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총설 - 국립공원공단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총설 - 국립공원공단"

Copied!
6
0
0

Teks penuh

(1)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위험도 평가 및 관리방안

이상희1·정원옥2*·윤주웅2·김명준3·방홍석3·이윤태4

1충북대학교 산림학과, 2국립공원관리공단국립공원연구원, 3(주)산림환경공간기술연구소, 4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A Study on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Trail in Landslide Prone-Areas of Korea National Parks

Sang-Hee Lee

1

, Won-Ok Jeong

2

* , Ju-Ung Yun

2

, Myeong-Jun Kim

3

, Hong-Seok Bang

3

and Youn-Tae Lee

4

1Department of Fores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ngju 28644,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3Forest Environment & GeoSpat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Daejeon 34070, Korea

4The Institute of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Korea

요 약 :국립공원별산사태발생위험등급에 기초하여지리산국립공원 등 14개국립공원의 산사태발생위험등급 지를통과하는탐방로노선에대하여현장조사와현황분석을통해재해위험도를평가하였다. 그결과, 총 6,338개의 탐방로중 즉시 조치가필요하다고 판단되는 A등급 3개소, 단기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 106개소, 중장기적인 조치가필요한 C등급 1,264개소 및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일상적인 관리가 가능한 D등급은 4,965 개소로파악되었다. 국립공원내 탐방로는대부분재해위험도 C등급과 D등급에포함되어대부분안정된상태로판 단되었다. 이에기초하여 산사태위험지역 내 탐방로관리는 탐방객의 안전한탐방활동을보장하고 산림훼손 최소 화를목표로하는매뉴얼을작성하고, 지속적인관리및모니터링을실시하여야할것이다.

주요어 :국립공원, 산사태, 탐방로, 위험도

Abstract :Based on landslide risk classes in Korea national parks, the degree of risk was evaluated for trails with landslide prone-areas in 14 Korea national parks including Jiri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3 A-grade sites need immediate actions, and 106 B-grade sites shoud have short-term plans. In addition, 1,264 C- grade sites are required to make mid-term and long-term management plans. 4,965 D-grade sites can be managed generally without special management. Most trais in Korea national parks would be stable as they are classified into C and D grad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prepare the manual aiming at ensuring safe activities and minimizing forest damages.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s for trails in landslide prone-areas.

Key words :korea national parks, landslide, trail, degree of risk

서 론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폭이 증가 하면서 산지토사재해로 인한 피해가 다양화되고 있으며, 우 리나라에서도 산사태, 토석류 및 유목등의 발생빈도가 증 가하고규모가 대형화되고있다(산림청 2017).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의 경우 80% 이상이 산악형으로, 복

잡한 지형과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많은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국립공원 내 산사태 관련 연구로는 산사태 발생 요인 분석(마호섭과 정원옥 2007; 마호섭 등 2010; 권현정 등

2015)과 예측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마호섭 등 2010) 등

이 있으며,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수행한 연구로는 국립공 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조사(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지리산국립공원 고산지 경관변화 모니터링(국립공원

*Corresponding author E-mail: wonokjung@knps.or.kr

[총설]

(2)

28 국립공원연구지 제 9 권 제 1 호 (2018)

관리공단 지리산관리사무소 2003), 호우에 의한 국립공원 산지재해 방지방안 연구(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07),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 현황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지 정밀 현황분석 및 모니터링(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 공원연구원 2017) 등의 연구가 선행되었다.

이러한선행연구를통해국립공원에서 발생한산사태지는

총 471개소(2017년 기준)로 파악되고 있으며, 산사태 발생

지에 대해서는 재발생 및 피해 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인 모 니터링(단기, 중기, 장기)을 실시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7).

그러나, 최근 국민들의 여가 행태가 변화되면서 자연을 찾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더욱이 산행이 건강을 위 한효과적인일상 스포츠로인식되면서국립공원과 각지역 의산을 방문하는산행인구가급증하는경향을나타내고있 다. 이와 같이 인간이 자연에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숲 과 같은 자연생태계 공간의 내부를 연결해주는 기본적인 기 반시설이 탐방로이지만(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7), 국립공원이나 산지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각종 자

연재해, 특히산사태는 발생시기 및 장소를 예측하기가 매 우 어려워 많은 탐방객이 이용하는 탐방로에 대한 안정성 평가 등을 통한 적정관리 방안 수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3).

우리나라에서도산지토사재해와관련된대응 및예방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계 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이는 컨트롤타 워의 부재와 적정한 연구비가 확보되지 못한 것에 기인하기 도 하지만, 무엇보다 중장기계획의 부재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못한 것이 주된 원인이라 고 할수 있다(전근우 2016).

따라서 본 연구는 200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작된

국립공원 산사태 위험등급 예측도를 기준으로 국립공원 내 탐방로에 대한 산사태 발생 위험성 분석 및 평가를 실시하 여 위험정도에 대한 등급화 기준 및 적절한 관리방안을 제 시하였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지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탐방로의 현황 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제작된 14개 산악형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도를 활용하 였다. 제작된산사태발생위험예측도는 1~4등급으로구분 되어 있으며, 각 등급별로 1등급은 산사태 붕괴발생 가능 성이 대단히 높은 지역, 2등급은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 은 지역, 3등급은 산사태 붕괴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 4

Figure 1. Analysis process on hazard distribution of trail (ex. Jirisan national park).

(3)

등급은 산사태 붕괴 발생 가능성이 없는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GIS분석을 통해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각 등급별로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등급별 산사태발생위험지와국립공원 탐방로노선 자료를중첩하 여 각 등급에 따라산사태 발생위험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를 추출하였다(Figure 1).

추출된 탐방로 중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에 포함되는 탐 방로를 대상으로 조사구간을 선정하고 각 구간에 대한 조사 지점 개소, 길이, 위치 등 현황분석을 등을 실시하였다.

2.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위험지역 내 탐방로 재해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탐방로 노선에 대하여 일반현황(11개 항목), 사면현황(14개 항목), 노면현황(7개 항목), 계류현황(9개 항 목), 종합평가(4개 항목) 및 검토의견(3개 항목)에 대해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Figure 2). 또한,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

로 A등급(심각), B등급(우려), C등급(보통) 및 D등급(건전) 으로 위험 등급을 구분하여 평가하였다(Table 1).

3. 탐방로 관리방안 마련

산사태발생 위험지역내탐방로에대한 관리는위험정도 및 시급성 등을고려하여 탐방로의 관리목표 및 방향을설 정하고, 현장여건이 고려된 방안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관 리는 훼손을 예방하면서 탐방객의 안전한 탐방활동이 이루 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탐방유형과 위험지역 및 탐방객 안 전과 관련된 요소들을 고려하여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 였다.

결과 및 고찰

1.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및 조사대상지 현황

Figure 2. The Survey sheet for trails in landslide prone-areas of Korea national parks.

Table 1. Evaluation grade of trail in landslide prone-areas.

등 급 평가점수 내 용

A등급 61이상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매우 높은 지역(심각) 즉시 조치 필요

B등급 41~60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높은 지역(우려)

단기적 조치 필요(2~5년)

C등급 21~40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존재하지만 미약함(보통)

중장기적 조치 필요(5~10년)

D등급 0~20 산사태 및 재해위험도가 없는 건전한 지역(건전)

특별한 조치가 필요 없고 일상적 관리로 가능

(4)

30 국립공원연구지 제 9 권 제 1 호 (2018)

산사태 발생 위험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의 재해위험 도를평가하기 위하여 14개 산악형 국립공원 내 산사태발 생 위험등급별로통과하는 탐방로전체 307개 노선 1,245.7

km를 대상으로 조사 대상지를 선정하였다(Table 2). 전체 탐

방로 노선 중 산사태 발생 위험 1~3등급지의 조사대상지는 총 6,338개소로,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 로 구간은 1,091개소(17.2%), 2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구

간은 2,425개소(38.3%), 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구간은

2,822개소(44.5%)로 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 노선이 가

장 높은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조사되었다.

2. 국립공원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

지리산국립공원을포함한 14개 산악형국립공원내 6,338

개소에 대하여 산사태발생 위험등급별(Table 3)에 따라서

탐방로 재해위험도(Table 4)를 평가한 결과, 즉시 조치가 필 요하다고 판단되는 A등급은 지리산국립공원 2개소 및 오대 산국립공원 1개소 총 3개소(0.05%)로 파악되었고, 단기간 내에조치가필요하다고 판단되는 B등급은 106개소(1.67%) 로 파악되어산사태발생위험등급이높은구간인 A 및 B

등급에서총 109개소(1.72%)가분포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장기적인 조치가 필요한 C등급은 1,264개소(19.94%) 로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과 상관없이 고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별한 조치 없이 일상적인 관리가 가능한 D등급은 4,965개소(78.34%)로 분석되어 산사태와

같은 재해 위험이 낮은 C와 D등급은 총 6,229개소로 전체

조사대상지의 98.28%를 차지하는것으로 분석되어 14개국 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 1~3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로는 특정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국립공원 탐방로 재해위험도 평가에 따른 관리방안 탐방로재해위험도평가에따른 탐방로에대한 관리는탐 방객의 안전한 탐방활동을보장하고 산림훼손 최소화를 목 표로 하여, 국소적 위험지역이라 할지라도 기본구상, 기본계 획, 실시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에 대한 매뉴얼을 작성하여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여야 한다.

탐방유형에따른 탐방로의관리방향은 크게산행 및탐방 으로 구분하고있으며, 산행목적의탐방로는무정비형, 보수 형 및 자연동화형으로 구분하여 추진하여야 한다(Table 5).

이러한 관리방안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훼손 및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최소한의 보수를 통해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 는 원칙으로 최적의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탐방로의 관리방안 수립 시, 위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활용 여부 판단, 투입시설 및 공법에 대한 소요비용 및 유 지관리의난이도, 대체노선을통한 위험지역의회피, 위험지 역 및 산림훼손지역의 자연복원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 한, 투입된 공법 및 시설물에 따른 효과, 내구성 및 유지관 Table 2. Status of survey sites per landslide risk grade.

공원명

전체 탐방로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별 조사대상지 (개소)

노선 길이

(km) 1등급 2등급 3등급 합 계

지리산 51 237.6 465 597 322 1,384

계룡산 17 46.3 - 97 189 286

설악산 19 111.6 17 136 366 519

속리산 20 103.5 57 195 195 447

내장산 16 59.9 - 92 181 273 가야산 7 22.4 1 27 61 89 덕유산 13 79.5 105 206 181 492 오대산 9 67.4 124 214 107 445 주왕산 7 38.0 - 104 149 253 치악산 11 49.9 72 122 68 262 월악산 19 75.2 36 168 281 485

북한산 93 243.2 - 138 524 662

소백산 17 91.5 214 316 162 692 월출산 8 19.7 - 13 36 49

합 계 307 1,245.7 1,091 2,425 2,822 6,338

Table 3. The output of Evaluations for trails in landslide prone- areas of Korea naitonal parks.

공원명 조사대상지(개소)

탐방로 재해위험도 등급(개소) A등급(심각) B등급

(우려) C등급

(보통) D등급

(건전) 계

지리산 1,384 2 24 291 1,067 1,384

계룡산 286 - - 28 258 286 설악산 519 - 16 158 345 519 속리산 447 - 3 66 378 447 내장산 273 - - 22 251 273 가야산 89 - 4 15 70 89 덕유산 492 - 13 92 387 492 오대산 445 1 32 143 269 445 주왕산 253 - 1 57 195 253 치악산 262 - 8 75 179 262 월악산 485 - 2 47 436 485 북한산 662 - - 141 521 662 소백산 692 - 3 114 575 692 월출산 49 - - 15 34 49

합 계 6,338 3 106 1,264 4,965 6,338

Table 4. The cross analysis of evaluation outputs with landslide risk classes.

구 분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개소)

1등급 2등급 3등급 기타 계

재해 위험 도등 급

A등급(심각) 3 - - - 3

B등급(우려) 59 34 10 3 106

C등급(보통) 411 468 381 4 1,264

D등급(건전) 618 1,923 2,424 - 4,965

계 1,091 2,425 2,815 7 6,338

(5)

리가 용이한 공법 및 재료를 선택하고, 인위적인 대형시설 물(철근, 콘크리트 등)이 아닌 목재 및 돌 등의 자연재료를 활용하는 지역으로의 관리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리고 탐방로를 비롯하여 부대 시설물(편의시설, 안전시설)의 역할 및 기능을 최대한발휘하도록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실시하 며, 탐방로및 탐방로인접부의 유수의흐름과 배출이원활

하게이루어질 수있도록 하여야한다(Table 6).

결 론

본 연구는 국립공원별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내 탐방로의 현황을파악하고, 탐방로의 관리방안을마련하기위하여탐 방로재해위험도 평가기준에의하여 탐방로를 평가하고 그 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 지역은 대부분 급경사지, 산정상 부, 혼효림, 토심이 깊은 지역을 중심으로 능선부에서 해발 고 1,000 m 이상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산사태 발생 위험 2~3등급지역은국립공원 전체에 걸쳐서다양한 위치 에 분포하고있는것으로 조사되었다.

산사태발생 위험등급에기초하여지리산국립공원 등 14 개 국립공원 내 산사태 발생 위험 등급지를 통과하는 탐방 로에 대하여 재해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총 6,338개의 탐방 로 노선 중 즉시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A등급 탐방 로는 3개소, 단기간(2~5년)내에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 는 B등급탐방로는 106개소, 중장기적(5~10년)인조치가필

요한 C등급 탐방로는 1,264개소,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이

일상적인 관리가 가능한 D등급 탐방로는 4,965개소로 평가

되었다. 국립공원 내탐방로는 대부분위험도 C등급과 D등 급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대부분 안정된 상태로 판단되었다. 다만 위험도가 높은 A등급과 B등급의 탐방로

109개소는 능선부와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는 산사태 발생

위험 1등급지와 2등급지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확인되었 으며 낙석위험지가 대부분의 위험요인이므로, 급경사지 실 태조사와 긴밀한협조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국립공원 내 탐방로를 이용하는 탐방객의 안전한 탐방활 동 보장하고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위험지에 대해 서는 예찰 및 추가 조사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주의 안내판 을 추가 설치하고 안전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현장 여건에 맞는 무정비형, 보수형 및 자연동화형 등의정비방법을 결 정하여 정비를 계획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일부국립공원 탐방로 구간에 설치된 주의 안내판의 크기가 작아 탐방객이 쉽게 발견하고 인지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되므로, 탐방객의 안전을 위하여 좀 더 시인성이 높은 크기의 안내판 설치를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Chun KW. (2016). Trend and task of erosion control research.

Erosion Control. 2: 19-2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1). Investigation for developing recovery countermeasures of landslide occurrence area in national park. 106pp.

Korea National Park Service Jirisan National Park Office (2003).

Monitoring for scene change of alpine zone in Jirisan national park. 139pp.

Table 5. The management plans for trails by visiting types.

탐방목적 유지관리 형태 유지관리 목표

산행

무정비형 - 침식 및 훼손이 발생할지라도 인위적인 간섭을 실시하지 않음을 원칙으로 함

- 자연재해에 의한 훼손은 최소한으로 복구하고 위험요소에 대한 방안을 강구

보수형 - 자연성을 확보하며, 최소한의 보수를 원칙으로 함

- 안전 및 보전상의 문제를 초래한 경우 시설, 식생, 물처리 등에 대한 부분적 보수

- 불리한 자연조건이나 답압 등의 인위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침식 등이 확대되는 지역에 대한 보수 자연동화형 - 안정성확보 및 보전상의 관리가 필요한 지역에 대해 주변지역과의 일치성을 목표로 함

- 지형 및 식생에 대한 복원을 실시하고 재훼손에 대한 방지책 마련 탐방

보전 및 복구형 - 자연과의 접촉을 위한 목적으로 정비할 구간에 적용

- 풀베기, 노면정비, 배수처리, 흙막이, 구곡침식 구간에 대한 정비를 수행 자연융합형 - 이용강도가 높고 침식이 발생하는 지역에 적용

- 자연소재를 활용함을 원칙으로 정비 Table 6. The suggestion of management plans for each degree of risk.

재해위험도

관리방안 고려요소 대안노선비 교 인공시설물

투 입 자연재료

활 용 배수시설

설 치 유지관리 편 의 성

1등급 ● ● ● ● ●

2등급 △ ○ ● ● ●

3등급 × △ ○ ● ●

4등급 × × △ ○ ●

● : 적극고려, ○ : 고려, △ : 보통, × : 고려하지 않음

(6)

32 국립공원연구지 제 9 권 제 1 호 (2018)

Korea Forest Service (2017). Implementation plan for field of landslides in South Korea. 390pp.

Kwon HJ, Woo CS, Kim DY, Lee CW, Youn HJ, Park SJ. (2015).

GIS-base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tial Factors Causing Landslides in Mountainous National Pa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5): 89-96.

Ma HS, Jeong WO. (2007). Analysis of landslides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onal park.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6(6):

611-619.

Ma HS, Jeong WO, Park JW. (2008).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of landslide hazard area in korea national park.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97(3): 326-331.

Ma HS, Jeong WO. (2010).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flow disaster in korea national park.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4): 52-64.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7). Study on prevention countermeasures for mountainous

disaster in national park by rainfall. 469pp.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Investigation for landslide prone-area around trail in national park. 271pp.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5). Study on status and management for landslide prone- area in national parks. 187pp.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7). Precision status analysis and monitoring for landslide prone-area in national parks. 170pp.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7). Investig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Unmumsan country park. 328pp.

(2018년 2월 15일접수; 2018년 3월 8일수정; 2018년 4월 26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세부 이행 과제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탐방문화 정착 탐방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한 자연공원 보전ㆍ관리 체계 개선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정책 활용 강화 선제적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실용 연구 국립공원 마을 전통문화 지수 개발 국립공원 우수 해안 및 해양경관자원 발굴 빅데이터 기반 공원정책 및 관리방안 수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