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 - KMOU Repositor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 - KMOU Repository"

Copied!
142
0
0

Teks penuh

Proposed similarity measure is composed of entropy, Haar wavelet feature vector, and modified Sensus transform. A combination of entropy with Haar-wavelet feature vector and modified Census transform as similarity measure was proposed to find correspondence.

로컬 최적화 방법은 간단한 유사성 측정과 에너지 함수를 가지므로 구현이 쉽고 풍부한 텍스처 영역에서 정확한 변위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전역 최적화 방법으로 얻은 변위가 가장 좋은 로컬 변위입니다.

관련 연구

전역 휘도 변화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두 이미지 간의 선형 관계가 변경되기 때문에 로컬 휘도 변화에서는 성능이 좋지 않습니다. 유사성 측정을 개선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은 전역 밝기 변화에 강합니다.

연구 내용

제안된 유사성 척도는 변위가 빠르게 변화하는 경계 영역과 텍스처가 없는 평평한 영역에서 우수한 정합 성능을 보였으며, 서로 다른 광학적 조건을 갖는 스테레오 영상에서도 대응점 간의 유사성을 정확하게 반영했습니다. 또한, 이미지 피라미드의 모든 레이어에 대해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최상위 레이어에만 정합을 수행하는 기존 다중 해상도 스테레오 정합 기법보다 밀도가 높은 변위 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논문의 구성

제안된 최적화 방법은 에너지 함수 최적화 과정에서 8방향에 축적된 에너지를 적분하여 프로그래밍 탐색의 동적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계 영역의 변위와 점진적으로 변하는 변위를 잘 추정하고 줄무늬 현상을 제거하였다. 그런 일이 일어난다는 걸 기존의 동적 프로그래밍 방식이 개선되었습니다.

스테레오 시각

3D 깊이 정보 계산을 위한 스테레오 비전의 흐름도입니다. 스테레오 이미지에서 해당 지점의 변위와 실제 거리 사이의 관계는 그림 2.2에 나와 있습니다.

그림 2.1. 3차원 깊이 정보 계산을 위한 스테레오 시각의 순서도 Fig. 2.1. A flowgraph of stereo vision for 3D depth information
그림 2.1. 3차원 깊이 정보 계산을 위한 스테레오 시각의 순서도 Fig. 2.1. A flowgraph of stereo vision for 3D depth information

스테레오 정합

유사도 척도

스테레오 매칭은 매칭되는 요소에 따라 특징 기반 매칭과 지역 기반 매칭으로 나눌 수 있다. 스테레오 등록을 위한 유사성 및 깊이 정보 계산.

그림 2.2. 스테레오 시각의 카메라 기하학 Fig. 2.2. Camera geometry of stereo vision
그림 2.2. 스테레오 시각의 카메라 기하학 Fig. 2.2. Camera geometry of stereo vision

최적화 방법

전역 최적화 방법은 부분 최적화 방법에서 발생하는 매칭 윈도우로 인해 불일치 없이 비교적 정확한 변위 선도를 얻을 수 있다. 이때는 반복확산을 주로 사용하며, 확산이 발생함에 따라 각 변위의 확률이 다른 픽셀로 전달된다.

환경 변화에 강인한 유사도 척도

특징 기반 유사도 척도

그래프 컷을 통해 얻은 변위 다이어그램의 특징은 경계 픽셀에 따라 변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미지 분할 기법과 함께 적용됩니다. 그래디언트가 얻어지는 영역을  ×  크기의 하위 이미지 블록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대해 그래디언트 성분을 계산합니다.

명암도 기반 유사도 척도

로컬 설명자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미지 회전, 크기 조정 및 조명 변경에 강하므로 기준선이 긴 환경에서 좋은 성능을 나타냅니다. MI는 이미지 강도의 결합 확률 분포를 사용하여 두 이미지 간의 상호 정보량을 계산합니다.

비모수 유사도 척도

3장 엔트로피와 인구 조사 기반 평등 측정. 이번 장에서는 엔트로피와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유사성 측정을 제안합니다.

그림 3.1. 제안한 유사도 척도의 계산 순서
그림 3.1. 제안한 유사도 척도의 계산 순서

엔트로피 기반의 유사도 척도

엔트로피

엔트로피를 이용한 MI 유사도 척도

제안한 Haar 웨이블렛 특징을 결합한 엔트로피 유사도 척도

화소 단위 엔트로피

전체 밝기 변화가 발생한 알로에 이미지와 MI에 대한 변위 다이어그램은 그림 3.4에 나와 있습니다. 국부적인 밝기 변화가 발생한 알로에 이미지와 MI 변위 다이어그램은 그림 3.5에 나와 있습니다.

그림 3.2. 두 변위도    와    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의 결합확률분포 (   과    은 Middlebury Stereo Vision Lab에서 공개)
그림 3.2. 두 변위도   와   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의 결합확률분포 (   과   은 Middlebury Stereo Vision Lab에서 공개)

Haar 웨이블렛 특징을 결합한 엔트로피

제안된 유사성 측정에서 Haar 웨이블릿 특징 벡터와 엔트로피의 역할은 그림 3.10에 나와 있습니다. Moebius 이미지의 엔트로피와 Haar 웨이블릿 기능 벡터 변위 다이어그램.

Fig. 3.5. Image pair of Aloe with illumination change and disparity map of MI (a) left image  (b) right image (c) disparity map of MI
Fig. 3.5. Image pair of Aloe with illumination change and disparity map of MI (a) left image (b) right image (c) disparity map of MI

제안한 Census 변환 기반의 유사도 척도

Census 변환

이러한 문제는 인구조사 변환 시 중앙 픽셀과 주변 픽셀 사이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중앙 픽셀 값 대신 비교에 사용하면 개선될 수 있습니다. 평균 인구 조사 변환은 중앙 픽셀이 노이즈의 영향을 받더라도 해당 영역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주변 픽셀과 비교를 수행하므로 상대적으로 견고합니다.

그림 3.12. Census 변환을 이용한 유사도 계산의 예
그림 3.12. Census 변환을 이용한 유사도 계산의 예

제안한 Census 변환을 이용한 유사도 척도

본 장에서는 8방향의 동적 프로그래밍을 적용하여 변위를 추정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3D DSI를 이용하여 8개 방향 각각의 각 픽셀의 누적 에너지를 구하고 적분하여 적분 에너지가 최소화되는 변위를 구합니다.

그림 3.13. 변형된 Census 변환을 이용한 유사도 계산의 예
그림 3.13. 변형된 Census 변환을 이용한 유사도 계산의 예

동적 계획법

이런 식으로 검색 영역의 모든 변위에 대해 동일합니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8방향에서 일대일 매칭을 사용하였다.

그림 4.1. 제안한 최적화 기법의 순서도
그림 4.1. 제안한 최적화 기법의 순서도

제안한 8방향 동적 계획법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을 네 방향에 적용하여 얻은 원뿔 이미지의 변위 다이어그램은 그림 4.5에 나와 있습니다. 이 영역에 수직 방향의 동적 프로그래밍을 적용하여 얻은 변위 다이어그램이 그림 4.5에 나와 있습니다. (a)와 (b) Middlebury Stereo Vision Lab에서 발표) 그림.

그림 4.4. Cone 영상과 1방향 동적 계획법에 의한 변위도 (a) 좌영상 (b) 우영상 (c) 변위도
그림 4.4. Cone 영상과 1방향 동적 계획법에 의한 변위도 (a) 좌영상 (b) 우영상 (c) 변위도

가우시안 영상 피라미드

제안하는 방법은 가우시안 피라미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계층화한다. 가우스 피라미드의 예측 차이 이미지는 라플라시안 피라미드를 형성합니다.

그림 5.1. 영상 피라미드의 예 (3단계) Fig. 5.1. An example of image pyramid (3 levels)
그림 5.1. 영상 피라미드의 예 (3단계) Fig. 5.1. An example of image pyramid (3 levels)

제안한 다해상도 기반 스테레오 정합

결과 변위 다이어그램은 원본 이미지의 크기로 확대됩니다. 제안하는 다중해상도 기법은 이미지 피라미드의 각 단계에서 정합을 수행한다.

그림 5.4. 가우시안 영상 피라미드 Fig. 5.4. A gaussian image pyramid
그림 5.4. 가우시안 영상 피라미드 Fig. 5.4. A gaussian image pyramid

제안한 방법의 오류율과 변위를 기존 방법과 비교하기 위해 노이즈가 있는 RDS 이미징 실험과 노이즈가 없는 RDS 이미징 실험을 수행했습니다. 카메라 노출 시간과 조도 변화에 따른 제안 방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환경 변화가 발생한 표준 영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스테레오 정합 실험

RDS 영상 실험

본 실험에서 얻은 변위 맵의 불일치 픽셀 비율과 평균 제곱 오차는 표 6.3에 나와 있습니다. 특히,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MI의 불일치 픽셀 속도를 두 배 이상 향상시킵니다.

그림 6.1. 실험에 사용한 50% RDS 영상들과 사실 변위도 (a) 잡음이 없는 좌영상과 우영상
그림 6.1. 실험에 사용한 50% RDS 영상들과 사실 변위도 (a) 잡음이 없는 좌영상과 우영상

츠쿠바 이미지의 변위 다이어그램. (a)와 (b) Middlebury Stereo Vision Lab에서 출판) Fig. i) 제안된 방법(HEC+8path DP). 특히 전단불연속 영역에서는 다른 방법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였다.

그림 6.4. 비폐색 영역과 변위 불연속 영역의 척도가 있는  set A의 영상들과 사실 변위도
그림 6.4. 비폐색 영역과 변위 불연속 영역의 척도가 있는 set A의 영상들과 사실 변위도

환경 변화가 발생한 표준 영상 실험

순록 영상에서는 제안한 방법의 불일치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뫼비우스 영상에서는 빛의 변화에 ​​따른 밝기 변화의 불균일 정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공간정보를 활용한 제안 방법의 성능은 AWSM의 적응적 가중치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표 6.5 카메라 노출 색인에 대한 시간 조건(msec)
표 6.5 카메라 노출 색인에 대한 시간 조건(msec)

실제 영상 실험

그리고 다른 영상들과 다르게 배경 오프셋이 엄청나네요. 조리개가 닫힌 BOG 이미지의 왼쪽 이미지와 변위 다이어그램.

그림 6.14. 실제 영상 (a) CCD (b) BOOK (c) DIP (d)PIG
그림 6.14. 실제 영상 (a) CCD (b) BOOK (c) DIP (d)PIG

계산 속도

제안한 방법을 다중해상도 기법에 적용한 경우 GC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계산 시간이 약 25% 단축되었다. 각 유사성 측정값을 계산하고 결합하는 데 필요한 시간은 약 225msec였습니다.

표 6.14 Aloe 영상에 대한 제안한 방법의 단계별 계산 시간
표 6.14 Aloe 영상에 대한 제안한 방법의 단계별 계산 시간

제안한 방법의 정합 성능에 대한 고찰

Shum "Stereo Matching Using Belief Propagation,"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Stereo, en beligting-onveranderlike gesigsherkenning,”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

Gambar

그림 2.1. 3차원 깊이 정보 계산을 위한 스테레오 시각의 순서도 Fig. 2.1. A flowgraph of stereo vision for 3D depth information
그림 2.2. 스테레오 시각의 카메라 기하학 Fig. 2.2. Camera geometry of stereo vision
그림 2.3. 스테레오 정합을 위한 유사도 계산과 깊이 정보
그림 3.1. 제안한 유사도 척도의 계산 순서
+7

Referensi

Dokumen terkait

또한 발전용 기관이 추진용 기관 보다 2배에 가까운 중량을 갖는 것은 기관의 생산 동력을 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발 전기Generator가 장착되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살펴볼 때 기계식 추진체계에 비해 발전기의 크기가 크고 수량이 많은 IPS의 경우, 전체 동력 시스템의 무게가 증가할 것 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