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3]
□ [ 3]주차 학습동아리 학습보고서□
팀 명: 학점따개비
학습과목 천문항해학 활동주제 시의 개념
활동일시 및 장소 2019.4.8 17 시 새누리관 7 층 배움터 참석자 명단 김현우, 이상은, 이상윤
학습내용 및 활동내용
고도차법
천체의 관측시간은 지구상에서 관측한 장소의 정확한 위치를 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
낮과 밤의 주기 이외에 가장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천체의 규칙적인 변화는 달이 초승달에서 보름달이 되고 보름달 에서 다시 그믐달이 되었다가 사라져버리는 현상이다. 한 태음력 주기에 속한 날들을 하나로 묶으면 날짜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음력의 장점
달의 모양(위상) 변화로 날짜를 경과 정도 예측 야간 조명이 없던 시절, 달의 밝기를 조명으로 이용 간조와 만조 시각 때의 물의 높이를 예측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에게는 달의 모양이 물고기떼의 이동과 관련이 있음(물때) 각 월의 길이가29일, 30일로 양력(28~31일)보다 일정
음력의 단점
계절과 잘 맞지 않아 농경생활을 하는 경우 불편이 큼 선박사용시와 경도
선박사용시(Ship’s Time) : 선박에 있어서는 항만에 정박하고 있거나 연안을 항해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나라 또 는 그 지방의 표준시를 사용
원양항해를 실시하고 있을 때에는 각 선박마다 특정한 시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