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과 唐朝 官僚 處遇改善
贓罪 處罰 嚴格化
( )
任 大 熙 慶北大
. 序 言
Ⅰ
가 끝난 뒤에 새로운
,
가 할 무렵인 에則天 時代 體制 定着 睿宗 時期
감나무에 새로운 싹이 돋아났다고 大赦를 實施하였다
.
1) 그 赦文2) 가 운데,
官典受贓한 사람을 特別히 放免하는 措置를 取하고 있다.
景雲의 이 조치에서 를 사형을 면제하고
2(711)
年 謀殺、劫杀
、造伪
頭首 嶺으로 하는 것으로 그치고 있는 것도 특이한 사례라고 할 수 있 南 配流
겠다 그런데
. ,
官典3)受贓에 關聯된 內容은 이 때에 처음으로 登場하고 1)八月乙卯 詔以興聖寺是高祖舊宅, ,有 樹 天授中枯死 至是重生柿 , , ,大赦天下. 其謀殺、劫殺 造、 偽頭首並免死配流嶺南,官典受贓者特從放免 天下大. 酺三日. ( 舊唐書 卷七,「睿宗本紀 景雲」 2年條)2) 赦文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로서는 禹成旼,「당대 사문(赦文)의 변화에 관하여 공문서상 표현된 지위변화를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그리고
- (公文書上) - (」 38), ,
와 관련해서는 , “ ” ( 2006-1) 唐後期 魏斌 「伏准赦文与晚唐行政 作运 」 中 史国 研究
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3) 여기에서 “官典”이라고 하는 것은 長官․通判官判官 官․ (“ ”)과 主典 典(“ ”)으로 되는 4等官을 가리키는 것이다(陳俊强, 皇恩浩蕩 皇帝統治的另一面; , 五南,
.序 言
Ⅰ
.唐代의官僚 俸祿
Ⅱ
의 과 그
.官僚 受贓 處理
Ⅲ .結 語
Ⅳ
있다 아예 특별히
.
放免하도록 하는 것은 이후에는 거의 찾아보기 힘 든 사례에 속한다 이.
時點에는 아직 이러한 違反행위는 너그럽게 容 하는 것이 나았겠으나 그 이후에는 점차로,
높게 하려는 의恕 强度 處罰
지를 보이게 된다 그 이듬해
. (712 ) 4
년 月의 詔書4)에서 官典主司가 枉 한 경우에 우선100
대로 하라는 를 내리고 있다.
法受贓 杖刑 處刑 指示
이와 같이
712
년의 時點에서는 처음으로 “官典主司로서 枉法하여 受贓 한 것이 一匹 이상이면 우선 장형,100
대로 처단하라 라고 하듯이”,
受에 해서 하게 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앞뒤
.
에贓 關聯 嚴格 處罰 時期 頻
히 이 되고 있다는 점으로 볼 때에 이
,
에서야 이 를繁 論難 時點 問題
하게 하기 했던 것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
深刻 規制 始作규정상에서 枉法受贓을 처벌하도록 되어있는 것은 매우 오래되었다
.
시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뇌물을 받고 법을 어긴
(
受 枉法賕)
관리 관의 재물을 관리하는 직책에 있,
으면서 도둑질한 관리 이미 판결을 받고,
罪名이 정해진 뒤에 다시금笞刑에 상당하는 죄를 범한 자는 모두棄市로 한다.”
5)(
漢書 「刑法志」)
라고 “受 枉法賕 ”을 저지른 경우에 棄市하라는 규정이 눈에 띄며
,
晋2005, p.270參照).
4)下夏四月辛丑制曰 朕聞措刑由於用刑,“ ,去殺存乎必殺 明罰峻典 自古而然 立制. , . 齊人 於是乎在 自我朝建國 僅將百年, . , ,天下和平,其來已久.往承隋季,守法 頗專 比襲時安 持綱日緩 況朕薄德; , . ,甚莫逮先 惟人難理 遠不如昔; , .粵從守 位 三載于茲 庶務煩勞 不損晷景, , , .嘗謂自我作則,感而成化 痛乎迷俗忘返; , 不威罔懲 將至純風 先歸重典 比者. , . 贓賄不息 渝濫公行 放心未寧 禁犯無, , , 懼.此焉暫革,期於承平 遂割小慈 以崇大體 自今已後 造, , . , 偽頭首者斬 仍沒, 一房資財,同用廕者並停奪 非頭首者絞 其承前造 人 限十日內首使盡. . 偽 , .官典 主司枉法受贓一匹已上 先決杖一百, .其緣贓及惡狀被解及與替者 非選時不得輒,
. 入京城 縱家貫在京. ,不得輒至朝堂,妄有披訴 如有此色 並決杖仍加貶斥. , 其 先在京城者 限三日內勒還 上下官僚輒緣私情相囑者, . ,其受囑人宜封狀奏聞. 成器已下 朕自決罰, .其餘王公已下 並解見任官, ,三五年間不須齒錄.其進狀
.
人別加褒賞 御史宜令分察諸司. ”( 舊唐書 卷七,「睿宗本紀 景雲」 3年條) 5) “及吏坐受 枉法 守縣官財物而卽盜之 已論命復有笞罪者賕 , , , 皆棄市” 이 부분의
번역문은 임병덕,「 漢書 「刑法志」역주」( 中國史硏究 10, 2000)의 도움을 받 았다.
에도 이라는 이 하고 있다
.
書 「刑法志」 受財枉法 槪念 出現의 에는 이나 이 있고
,
에는 이舊來 盜律 受所監 受財枉法 雜律 仮借不廉
있다
.
令乙에는 呵人受錢이 있고,
科에는使者驗賂이 있었다 이와 같은 내.
용은 서로 비슷하므로 이를 분리하여 請 律賕 로 한다. (
晋書 「刑法志」)
6)이 부분에서는 受財枉法뿐 아니라 그밖에 달리 부정한 수단으로 돈
,
을 방법을 서술해 놓은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사안들을 규제하려는.
의도였으리라 그러나 이. ,
段階에서는 아직 그러한 規定만이 있었을 뿐 이,
條項이 具體的으로 機能하였다고 보기에는 힘든 점이 있었다.
는 물론 의 단계에서는 아직 인 이나 이, ,
勿論 漢代 晉代 正常的 月給 年奉
라는 形態만으로 官僚들의 生活이 充分히 保障되었다고는 할 수 없었 으므로
,
規定上으로는 規制하도록 設定해 두었으나,
實際로는 具體的으 로 統制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 이후에 북위 시대에 들어와서야 祿制가 實施되게 된다 따라서
. ,
실제적으로 그 이전에는 관료들에 대한 祿制가 전혀 마련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지기도 한다.
율에 다음과 같이 규정되어 있다 왕법
.
“(
枉法) 10 ,
은 필 의장(
義贓)
7)은 백2
필이면 대벽(
大辟:
사형 에 처한다) .” (
太和)8(484)
년이 되어 처음으로 녹제(
祿를 반포하여
) ,
制 8) 고쳐서 의장은 필 왕법은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모두 사
1 ,
형으로 정하였다 이 해 가을에 사자를 보내어 천하를 순행시켜 지방 장관. ( )
6) “盜律有受所監受財枉法 雜律有假借不廉 令乙有呵人受錢, , ,科有使者驗賂,其 이 부분의 번역문은 임병덕
.” ,
事相類,故分 請 律為 賕 「 晉書 「刑法志」역주Ⅱ」 중국사연구 의 도움을 받았다
( 28, 2004) .
7) 通典 권164 및 資治通鑑 권136,齊紀2,武帝 永明2 9년 월조에는 모두「 로 되어 있다 그리고. “ ”에 대하여 호삼성은 사람이 사사로운“
義贓二十匹」 義贓
정을 가지고 서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빌어 취하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또 받. 은 바를 헤아려 贓物로 논죄한다 고 주기하고 있다 혹은 또” . “義贓”이란 당률 에서 말하는 不枉法의贓을 말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8) 위서 고조기 태화 년 월의 조서에 의하면 주례 의, 8 6 ‘食祿의典’이나 한대 의 ‘受俸의 秩’을 모방하여 처음으로 봉록를 반포했다고 한다 북위는 고조 때. 가 되어 처음 이 제도를 시행하였고 시행 뒤에, 贓은 엄벌로 다스리려고 하였 으나 현실적으로는 곧 완화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들의 불법을 규찰토록 하니
, (
그 결과 장물죄로 사형으로 된 자가) 40
여 명 이었다 녹을 먹는 관리들이 두려워하고 몸을 사리게 되어 뇌물을 써서 부탁.
하는 길이 거의 끊어졌다 황제는 뭇 재판을 불쌍히 여겨서 관리가 상주하여.
의견을 물으면 대개 죄를 감면하거나 용서하는 쪽에 따랐다. (
그리하여 생)
명을 온전히 하여 변경으로 천사된 자가 매년 천으로 헤아릴 정도였다 경사.
에서 사형의 판결을 내리는 것이 년 동안에 건
(
京師) 1 56
․ 9)에 지나지 않았 고, (
지방의 주나 진 등의 그것도 역시 적게 되었다) .
10)(
魏書 卷111,
「刑)
罰志」의 가 된 에도 과는 달리 이에 대한
北魏 時代 祿制 實施 以後 規定 團
은 그다지 쉽지 않았던 것이었으리라 그렇다면 관료들의
. ,
에 대束 受贓
한 규제는 관료들에 대한 最小限度라도 給料가 지불되도록 조치가 있 은 연후에야 가능하였을 것이다 그러한 시점이 바로 위의
.
景雲년간에 앞선 어느 시점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
唐代 初가 지나서 가 많이 늘어나게 되자
,
등의 로 그들에期 官僚 月俸 形態 對
한 生活保障도 어느 程度 整備되어 가고 있는 바탕위에서 한편으로는
,
인 을 하려고 했을 이 있었을 것이라고 할非正常的 收入 遮斷 可能性 假定
수 있겠다 이러한
.
假定을 입증하려면 우선 이 시기 이전에는 관료들,
에 대한 俸祿이 제대로 확보되지 못 하였으며 이 시기를 전후해서,
俸 이 어느 정도 생활에 충족될 만큼 지급되고 있었다는 점이 증명되어 祿야 할 것이고 그에 따라서 관료들의
,
受贓에 대해서 엄격하게 처벌하 고 있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증명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무측천 시대에 관료들을 포섭하기 위한 정책이 여러 가지
,
있었을 것인데도 불구하고 관료들에 대한 처우 개선에 관한 자료가,
전혀 남아있지 않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관료들에 대해서 어떠한 배.
9)「五十」으로 된 판본도 있다.
10) ,律 「枉法十匹 義贓二百匹大辟, .」至八年,始班祿制,更定义赃一匹 枉法無多, 少皆死 是秋遣使者巡行天下. ,糾守宰之不法 坐贓死者四十餘人 食祿者跼, . 蹐, 謁之路殆 .帝哀矜庶獄 至於奏讞 率從降恕 全命徙邊 歲以千計 京師決, , , , .
賕 絕
년 이
( 111, ) 8 (484) .
死獄 歲竟不過五六 州 亦簡, , 鎮 . 魏書 卷 「刑罰志」 太和 條 부분의 번역문은 전영섭, 「 위서(魏書) 「형벌지(刑罰志)」 역주」( 중국사연구
의 도움을 받았다
11, 2000) .
려를 했었는지 이 문제만을 검토할 수 있는 사료가 거의 없는 셈이므
,
로 기존의,
月俸에 대한 연구들을 이용하여 이 시기의 전체적인 재정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 가운데에서 관료들의.
報酬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흐름 속에서 이 시점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報酬의 變化에 바탕하여 어긋나게 행동,
하는 官僚에 대한 규제를 가능하게 되었을 것이며,
官僚들의 贓罪를 히 하게 되었을 것이다 재정. ( )
상황이 호전( )
되어갔다嚴格 制裁 財政 好轉
는 社會의 轉型이 한편으로는 관료들이 지켜야할 도리를 지키도록 강 력하게 요구할 수 있는 규제 강화를 이끌어 내었으며 이러한
,
法律의 은 바로 사회적인 바탕이 성숙하였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고 생각 變革되어진다 구체적인 규제사항이 어떠한 것이었는지 법률적인 검토에
.
대해서는 이미 여러 연구11)가 있으므로 본고의 언급 대상으로 삼지는,
않겠다.
. 唐代 의 官僚 俸祿
Ⅱ
에 들이 지배하던 에는 주로 유목이나 전쟁을
唐以前 鮮卑族 北魏時期
통해서 絹綿이나 牲畜
,
또는 捕虜 生口( )
를 얻은 것을 부정기적으로 賞 하는 방식으로 관료들은 보상을 받았다 따라서 아직 정기적인. ,
賜 俸祿
는 없었던 셈이다
.
효문제 시기를 전후하여 시행된 에制 北魏 漢化政策
서 점차
9
품에 따라서 俸祿을 지급하려는 祿制를 試圖하였다고 보면 될 것이다 그 이후에.
北齊 北周․ 를 거쳐서,
隋初에 이르면서 봉록으로 서 穀綿등을 지불하므로서 實物 俸祿制가 실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가 시작되자 관료들에 대한,
를 의 규정대로 실시唐王朝 處遇 隋王朝
하게 된다 그런데 새로운 왕조가 창건되기는 하였지만 아직 재정적
. , ,
11) 彭炳金, 唐代官吏職務犯罪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임대희, 「중국 고대 관료의 수회죄(收賄罪)에 대한 규정과 적용 사례」( 법학논고 26, 2007).12) 黃惠賢 陳鋒․ , 中國俸祿制度史 武漢大學出版社( , 2005, 修訂版 參照) .
으로 어려움이 많아서 관료
,
俸料에 대한 財源마련에 애로가 많았다.
( 55, 5), ( 50, 1),
新唐書 卷 「食貨志」 冊府元龜 卷 「邦計部 俸祿․ 」 通典
( 35,
卷 「職官」17,
祿秩),
唐會要( 93,
卷 「諸司諸色本錢 上」)
등을 종합하면 당초기의 관료에 대한
,
處遇는 다음과 같이 파악된다.
즉 이들 자료에는
, ,
武德元年의 文武官의 給祿을1
品에서부터9
品까 지 羅列하고 있다 모두.
每年 支給하였으나 外官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았다 그.
實效性에 대해서는 疑問이 많다 그리고 그.
以外의 軍府나 에 이르기까지 을 한 를 모두 하고 있다 그.
地方官 職分田 支給 規模 羅列
러나 이 때에는 아직
,
全國이 統一되지 않은 狀態이었으므로 어느 程 로 으로 했는지에 대해서는 할 가 있을 것이다.
度 實質的 機能 檢討 必要
초년에도 이 하였던 것을 볼 수 있는데
,
이 없으면,
貞觀 財政 窮乏 粟 鹽
으로써 祿으로 삼으라는 指示가 내려질 程度이었던 것이다
.
의 의 에는 세가지 이 있었는데
,
과,
그리고唐初 京官 所得 錢物 俸 料
등의 로 나눌 수 있다 그 가운데
.
과 등은 에防閣․庶僕 課 俸 防閣 本品
따라서 支給하며
,
月料는 各司에서 職事品으로 人員의 多少에 따라 나 눈다.
俸은 국가의 庸租를 利用하여 지급되었고,
防閣등의 課는 백성들品級 正從 1품 2품 3품 4품 5품 6품 7품 8품 9품 出處 隋代 正 900 700 500 300 200 100 80 60 無 隋書
권28,「百官志」 從 800 600 400 250 150 90 70 50 無
武德 元年
正 700 500 400 300 200 100 80 60 40 唐會要 권90 從 600 460 360 260 160 90 70 50 30
貞觀 年間
正 700 500 400 300 200 100 80 67 57 通典 권35 從 600 460 360 260 160 90 70 62 52
開元 年間
正 700 500 400 300 200 100 80 67 57 唐六典 권3 從 600 400 360 260 160 90 70 62 52
天寶 祿令
正 500 400 330(?) 200 100 80 60 55
(?) 敦煌出土 唐天寶令式表 從 460 360 260 160 90 70 55 50
< 1>
표 京官 俸祿 標準 單位 石( ; )
의 色役으로써 提供되었으며
,
月料는 各司의 公廨本錢으로써 提供되었 다.
이것이 貞觀12
년 以前의 京官의 俸 料․ ․課를 供給한 정황이었 다.
13)그후
,
貞觀12
年에 京官의 俸 料 制度․ 에 變化가 생겨난다.
月料 部分 에서 變化하게 되는데,
京官의 月料를 채우던 公廨本錢 部分을 胥士의로 하게 된 것이다
.
課 代替 14) 그러나
,
貞觀15
년에는 다시公廨本钱을 설 치하여 捉 令史钱 로 하여금 이를 管理하도록 하였다.
15) 그러나 이 시점,
에서의 조치에 대해서,
褚遂良이 上疏한 내용을 받아들여서 “太宗乃罷 라고 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 다시 이,
”,
捉錢令史 復詔給百官俸
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이 시점에서는 새로운
. ,
조치를 시행하고자 했으나 곧 바로 취하하여 捉錢令史를 폐지하고 다 시금 百官들에게 俸을 주도록 지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 다 그리고. ,
貞觀22
년에는 京畿地域의 各 官廳에 限定하여 公廨本錢을 두었으나,
永徽元年에 廢止하고 天下의 租와 脚直으로 京官들의 俸料 로 삼게하였다.
16)에 따르면 이 시점 에서의 관료의
55 , ( - 3 )
新唐書 卷 永徽元年 儀鳳 年 대우는 아래의 표와 같이 나와 있다
.
13) 李錦綉, 唐代財政史稿(上卷) 3第 分冊 北京大學出版社( , 1995), p.832.
14) 각 官廳의公廨本錢을廢止하고 天下의上戶를 胥士로 삼아서 그課를 거두 어서 이를 지불하였다.
15)刘玉峰,「唐代公廨本 制的几钱 个问题」 ( 史 月刊学 2002-5).胥士방식으로 거 둘 수 있는 金額이公廨의收益보다도 12740貫이나 부족하였기 때문이다. 16) 新唐書 卷55.
( )貫 1品 2品 3品 4品 5品 6品 7品 8品 9品 月俸 乾封 8 6.5 5.1 3.5 3 2 1.75 1.3 1.05
24
開元 年 8 6 5 4.5 3 2.3 1.75 1.3 1.05
< 2>
표 京官 俸料錢 統計, ( 1982-2)및 ,
守 唐代官吏的俸料 晋 刊 陳明光
阎 诚 「 钱」 阳学
( , 1991) . ;
唐代財政史新編 中國財政經濟出版社 參照 單位 貫
부터는 에게 등의 을
3(678)
儀鳳 年 百官 防閤
庻
僕 邑士 仗身 勞動力 提 하므로서,
供 17) 現物 代身으로 삼게 하였다
.
光宅元年 이후에는 職事 白 등을 에 따라서 해 주기도 하였다 또한.
에서의直 執衣 官品 割當 州縣
에 대한 이자는
7/10
이나 받았다고 하며 그 폐해가 몹시 컸,
公廨本錢던 것으로 보여진다
.
開元10
年이 되어서 전국의 公廨本錢을 폐지하고 다시금 戶에 稅를 부과했으나,
開元18
년이 되자 다시금 京官에게는 職을 주고 에게는 을 두도록 하게 된다 그 뒤에도
.
田 外官 公廨本錢 開元
년과 년에 계속적으로 후속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이후에
19
開元24 .
安의 난을 거쳐서 에 이르면 으로 어려워지게 되지만 관
,
史 唐後期 財政的
료들에 대한 처우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었다
.
이와 같이 制度的으로 자꾸 變化하고 있다는 점은 아직 財政的인 이 그리 넉넉하지 않았다는 점을 이야기해 주는 것이다 물론 정
. ,
基盤부의 입장으로서는 관료들에 대한 處遇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소
,
홀하게 처리하였을 수 없으며 또한 여러 가지 방안을 마련하여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단지 이렇게 자주. ,
財源의 출 처를 바꾸고 있는 것 자체가 아직 충분히 항례적으로 財源을 확보하기 는 어려웠던 점을 말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노,
력을 하고는 있지만 생활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報酬 체계가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7) 通典( 19)卷 에서는貞觀년간의防閤庻僕등의代役錢의 경우에는 俸錢에 계 산하지 않는다고 나와있다.
食料 乾封 1.8 1.5 0.7 0.6 0.4 0.35 0.3 0.25 24
開元 年 1.8 1.5 1.1 0.7 0.6 0.4 0.35 0.3 0.25 雜用 乾封 1.2 1 0.9 0.7 0.6 0.4 0.35 0.25 0.2
24
開元 年 1.2 1 0.9 0.6 0.6 0.4 0.35 0.25 0.2 防閣 開元24年 20 15 10 6.607 5 2.2 1.6 0.625 0.417 合計 乾封 11 9 6 4.2 3.6 2.4 2.1 1.85 1.5
24
開元 年 31 24 17 11.867 9.2 5.3 4.5 2.475 1.917
관료들에 대한 처우가 어느 하나의 항목으로 개선된 것이 아니라
,
여러 가지 항목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이점을 증명하여야만 어느 한. ,
부분에서의 처우만으로 볼 때에 숫자상으로 크게 변한 것 같지 않은데 도 실제적으로 어느 시점을 전후하여 관료들에 대한 처우가 변하였다,
는 점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
本攷에서는 여러 항목에 걸쳐 서 관료들에 대한 처우가 변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애초에 唐初期 武德년간에는 “地方官에게는 俸祿이 없었다”( 통전 고 되어있다 그 이후 정관 년에는 상고 인 사
(
通典) )
記載. (
貞觀)2
“(
上考)
람에게 급록
(
給祿)
이 있었다 고 하는데 고과”, (
考課)
평가를 잘 받은 관 료들에게만 급록을 주었다고 해석하게 된다 그 이후 정관. (
貞觀)11
년의 고과령(
考課令)
에 고과가 중중“(
中中)”
인 경우에는 본래의 록( )
祿 을 받 지만 그 이하인 경우에는 탈록, (
奪祿)
한다는 규정이 있다 단지 그러한. ,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하였는지는 불명확하다 당초기의.
俸料錢의 財源 은 “以民地租充之”라고 되어있다 아직.
政權初期였으므로,
安定的인 財 가 쉽게 이루어졌으리라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단지. ,
“ 이 없源 確保 粟
으면
,
鹽으로써 祿으로 삼아야한다(
無粟則以鹽 祿為 )”
고 하는 中書舍人貫 1 2 3 4 5 6 7 8 9 자료근거 627-649 6.8貞觀初 6 5.1 4.2 3.6 2.4 2.1 1.6 1.3 通典권19
乾封元年(666) 11 9 6 4.2 3.6 2.4 2.1 1.9 1.5 新唐書권55 24
開元 年
(736) 31 24 17 11.6 9.2 5.4 4.1 2.5 1.9 冊府元龜권505 권55 新唐書 唐會要 12
大曆 年
(777) 120 80 60 45 25 18 15 12 1.9 新唐書권55 唐會要
권505 冊府元龜 4
貞元 年
(788) 200 130 100 80 50 40 30 25 1 新唐書권55 唐會要
권505 冊府元龜 841-846 2000 1400 1000 80會昌年間 50 40 30 30 3 新唐書권55
< 3>
표 唐代官僚 俸料錢額, ( 1982-2)및 ,
守 唐代官吏的俸料 晋 刊 海峰
阎 诚 「 钱」 阳学 刘
( 1985-2), p.19.
唐代官 俸料 的 中 社 史 究
「论 员 钱 变动」 国 会经济 研
의 을 통해서 정부가 관료들에 대한
,
를 지불하려고 하高季輔 主張 俸料
는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는 있다 그러나 한편
. ,
으로는 粟이 없는 現實을 타개하기 위해서 소금( )
鹽 으로라도 지급하여 야 한다는 當爲性을 주장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도 있겠다.
高季輔의은 오히려 년간에 를 대로 하지 못 했었다는
主張 貞觀 俸料 規定 支給 事
을 하는 것으로 쓰여져야 할 것이다
.
實 證明년간의 규정은 년간과 해 볼 때에
, 1
에서3
까지의乾封 貞觀 比較 品 品
들의 가 되었을 뿐이다
.
에 하였던官僚 額數 上向調整 封禪 參與 高位 官
들에 대한 였을 것이다
.
을 하려는 속에서 나온僚 配慮 封禪 祝賀 宣言
이므로
,
인 의미로서 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그. ,
數値 宣傳的 目標値
다음의 開元
24(736)
年의 경우에는 전체적인數値配分이 균형을 이루고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선택이었다고 생각되며
,
乾封년간과 開元년간 사이의 어느 時點에선가 實際的으로 支給된 數値가 있었으리라고 생각 된다.
이라는 을 분명하게 하면서 이를 로 사용하기 시
公廨本錢 財源 月料
작한 것이 관료들의 俸料가 안정적이 되었던 始初라고 볼 수 있다 본
.
래,
公廨田을 두어서 관청의 경비마련을 위해서 사용되었는데 그 용, ,
도에 부족하여서 결국 棒賜에만 쓰이게 되었었다 이에서 더 나아가서.
을 두게 된 것이다.
과 은 관청을 단위로 마련公廨本錢 公廨田 公廨本錢
해 둔 資産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겠지만 형태로 볼 때에는
,
土地와 라는 점에서 전혀 다른 내용이다 제도는 정관seed money .
公廨本錢12
년에 폐지되었다가 정관
15
년에 다시 부활되는데 이 때에는,
捉錢令史 를 두어 관장하게 한다 이러한 일련의 내용을 볼 때에 정관년간의. ,
俸 의 은 주로 의 를 통해서 마련되었다고 생각된 料錢 財源 公廨本錢 利子다
.
의 에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그동안 학계에
,
唐代 月俸서 唐代 月俸에 대해서 문제로 삼고 있는 점은
3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겠다.
첫째
,
月俸의 財源과 관련하여,
公廨本錢과 戶稅으로 나누어서 그것이 국가재정에서 支出計劃形態를 살피는 것이다 이는
.
現在의 財政學 인 에서 검토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는데 그러한 변화의 시,
的 觀點점에 이르러서야 관료들의 月俸이 안정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8)
고 보아도 될 것이다
.
閻守誠씨가 開元18
년 이후에 官吏의 俸料는 모 두 戶稅에 依存하게 되었으며 더 이상,
公廨本錢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19)한 데 대해서, 刘
海峰씨는 唐代에 戶稅를 官俸으로 사용한 年代 의 上限은 乾封元年까지 올라가며,
開元18
년에 다시금 公廨本錢으로을 하게 되었으며
,
를 으로 하여서 받는官俸 充當 戶稅 公廨本錢 每月 利
으로 의 를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조치는 년
息 外官 俸料 供給 開元 天寶
간을 거쳐서 唐後期까지 활용되었다20)고 反駁하였다 이에 대해서
.
王씨는
( 35, 17, )
에 나오는 “,
珠文 通典 卷 「職官」 祿秩 其後 又令薄賦百姓一 라는 에 대해 분석하면서 그 를 의 이라
”
, 18
稅錢 文句 年度 開元 年 事項
歳
고 主張하였다
.
21) 이에 대해서刘
海峰씨는 다시 唐前期의 京官 俸料錢 은 太府寺에서 관장하며,
州縣官에 대한 俸料錢은 中央에서 規定한 바 에 따라서,
地域에서 分配하는 것이며 그 額數도 달랐으며 分配方式도 각기 달랐다22)고 하였다 그런데 위의 내용이. ,
唐代 京官의 俸料에 관 련된 것으로서 그 年限은 乾封元(666)
年까지 내려갈 뿐이며 위의 사례,
에서 다시금 이라고 표현한 것은 앞의“ ” 文句에서 永徽년간에 公廨本錢 을 廢止하고 그 뒤에 租庸과 脚直으로 京官의 俸料로 사용한 것을 언 급했을 뿐23)이라고 反駁하였다 이는.
開元18
년에 每月 받는 利息으로18) 陈明光, 「唐代前期官员俸料 支出钱 计划 态形 的演变及其影响」 ( 东 学术南 1991-2);陈明光,「唐代前期预算外收支计划述略」( 厦门大学学报 学 会 学(哲 社 科
) 1989-4); , (
版 陈明光 「试论唐前期官员俸料钱与国家财政的关系」 史林 1992-1); 陈明光, 唐代財政史新編 (中國財政經濟出版社, 1991), pp.72-90.
19) 阎 诚 「守 , 唐代官吏的俸料钱」 ( 晋阳学刊 1982-2).
20) 刘海峰, 「唐代官吏俸料 的 政 源钱 财 来 问题」 ( 晋阳学刊 1984-5).
21) 王珠文, 「关于唐代官吏俸料 的几点意钱 见」 ( 晋阳学刊 1985-4).
22) 刘海峰씨는, 唐後期에 俸料를 錢絹을 병행하여 지급하였으며 따라서, “俸絹”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는 점을 여러 사례를 인용하여 설명하
“俸料絹” “課料絹”
고 있다(刘海峰, 「再析唐代官员俸料 的 政 源钱 财 来 」, 中 社国 会经济 研史 究 1987 -4, p.88).
의 를 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
外官 俸料 供給이와 聯關된 論議로서
,
王珠文씨가 開元 天寶 年間 以後의 州縣의 은 를 으로 삼았으며,
의 는 이하의官俸 戶稅 財源 公廨本錢 利子 左史 常
食24)
(56
萬貫)
으로 쓰였을 뿐이라고 主張하였는데,
25)이에 대해刘
海峰 씨는 開元 天寶 년간 이후에도 靑苗錢이나 鹽利등과 더불어 兩稅의 錢부분이 의 이 되었으며
,
이 에서 차지하는幣 官俸 來源 公廨本錢 官俸 比
이 점차 줄어들기는 하였지만
,
의 를 의 의重 公廨本錢 利子 州縣 官俸 財
으로 했을 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源 使用 可能性 排除 26) 反駁하였다
.
둘째,
月俸의 額數를 둘러싼 論議이다.
唐前期와 唐後期의 月俸의 推 를 살펴보는 것이다.
의 초점은 인용하는 의 가 너무移 論議 額數 單位
가 나고 있는데 따른 의문점을 지적하기도 하고 또는 인용한 사
,
差異료상의 문제점을 밝히고 있기도 하였다 이 부분은
.
本攷에서 지나치게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에는 紙面이 부족하다 단지 그 가운데에는. , ,
陳寅 씨가 문제로 삼았던 “ ”이라고 한 의 에 나오恪 今日俸錢過十萬 元微之 詩
고 있는 句節에 대한 해석27)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 刘笃
才씨는 에서 기록한 숫자와 달리 되어있는唐會要 冊府元龜 新唐書 「食
가 단위를 하나 잘못 사용하였다고 지적한 씨의 의견을 따
貨志」 陳寅恪
23)刘海峰,「再析唐代官员俸料 的 政 源钱 财 来 」 ( 中 社国 会经济 研史 究 1987-4).
24) 官吏의廚食 가운데, 常食料는官吏에 대한 祿俸을補充하는 한 방법이었다. 은 에 따라서 배분해 주는데 비해서, 는 1-3 4-5
食料錢 職事品 常食料 親王․ 品․
의 개 등급으로 나누어서 소금이나 채소 및 등을 분배하
9 4
品 品以上․ 木橦炭料
는 것이다 이것도. 官僚의 俸祿의 一環이므로 좀 더, 具體的으로 다룰 必要가 있으나,地面關係上자세한 것은李錦綉, 唐代財政史稿(上卷) 3第 分冊 北京(
를 하기 바람 , 1995), pp.850-872 .
大學出版社 參照
25)王珠文,「关于唐代官吏俸料 的几点意钱 见」 ( 晋阳学刊 1985-4), p.58.
26)刘海峰,「再析唐代官员俸料 的 政 源钱 财 来 」(中 社国 会经济 研史 究 1987-4);刘
, ( ( )
海峰 「唐代俸料钱与内外官轻重的 化变 」 厦门大学学报 学 会 学哲 社 科 版 1985-2);刘海峰,「论唐代官员俸料 的钱 变动」( 中 社国 会经济 研史 究 1985-2).
27)예전에는金額을 나타낼 때에“ ”貫으로表記하였는데, 新唐書 ( 55,卷 「食貨 에서 들의 을 기재할 때에 본래 쓰여졌던 을 으로 고쳐서
) “ ” “ ”
志」 官僚 月俸 貫 萬
표기하다가 한단위를 잘못 계산해서 표기했기 때문에 착오가 발생한 모양이, 다. 陈寅恪, 「元白 中俸料诗 钱问题」 ( 陳寅恪先生論文集 上( ), 三人行出版社, 1974, pp.405-419; 原載 清华 学学报大 (自然科学版) 1935-4).
르고 있다
.
28) 白居易가 當時人이었다는 점이 이 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이다.
셋째
,
全體 俸祿 가운데,
月俸이 차지하는 比重에 대한 논의이다.
唐의 등의 인 에서 의 에 따라서
初期 府兵制 人身支配的 體制 時代 變化 漸次 로 實物經濟 爲主의 方向으로 變化해 나아가는 時代的인 趨勢를 反影 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
俸料錢의 支出이 늘어나게 됨에 따라서 全體 俸祿 가운데,
俸料錢이 차지하는 比重이 늘어나게 된다.
아울러 經濟 全般에서 貨幣經濟가 發展하게 되는 方向으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의 은
15 1533
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京官 每年 給祿 萬 石 至德年間
로는 되지 않는다
.
以後 支給 29) 이 部分의 內容은 史料에 따라서
, 50
萬石 이 넘게 表示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 ,
李錦綉씨는 轉運 으로 首都에 들어오는 物量으로 볼 때에15
萬石이 맞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30) 冊府元龜 에서 乾封元年에 首都에서 文武 正官의 俸食등으로 공급하는 돈이 모두 합치면15 2720
만 貫이라고 한 資料와 거의 비슷한를 한 의 를 마찬가지로 씨는 이를 額數 提示 新唐書 資料 阎 诚守 乾封元
라고 하고 있다
.
年 看做 31) 이러한 여러 가지 상황으로 볼 때에 乾封元
이라는 은 의 를 시키는 데에 매우 한
年 時點 唐代官僚 報酬體系 定着 重要
이라고 생각된다
.
에 를 새로이 하였다.
時點 乾封元年 乾元重寶 鑄造
의 이라고 하는 것은 개인에게 주는 을 하는
唐代 職田 官吏 祿田 代身
것이다 그
.
淵源은 멀리 東漢 時代의 祿田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이후에 晉代와 南北朝시대의 祿田 北魏,
시대의 職公田 隋代,
의 職分으로 변화해 왔던 것이다
.
田 32) 이러한 淵源으로 볼 때에
,
唐代의 職田 은 職事品에 따라서 구분하여 토지를 나누어주는 것이다 거기에서.
生28)刘笃才,「关于唐代官吏俸料 一 史料的辨钱 条 证」(晋阳学刊 1983-3), pp.78-80.
29) 通典 권35, 「職官」 17, 祿秩門.
30) 李錦綉, 唐代財政史稿(上卷) 3第 分冊 北京大學出版社( , 1995), p.814.
31) 阎 诚 「守 , 唐代官吏的俸料钱」 ( 晋阳学刊 1982-2).
32) 李文瀾, 「唐代職田淵源及其演變」 ( 中國古代史論叢 1982-3).
된 이 이면서도 많은 을 들에게 하게
産 糧食 固定的 比較的 收入 官僚 提供 되는 것이다
.
官吏의 個人的인 立場에서 보자면,
職田으로 생기는 收入 이 祿보다 많았다.
33) 따라서,
官吏의 主要 財源이었다고 할 수 있다.
년에 을 했던 적이 있었는데
10 ,
開元 職田 回收 34) 이 때에 畝당
2
斗의 地 子粟35)을 대신 支給해 주다가 나중에는, 6
斗로까지 올려주기도 했으나,
들의 이 많아서18
년에 다시금 을 다시 하官吏 不滿 結局 開元 職田 設置
게 되었다
.
그런데 여기에서
,
注目되는 것은本攷에서 다루고 있는景雲2(711)
년 바로 년전인1
景龍4(710)
年에4
畝나5
畝를 더 보태주고 있다는 점이다.
은 으로 매우 하게 돌아가던 년이었다 이4(710) 1 .
景龍 年 政治的 複雜 中宗
33) 職田에서 얻어들일 수 있는 收入은粟과 草라고 할 수 있다 가령. 外官6品 인 경우에500畝의職田을 받는데 여기에서 생기는, 收入은粟300石과草100圍 가 되므로,米로換算하자면180石이 된다 이 경우의. 祿米는47.5石이므로,職
에서 생기는 이 훨씬 더 큰 것이다.
田 收入
34)이 部分의時間的인考證에서學者에 따라서差異가 나고 있다.唐代에 두차 례에 걸쳐서職田廢止 措置가 있었다고 보면서 李文瀾, 「唐代職田的淵源及其演
에서는 그 를
( 1982-2)
變―唐代職田制度硏究之一」 中國古代史論叢 年代 貞觀 년이라고 하고 있는데 대해서
11 , 李錦綉, 唐代財政史稿(上卷) 3第 分冊 北京( 에서는 년간의 기록은 의 기록과 내 , 1995, pp.820-824)
大學出版社 貞觀 開元年間
용이 일치하며 기록에 있는, “京兆”라는 名稱이 貞觀年代에는 없었으므로, 冊
나 를 할 때에 의 을 년간의
府元龜 新唐書 「食貨志」 編纂 開元年間 內容 貞觀 에 잘못 했던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는. 의 에 따라
部分 配置 宇文融 括弧政策
서 本貫으로 돌아온 戶口에게 나누어줄 土地를 마련하기 위해서 職田을 還收 했다는 그녀의說明에서 더욱 說得力을 가진다고 볼 수 있겠다.
35)이러한 緣由로京官에게 지급되었던 地子額이18萬石이었다고 한다. 品級 1품 2품 3품 4품 5품 6품 7품 8품 9품 根據 隋代 京官 500 450 400 350 300 250 200 150 100 隋書 24 「食貨志」 武德 京官 1200 1000 900 700 600 400 350 250 200 唐會要 92
505 外官 1200 1000 800 700 500 400 300 250 冊府元龜
景龍4年
京官 1204 1004 904 704 604 405 355 255 205
92 外官 1204 1104 804 704 505 405 305 255 唐會要
< 4>
표 隋唐代 職田額 單位 畝( ; )
살해당하고 그의 아들인 少帝가 즉위하나 이윽고
,
睿宗이 쿠데타로 卽 하게 되는 들이 연이어 일어났었다 아마도 이렇게. ,
들에게位 事件 官僚
이나마 를 더 나누어주는 것은 들의 을 사려는
若干 土地 官僚 歡心 意圖
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 ,
土地를 더 나누어 주었다고 해서 그 다,
음 해부터 官僚들의 腐敗를 統制하려고 했다고 보기에는 좀 無理가 따 를 듯하다 그런데 조그마한. ,
土地이기는 하지만 이,
土地의 位置라던 가 活用度에서는 더 나은 곳에 있었을 可能性도 있을 것이다.
에는 그밖에도 과 같은 으로 등에게 를 주
唐代 食實封 方式 官僚 報酬
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는
,
特定人을 對象으로 하는 것이므로,
의 에서는 될 것이다 그런데. ,
에도 의 을 제本攷 檢討 除外 唐代 官給 力役
공하는 것은 前代와 마찬가지 이지만 그것을 활용하여
,
役을 하지 않 고 대신에,
納資를 내도록 하는 方式이 생겨났다 이것을.
“資課”라고 하는데 이는,
官員 本人의 固定的인 俸祿 收入의 一部分이 되는 것이 었다.
京官에게는 品級의 高低에 따라서 防閣․庶僕등을 提供하였으며,
에게는 를 하였다
. (666)
을 으로 보地方官 白直 執衣․ 提供 乾封元 年 基準
자면
,
月俸보다 훨씬 높은 額數를 이를 통해서 받게 된다는 점에서 唐 의 에서 이 의 은 매우 높다고 할 것이다.
代官僚 報酬體系 制度 重要性에 하기 시작된 의 가 으로
(666)
乾封元 年 定着 唐代 官僚 報酬體系 安定的 하게 되는 데에는
40
이 걸렸다고 보아도 좋을는지 그리하여? ,
機能 餘年
부터 시행되는 의 를 하려는 가
(711)
景雲二 年 一連 官僚 腐敗 防止 試圖
될 수 있는 이 되었다고 보아도 될는지
?
施行 基盤 造成
에게 현금으로 를 하는 가 되면 그에 따라서
,
官僚 俸料 支拂 制度 確立
한 잘못은 으로 하게 되기도 하고 또한
,
이외의些少 罰俸 處理 俸料 金品
을 받는 경우에는 贓罪로 處罰하게 된다 이렇게
.
罰俸이나 贓罪로 處 하는 는 그만큼 가 들의 에 을 미치고 있 罰 形態 俸料 官僚 經濟生活 影響다는 점을 說明해 주는 것이다
.
唐前期에는 官僚들의 規定 違反을 刑 인 로 하였는데 차츰,
과 같은 인 로 事的 處罰 處理 罰俸 行政的 處罰 處理 하게 된다.
36) 唐代에 罰俸이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先天2(713)
년이 다.
37) 바로,
景雲2(711)
년의 년뒤에는2
罰俸이라는 제도가 시작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
罰俸制度의 始作은 매우 重要한 를 가진다.
인 이 하여서 모든 것을 인 로意味 時代的 狀況 變 刑事的 處罰
서 解決하기 힘들게 되었으므로 행정적인 규제로 처벌이 바뀌게 된
,
것이다 그만큼.
社會가 變化되어서 예전에 형사적인 처벌만으로는 처 리하기 어려워졌으므로 그에 따라 그,
處理방식을 制度的으로 바꾸어 나갔던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社會的인 형태가 바뀜에 따라서인 을 가져온 셈이다
.
制度的 變革물론 이러한
,
罰俸制度가 唐律에는 反影되지 않고 있는데 이 점에,
대해서,
現在 남아있는 唐律疏議 가 罰俸制度가 實施되기 以前의 唐 을 하고 있는 것인지 아니면,
가 되었으나 아,
律 反影 一部 罰俸制度 實施
직 制度的인 主流의 位置를 차지하지 못 하였던 것인지는 앞으로 더욱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주로
.
唐後期에 罰俸과 관련된 몇몇 사례 가 나타나고 있는데,
史料上에는 罰俸을 “奪幾個月俸”이라거나 “罰俸” 이라고 자주 表記되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唐律에서의 行政上 錯 나 를 모두 이라는 로 한 것이 아닐 도誤 失手 罰俸 制裁措置 代替 可能性
36)马长林,「唐代官吏的 俸制度罚 」( 历 教学史 1984-6);张艳云,「唐中后期罚俸
( 1997-2); ,
制度初探」 中 史国 研究 张艳云 「唐中后期的 俸及其 唐律的 展罚 对 发 」 ( 陕西 范大师 学学报 学 会 学(哲 社 科 版) 1996-2).
37)先天二年十月勅 文武官朝參 着袴褶珂繖者, , ,其有不着入班者,各奪一月俸 若無故不.
, . , . .
到者 奪一季祿其行香拜表不到亦準此 頻犯者量事貶降 其衣冠珂繖乃許著到曹司 ( 唐會要 卷24, 朔望朝參).
1品 2品 3品 4品 5品 6品 7品 8品 9品 乾封元年
防閣庶僕 員數․ 96 72 48 32 24 12 8 3 2 ( )
月納錢額貫 20 15 10 6.607 5 2.2 1.6 0.625 0.417 ( )
月人均錢額貫 0.208 0.208 0.208 0.206 0.208 0.183 0.2 0.208 0.208 天寶14
載
防閣庶僕 員數․ 96 72 48 32 24 12 8 3 2 ( )
月納錢額貫 24 18 12 8 6 2.64 2 0.75 0.5
( )
月人均錢額貫 0.25 0.25 0.25 0.25 0.25 0.22 0.25 0.25 0.25
표 및
< 5>
京官 給 防閣庶僕 員數․ 納錢額있을 것이다
.
시대에서 과 로 들어가는 에 들의
武則天 中宗 睿宗 時期 過渡期 官僚 를 하기 시작하는 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
이 있겠지贓罪 處罰 措置 解釋
만
,
本攷에서는 官僚들에 대한 處遇 改善이 먼저 推進되었기 때문에 하였을 것이며 이점에 대해서,
에 여러 가지 으로可能 唐初期 項目 官僚
의 收入이 保障되어가고 있었다는 점을 指摘하고자 하였다
.
中宗과 睿 시기에 인 이 많았던 점이 되고 있는데,
宗 財政的 支出 論難 38) 이것을
뒤집어 생각한다면 그
,
以前보다도 官僚에 대한 支出이 늘어났기 때문 이라고 볼 수 있다 흔히.
指摘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의 浪費했다고 하 는 項目들은 실제로 그 額數로 본다면 比率이 크다고 할 수 없다.
官 들의 와 된 은 그 이 늘어나고 또한 의 이僚 待遇 關聯 部分 人員 本來 人員
많았으므로 若干만 官僚의 處遇를 改善하더라도 財政的인 부분에서 그 것이 차지하는 全體的인 比率은 크게 늘어나는 것이다
.
武周왕조에서로 바뀌는 에서 의 을 새 쪽으로 옮기는
唐王朝 時點 官僚 忠誠心 王朝 方
의 하나로 의 이 되었을 것이며 이에
,
되는法 官僚 處遇 改善 問題視 抵觸
은 하게 하겠다는 를 보여줄 가 있었을 것이다
.
部分 强力 對處 意志 必要
그러한 점에서 이 時點에서 한편으로는 官僚들에 대한 處遇改善에 힘 썼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
國家 權力이 推進하는 方向과 다르게 움직이 는 官僚들에 대해서 制裁를 가할 수 있는 名分을 찾은 것이 첫머리에 서 지적한 措置였다고 보면 될 것이다 재정적으로도 그만큼 안정이.
되었기 때문이겠지만 사회가 바뀌어 가는 바에 따라서 그 사회를 규, ,
제하는 법률도 변혁되어가고 있는 것이리라.
의 과 그
. 官僚 受贓 處理
Ⅲ
중국 고대에 관료들이 형벌을 받는 데에는 여러 경우가 있다 그러
.
38) 陳明光, 唐代財政史新編 (中國財政經濟出版社, 1991), pp.148-150.한 가운데 반역등의 경우는 집단적인 부분이므로 정치적으로 엄청난
, ,
파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방법으로서 비교적.
자주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서 개별적인 사안으로서는 강간, (
强姦)
39)이 나 좌장(
坐贓)
이라는 명목으로 관료들을 중죄로 처벌되는 경우가 나타 나기도 한다 실제적으로 관료들이 범죄를 저질렀을 개연성이 높은데.
도 정치적인 요인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을 추측하는 것은 그만큼 악용 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唐代 以前의 坐贓罪 處罰안건을 보면 정치적인 사건과 결부된 것이 많다, .
39)丙申 前商州刺史李俊除名 坐受財枉法也, , ( 舊五代史 卷84,「晉書」10,開運2 );
年 乙未 前商州刺史李俊賜自盡 坐與親妹姦及行劍斫殺女使 又殺部曲孫漢, , ,
( 84, 10, 3 )의
榮,強姦其妻 準法棄市 詔死於家, , 舊五代史 卷 「晉書」 開運 年 사례를 드는 것이 적절할지 모르겠으나, “受財枉法”으로 권력에서 쫓아내고, 심지어 강간(强姦)이라는 죄명으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 는 것이다.
時期 姓名 職務 事由 結果 資料出典
後漢明帝 張恢 交趾太守 坐贓 千金徵還伏法
( 71) 後漢書 卷 鐘離意
( ) 廉吏傳 卷上 鐘離意
( 109 ) 通志 卷 上 鐘離意
( 17) 東觀漢記 卷 鐘離意
( 35) 東漢會要 卷 贓罪 後漢安帝 任尚 後中 將郎 坐贓千萬 檻車徵,棄巿 後漢書 志( 21)天文中
( 117) 後漢書 卷 西羌傳 後漢安帝 叔孫光 淸河相 坐贓 増錮二世釁及其
子
( 167) 通志 卷
( 69) 後漢書 卷 劉愷
( 22) 東漢會要 卷 後漢安帝 范邠 居延都尉 坐贓 (詔下三公廷尉議
) 通志( 167)卷 ( 69) 後漢書 卷 劉愷 後漢質帝
虞續 豫章太守 坐贓 下獄死 後漢書( 6)卷 質帝 ( 6 ) 通志 卷下 韓昭 南陽太守 坐贓 下獄死 後漢書( 6)卷 質帝
( 6 ) 通志 卷下 後漢桓帝延熹5年
燕喬 監黎陽謁者 坐贓 棄巿 後漢書 志( 22)天文下 宋謙 京兆虎牙都
尉 坐贓 下獄死 後漢書 志( 22)天文下 ( 6 )( ) 通志 卷下 →宗謙 後漢桓帝 和旻 右北平太守 坐贓 下獄死 後漢書( 7)卷
( 6 ) 通志 卷下
표 의 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