁을 적당히 얼버무려 버린 것이 한 사례이다[金仙憓,

하의 - 를 중심으로- ( 18,

明 前期 里甲制 訴訟處理 徽州文書 明淸史硏究

「 」

(16)

반면 이장과 이노인의 재판을 받아야하는 갑수호의 입장은 달랐다

.

원고의 입장이든 피고의 입장이든 향촌재판에서 패소하면 지방아문으 로 달려가 재차 소송을 거는 일이 점차 많아졌다 이는 이장과 이노인

.

이 주도하는 향촌재판의 판결에 대한 불신과 저항을 의미하는 것이었 다 이런 불신과 저항 때문에

.

里長과 이노인은 명대 중기 이후에는 향 촌재판의 판결자의 자리에서 내려와 원고나 피고 증인 등 재판 관련

,

자들을 지방아문으로 호송하거나 현장조사를 수행하는 보조인으로서 위상이 실추되었다

.

25) 갑수호는 이갑제의 향촌재판 집행과정에서 표 출하는 官治補助 메시지의 수용을 거부하였던 것이다

.

이처럼 명조에서 고안한 파생언어인 이갑제 속에 담긴 鄕村自律 稅

,

라는 세 가지 정치적 메시지에 대한 향촌민들의 반응

,

役徵收 官治補助

은 계층적 입장에 따라 달랐다 이장 양장 이노인층과 같이 유력자 계

.

· · 층은 세역징수와 납부 같은 의무수행은 꺼려하지만 그 집행과정에서 행해지는 권력행사에 대해서는 적극 수용하였다 반면 갑수호층은 이

.

장 양장을 통해 징수하는 세역이 점차 공정성을 상실하자 정치적 메시· 지의 수용을 적극적으로 거부하였으며 이장과 이노인 주도한 향촌재판 에 대해서도 비슷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명 중기 이후 이갑제를 통한

.

향촌지배가 파열음을 내는 이면에는 이러한 정치적 상호작용이 있었 다 갑수호를 중심으로 하는 향촌민의 저항에 부딪힌 명조는 세역부담

.

의 공평화

,

銀納化 自封投櫃

,

등의 조치를 통해 세역제도의 합리적 개 혁을 도모해야만 했다

.

문화적 상호작용 3.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적 상호작용의 전형적 형태 는 신앙이다 신앙은 국가가 공인하고 장려하는 국가제례와 주민들의

.

2003), pp.21-23].

25) 金仙憓, 「明 後期 鄕村組織變化 訴訟處理 徽州地域- 을 중심으로」( 中國 38, 2005).

史硏究

(17)

일상의 삶속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하여 전파되는 민간신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유교의례를 핵심내용으로 하는 국가제례는 국가의 지배 이데

.

올로기를 선전하고 강화한다 따라서 지배이념의 수용을 강요하는 국

.

가제례를 주목하면 문화적 상호작용은 수직적 흐름을 내포한다

.

그러나 지역주민이 생활 속에서 보다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신앙의 영역은 국가제례가 아니라 민간신앙의 영역이다 지역주민의 종교적

.

염원이 집약된 민간신앙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상호작용은 한쪽의 요구 가 다른 쪽에 강제되지 않고 주민 공통의 의사가 집약된다는 점에서 수평적 흐름이다 한편으로 민간신앙은 반란이나

.

抗租와 같이 국가권 력에 대한 저항의 움직임과 결합하는 경우에는 수직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수직적인 상호작용은 위로부터 아래로 아래로부터 위로의 양

. ,

방향이 병존한다 국가가 음사탄압을 구실로 민간신앙을 통제 탄압하

.

· 거나 반란참여자나 항조참여자들의 염원이 민간종교의 교리에 의존하

,

여 폭력적으로 국가로 전달되는 경우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

민간신앙에 지역주민들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는 강남 지방의 土神

(

파생언어 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 .

26) 인간이 신에게 가 장 강렬하게 갈구하는 바가 평안으로 집약될 수 있다면 파생언어인 강 남의 土神이 가지는 메시지 역시 주민과 지역의 平安이다 이 평안의

.

메시지는 각각의 시대와 지역에서 갈구하는 바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에 따라 다르게 표현된다

.

명대 江蘇省 蘇州府 常熟縣의 土神은 総管

,

李王 周神 猛將

, ,

이었 다 이들은 현세에서 인간이었으나 그들의 사후 어느 순간부터 지역주

.

민들 사이에서 조운을 보호하는 靈異說話의 주인공 즉 漕運의 保護神 으로 받들어졌다 이들

.

土神들에게 조운 보호신의 이미지가 형성된 계 기는 漕運의 순조로운 수행이라는 주민들의 강렬한 열망에서 찾을 수 있다 사회적 배경을 주목해 볼 때

.

常熟縣은 元末에는 강남 海運의 출 발지였고 명대에는 조운의 거점이었다 운송 도중의 좌초 도적떼의

. ,

26) 명청 시대 강남지역의 土神에 대한 논의는 濱島敦俊, 総管信仰-近世江南農

에 근거하였다

( , 2001) .

村社會 民間信仰 硏文出版社

(18)

강탈 등으로 인한 조운의 실패는 국가권력의 탄압을 초래하고 지역의 안정을 심각하게 해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이 갖는

.

焦 의 관심사는 의 임무를 어떻게 완수하는가 하는 점이었다 지역

.

眉 漕運

의 평안을 위해서는 조운이 순조로워야할 필요성을 주민들이 절실하게 공감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조운의 성패가 자신들의 능

.

력 밖의 일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리하여 주민들은

.

지역의 평안을 확보하기 위해 조운을 보호하는 신을 만들어 내게 되었 다 사망한 특정인물을

.

神으로 추숭하고 그가 조운을 보호해준 靈異說 를 조작하여 을 창조하고 그를 통해 지역의 평안을 이룩하려 했

話 土神

.

그러나 명말에 들어와 강남의 농촌사회는 중대한 변화를 겪게 되었 다

.

糧長 중심의 民運위주로 운영되던 명초 강남의 조운체제는 명중기 이후 官運의 비중이 날로 높아졌다

.

27) 이에 따라 江南 주민들의 漕運 부담이 현저히 완화되었다 동시에 조운보호에 대한 열망은 전대에 비

.

해 현저히 약해졌고 조운 보호신에 대한 기원의 강렬함도 퇴색되었다

.

이제 강남 지역주민들의 관심은 조운의 원만한 수행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적 모순 즉 일용할 양식을 어떻게 구하는가 하는 문제에 집중되었 다 명말 강남 농촌의 소농민은 쌀을 자급하지 못하고 항상적으로 쌀

.

을 구매해야 했다 이들은

.

米作 보다 수입이 나은 가내 수공업에 종사 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가내 수공업으로 입수한 화폐를 쌀과 교환

.

해야 했다 따라서 기근과 쌀값 폭등은 도시의 빈민들뿐만 아니라 농

.

민들에게도 극히 중대한 문제였다 즉 명말 강남지역 소농민들에게 쌀

.

의 안정적 확보는 자신들의 생존과 직결된 중대한 문제였다 명말 강

.

남의 지역과 주민의 평안은 쌀의 안정적 확보에 좌우되었던 것이다

.

이런 열망을 배경으로 등장한 명말 강남의 土神이 施米神이었다

.

浙江

,

의 는 으로 강남의 들

省 嘉善縣 七老爺 湖州府 金大老爺 施米神 貧民 에게 쌀을 가져다주었다는 조작된 설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신격화 27) 이에 대해서는 星斌夫, 明代漕運 硏究 (日本學術振興會, 1963), 제 장 참1

.

(19)

되었다 주민들은 지역의 평안을 위해 조운 보호신이나

.

施米神의 설화 를 조작하고 공유하면서 토신을 신격화하였다 강남의

.

土神이 형성하 는 메시지는 지역과 주민의 평안이었다 강남의 토신에게서 지역과 주

.

민의 평안이라는 메시지를 찾아내고 조작한 주역은 土神의 후손을 칭 하는 巫師

(

샤만 들이었다

) .

巫師들은 평안을 희구하는 주민들의 강렬한 염원을 등에 업고 개별 토신들의 靈異說話를 조작하고 전파하여 그들 의 폭넓은 지지를 얻었다 즉 지역의 평안이라는 메시지를 둘러싸고

.

평안의 수요자인 주민과 평안의 공급자인 토신 이들의 매개자인

,

巫師 라는 세 존재 사이에 상호작용이 이뤄짐으로써 土神 신앙이 발생하고 유지되었던 것이다

.

그러나 강남의 토신들에게 투영된 평안의 메시지는 사회적 여건에 따라서는 저항과 폭동의 메시지로 돌변하였다 그런 사례는

.

道光

26

(1846)

강소성 蘇州府 昭文縣 張市일대에서 발생한 항조폭동에서

전형적으로 드러난다 당시

.

地主들은 소작인들에게 이전에는 면제되었 던 겨울 보리 수확에 대한 소작료 소작료 연체분에 대한 할증료 소

, ,

작계약 갱신 시의 禮金을 추가로 요구하였다 소작인들은 격분하여 항

.

조에 돌입해도 좋을 것인지 総管

,

李王 周神 猛將

, ,

의 廟에 가서 신의 뜻을 물어보았다

.

巫師의 중재로 날씨가 맑으면 하늘의 도움이 있고 하다는 점괘를 얻은 소작인들은 날씨가 맑아지자 항조폭동을 일

‘大吉’

으켰다 그러나 폭동 나흘째 뇌성이 치고 비가 내렸다 소작인들은 하

. .

늘의 도움이 끝난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겨 다시 신의 뜻을 물었다

.

길하지 않다 는 신의 대답이 나오자 소작인들은 폭동을 멈추었다 강

‘ ’

.

남의 土神들은 지주와 소작인간의 갈등이 폭발하려는 순간에 소작인들 의 저항을 승인하는 답변을 폭동이 장기화하려는 조짐을 보이자 저항

,

의 중지를 암시하는 답변을 주었다

.

이처럼 파생언어인 강남의 토신들이 만들어내는 메시지는 상황에 따라 지역의 평안이 되기도 하고 저항의 합리화가 되기도 하였다 민

.

간신앙의 메시지가 이처럼 극단적으로 상반되는 이유는 신앙의 주된 숭배자인 소농민들의 삶이 극히 불안정했기 때문이다 지역의 평안과

.

(20)

저항의 합리화는 소농민의 불안정한 삶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점에서는 동등하다 다만 그 노력의 표출양상이 평화적인가 폭력적인

. ,

가의 차이이지만 저항 폭력 도 극단적인 것이 아니라

( )

土神에 통제된다 는 점에서 지역의 평안이라는 메시지와 완전히 상반된 것은 아니다

.

그러나 지방관의 입장에서는 농민들이 행사하는 그런 폭력을 결코 수수방관할 수 없었다

.

蘇州知府는 昭文縣 張市의 항조폭동이 수그러 들자 昭文縣의 総管

,

李王 周神 猛將

, ,

의 神像을 체포하여 일년 동안 에 감금하였다 저승의 행정관인 성황에게 토신의 처벌을 맡

.

縣城隍廟

긴 것이다 이 사건은 국가가 민간신앙을 국가제례의 테두리 속에서

.

통제했음을 나타낸다

.

. 공간의 多層性

경제적 공간 1.

경제적 공간의 형태와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는 생산지의 생산 자와 소비지의 소비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교역이라는 상호작용이다

.

교역은 수요와 공급의 크기 유통로와 유통수단의 정황 정치적 안정

, ,

여부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좌우된다 식량과 소금은 청대 상품시장

.

에서 거래된 액수가 각각

1

위와

3

위의 재화이다

.

28) 兩者는 대규모이 면서도 일상적으로 거래된 품목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米穀과 소금의 교역을 추적하여 경제적 공간의 형태와 성격을 파악하는 일은 가능하 다 여기서는 특히 청대 전기에 중국의

.

穀倉으로 기능한 사천의 米穀

28) 許滌新 吳承明主編· , 中國資本主義發展史 第一卷 中國資本主義的萌芽 人民(

참조 위는

, 1985), p.282 < 4-1, > . 2

出版社 鴉片戰爭前主要商品市場估計

면포이다 거래금액상으로. 1위를 차지한 식량이 곧 미곡은 아니고 잡곡도 포 함되어 있다 그러나 거래된 식량의 주요한 부분이 미곡임이 분명하고 또 논. 의의 편의상 본고에서는 미곡거래만을 언급하기로 한다.

(21)

그리고 생산과 소비가 자체적으로 이뤄진 사천의 소금을 대상으로 경 제적 공간의 형태와 성격 문제에 접근해 보기로 한다

.

청대 사천의 미곡교역으로 형성된 경제적 공간의 형태와 성격에 결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省 內外에서 요청된 수요였다 청초 전후 복

.

구 단계에서 사천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고 이 지역을 전국적 시장망 속에 편입될 수 있도록 자극한 원동력은 省 외부에서 지속된 대량의 미곡수요였다 청초 옹정연간 사천의 미곡시장에는

.

地曠人稀와 粗放農

으로 인해 산출된 잉여미가 밖으로 대량 유출되었다

.

業 省 29) 당시 漢

로 집산되어

,

지방으로 유입한 미곡은 연간

1,000

만석 정

口 江蘇 浙江

도였는데 그 가운데

100~200

만석 정도가 四川米 였다

.

30) 청초의 사 천 미곡시장은 중국 전체의 미곡 수요를 충족시키는 省外유출 위주의 시장으로 자리매김하였던 것이다 특히

. 1

호당 경지면적은 토질이 비옥 한 成都府나 重慶府 일대에서는

130

餘畝 虁州府 濾州

, , ,

邛州 등지는

에 달하였는데 이 지역이 바로 사천의 지대였다

60~90

餘畝

,

穀倉

.

31)

그밖의 지역들은 대부분 자급자족하거나 소량의 미곡을 외부로 유출하 였다

.

주로 岷江

,

沱江

,

涪江 嘉陵江

,

水系를 통해 미곡을 수집한 重慶에 서는 揚子江 水路를 통해 호북의 漢口로 미곡을 유출하였다 미곡유통

.

의 과정에서 개별적인 미곡상인이 활동하기도 했지만 중국전체의 미곡

29) 全漢昇 王業鍵· , 「淸雍正年間(1723-1735)的米價」( 中央硏究院歷史語言硏究

30, 1959)[ 2, , 1972

所集刊 全漢昇 中國經濟史論叢 中文大學新亞書院 再收]; 安部健夫, 「米穀需給硏究- 雍正史 一章としてみた- (」 東洋史硏

15-4, 1957)[ , , , 1971 ,

同氏 淸代史 硏究 創文社 東洋史硏究會編

, , 1986 ].

雍正時代硏究 同朋舍 再收

30) Chuan, Han-sheng(全漢昇) & Krauss, R. A., Mid-Ching Rice Markets and Trade : An Essay in Price History(淸中葉的米糧市場與

)(Harvard Univ. Press, 1975), p.70.

貿易

31) 이준갑, 중국사천사회연구 1644-1911 : 개발과 지역질서 서울대학교출판( , 2002), pp.147-148 < 1-3-4> 청초의 경지면적변화 참조; 安部健夫,

- - ( ,

米穀需給硏究 雍正史 一章としてみた 雍正時代硏究 原載 東洋史

「 」

15-4, 1957), p.156.

硏究

(22)

수급을 염두에 둔 황제 지방관이 개입하는

,

採買도 성행했다

.

漢口로 유출된 四川米는 양자강 수로를 따라 내려가서 강소성 절강성 등지로

,

중계되었다

.

32) 청초 사천은 호남 호북과 더불어 거대한 수요를 지닌

, ,

양자강 하류지역으로 미곡을 공급하는 중국의 곡창으로 기능하였다

.

그러나 건륭후반기 즉

18

세기 말에 접어들면서 사천 倉穀의 他省 유출과 군량미를 보급하는 간헐적인 사례를 제외하면 청초처럼 상인들 의 자발적 참여로 인한 사천미의 대량유출 현상은 확인되지 않는다

.

건륭 말 가경연간에 사천인구의 급격한 증가 상품작물과 양귀비 재배

,

지의 곡물경작지와의 경쟁으로 사천산 미곡은 주로 사천의 미곡수요를 충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천 미곡시장은 점차 수로를 중심으로

.

몇 개의 州縣이 하나의 단위가 된 국지적 교역망으로 구성된 內需市場 으로 전환하였고 청말 민국연간에는 이런 특성이 고착화하였다

.

33)

청초 사천 최대의 미곡교역권으로서 사천과 호북의 미곡시장을 연 결하던 重慶

-

漢口 사이의 揚子江水路는 청대 후반기 이후 점차 기능이 축소되고 성격도 변화하였다 청말 민국연간의 양자강수로는 중경부의

.

강진현 영천현 충현 대족현 파현 서주부의 의빈현 남계현 부순

, , , , , , ,

현 등지에서 생산한 미곡을 거대도시로 성장한 重慶과 그 배후 도시에 공급하는 유통로로서 변질되었다

.

반면 成都를 중심으로 하는 岷江水系는 청말 민국연간에 사천 최대 의 미곡교역권으로 떠올랐다 민강수계의 미곡교역권에는

.

成都라는 사 천 최대의 미곡 소비시장이 존재하였으므로 인접한 雙流縣 新繁縣

, ,

등지에서 생산한 미곡이 흘러들어왔다 인접한 공급

, .

新都縣 蒲江縣

지 조밀한 교역망에도 불구하고 민강수계의 미곡공급분만으로 성도에

,

32) 蔣建平, 淸代前期米穀貿易硏究(北京大學出版社, 1992), pp.71-72; 謝放,

( · ,

農村商品經濟的發展與經濟結構的變動 彭朝貴王炎 主編 淸代四川農村社會

「 」

, , 2001) pp.137-144; , -

經濟史 天地出版社 安部健夫米穀需給硏究 雍正 - , pp.180-187.

一章としてみた

33) 李俊甲, 「淸末 民國年間- 四川 米穀市場 構造 性格」( 明淸史硏究 13, 청말 사천의 아편재배 정황에 대해서는

2000). 劉光弟, 「南旋記」(劉光弟集編

, ( , 1986), p.110.

輯組 劉光弟集 中華書局

(23)

밀집한 인구를 부양할 수가 없었다 이에

.

沱江水系의 미곡교역권인 簡 에서 미곡의 극히 일부분 민국연간에

( 5,000

정도 을 공급

)

陽縣 年間 擔

받아 수요를 충족시켰다 민강수계의 거대한 미곡수요는 극히 일부분

.

이지만 타강수계의 미곡교역권에서 유통되는 미곡을 흡수할 정도로 강 력한 흡인력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

한편으로 沱江수계의 미곡교역권은 涪江水系에 형성된 미곡교역권 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그 이유는 첫째 교역로의 문제 때문이었

.

.

涪江水系에 위치한 安岳縣의 미곡은 같은 수계의 合川縣으로 유출 되었지만 沱江水系의 資陽縣과 內江縣으로도 공급되었다 안악현은

.

涪 에 접하지 않고 인 를 통해서 인 으로 나갈 수

江 支流 安居河 本流 涪江

있었다 수로상의 불편함과는 달리 육로로는 자양현으로 직통하는 길

.

이 뚫려 있었다

.

34) 이 길을 통해 타강수계의 미곡교역권은 부강수계 의 미곡교역권과 연결되었다 둘째는 타강수계에 형성된 미곡교역권이

.

가진 한계 때문이었다 타강수계의 미곡유출지는 상류지역에 국한되었

.

고 미곡의 산출량도 적었다 따라서 타강 중하류지역에서 필요한 미곡

.

의 부족분은 상대적으로 산출량이 풍부했던 부강수계의 미곡교역권인 안악현에서 공급받아야 했다 이처럼

.

沱江水系의 서쪽으로는 成都를 중심으로 하는 岷江水系의 거대 미곡교역권이 존재하였고 동쪽으로는 의 또 다른 거대 미곡교역권이 작동하였다 결국 두개의 거대

.

涪江水系

미곡교역권 사이에 끼어 이들에 종속된 沱江水系의 미곡교역권은 위축 될 수밖에 없었다

.

이처럼 사천의 미곡교역권은 청초

(18

세기초~중반 와 청말 민국연간

) - (19

세기중반~

20

세기 이라는

) 100

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성격이 변질 되었다 청초 사천에서 행해진 미곡교역의 주된 유통로는 중경과 한구

.

사이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

內需市場으로 전환하는 청말 민국연간에는 성도평원을 중심으로 하는 岷江水系

,

민강의 동쪽에 위치한 沱江水系

,

타강의 동쪽에 위치하며 사천 북부에서 동부로 흐르는 涪江水系

,

부강 34) 民國資陽縣志稿( 中國地方志集成 本 巴蜀書社, , 1992 影印本) 2,

, p.43.

(24)

의 동쪽에 위치한 嘉陵江水系

,

중경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揚子江水系 등 사천의 주요 水系로 미곡교역권이 분화하였다 사천각 지역의 발전

.

에 따른 내부적 미곡수요의 증가로 경제적 공간이 규모와 성격상에 차 이는 있으나 각각의 水系를 따라 세분화 하였던 것이다

.

세분화한 사천 내부의 미곡교역권은 斗載商의 교역활동으로 유지되 었다 청초에

.

省의 경계를 넘어 교역하던 장거리 미곡상인들은 사천 미곡시장이 내수시장으로 전환하면서 입지가 축소되었다 대신 사천

.

내의 미곡공급지와 수요지를 연결하는 중단거리 미곡상인들이 많이 등 장했는데 이들이 바로 斗載商이었다 이들은 각

.

水系의 미곡교역권 내 부에서 활동하기도 하고 각 교역권을 연결하기도 하였다

.

沱江과 揚子 의 에 위치한 의 들은 미곡을 양자강 수계 江 合流處 濾縣 斗載商 濾縣産

의 重慶과 萬縣으로 가서 팔거나 여의치 않을 때는 타강 수계를 거슬 러 올라가 資陽縣이나 內江縣에서 판매하였다

.

涪江과 嘉陵江의 합류 지점에 위치한 合川縣의 두재상들은 자신이 속한 수계를 넘어 양자강 수계의 涪州

,

酆都縣 萬縣 虁州

, ,

등지로 진출하여 미곡을 판매하였 다

.

35)

그러나 미곡시장과는 달리 사천 소금시장의 형태와 성격에 결정적 인 영향을 미친 것은 省 內外의 수요가 아니라 시장에 개입한 淸朝 權 이었다 청조 권력은 다른

.

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천에서도 국가

力 鹽場

가 소금의 생산과 소비에 직접 개입하는 專賣制度를 시행하였다 특히

.

소금상인들에게 소금의 판매지를 어떻게 분할해주느냐 하는 문제는 소 금세 징수와 직결된 소금 전매제도의 핵심 문제였다 사천의 염상들

, .

이 井鹽을 생산하려면 지하 심층부를 관통하는 鹽井을 굴착하고 鹽水 를 퍼 올리고 끓여 소금을 만드는 공정에 대규모의 자본을 투자해야 했다

.

36) 따라서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염상들에게 어떻게 소금 판매 지를 적절하게 마련해주느냐가 鹽政 운영의 관건이었기 때문이다 청

.

35) 斗載商의 활동과 성격에 대해서는 李俊甲, 「淸末 民國年間- 四川 米穀市場

( 13, 2000), pp.98-103 참조.

構造 性格明淸史硏究

36) 李俊甲, 「四川 鹽商 胡愼怡堂鹽業經營保産’」( 中國史硏究 6, 1999).

(25)

조는 四川鹽商들에게 專賣商人의 지위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주고 鹽商 은 염세납부를 이행하는 경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천 소금시장의 공 간적 형태가 결정되었다

.

결과적으로 청조가 구획한 소금시장의 형태는 水系를 따라 형성된 미곡시장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띠게 되었다 청말 사천의

. 5

대 소금 생산지는 岷江水系의 犍爲鹽廠 沱江水系

,

의 富順鹽廠 涪江水系

,

의 射 과

,

의 이었다 소금의 운송비용

. ,

洪鹽廠 蓬溪鹽廠 嘉陵江水系 南部鹽廠

운송시간 도난과 사고 발생의 빈도와 같은 효율성과 안전성을 고려하 면 건위염창은 민강수계의 판매지 부순염창은 타강수계의 판매지 사

, ,

홍염창과 봉계염창은 부강수계의 판매지 남부염창은 가릉강수계의 판

,

매지와 연결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하지만 실제로 구획된 소금의 생산

.

지와 판매지는

< 1>

표 과 같이 수계의 범위를 훨씬 초월하였다

.

生産地

판매지

岷江水系 沱江 水系

涪江 水系

嘉陵江 水系

揚子江水系

· 渠 江 巴江

· 水系 敍州 濾州圈 (·

) 合流處

( )

巴 縣

(嘉陵江 ) 流處

犍 爲 鹽 (민강 수계)

성 도 쌍 류 온, , 강 신번 신도, , , 비 현 관 현 팽, , 현 숭경 신진, , , 아 안 명 산 영, , 경 노산 천전, , , 청 계 아 변 홍, ,

벽산, 정원

의빈 경부 남, , 계 장 녕 고, , 현 균 련 흥, , 문 병 산 서, , 영 뇌파,

파현 강북 장, ,

수 남천 부주, , 광안 대죽, , 린수

富 順 鹽 (타강 수계)

자 주 영,

창 융창, 벽산 합강 여주 납, , 계 서영 영녕, ,

파현 강북 강, , 진 영 천 기, , 강 부주, , 射 洪 鹽

(부강 수계)

성 도 비 현 숭, ,

한 주 십, 방 면죽, , 덕 양 나,

합주 파현 장수 벽, ,

산 기강 부주, , 광안 린수, , 달현 태평, 수녕 합 주 동, 파현 강북 장, , 광안 린수, ,

< 2표 > 청말 사천의 대 소금 생산지와 판매지5

Gambar

표 에 나타난 소금시장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Referensi

Dokumen terkait

‘天變不足畏’ 발언과 春秋 ‘斷爛朝報說’이 실 제로 왕안석의 입으로부터 나온 것인지의 진위 문제는 여전히 논란으 로 남아 있지만, 더 중요한 점은 災異說 자체가 정치적으로 본래의 의 미를 왜곡시키거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주관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Ⅴ.맺음말 災異는 자연재해나 천재지변이라는 현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