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십각류 종목록
정지범1
⋅
황희승2⋅
이다민1⋅
김희수3⋅
정진협4⋅
정종우5*1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2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연구소, 3극지연구소 생명과학연구본부,
4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의료IT 기반 RNA 융합연구센터, 5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Decapoda species list in the intertidal zon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Jibom Jung
1, Hee-seung Hwang
2, Damin Lee
1, Heesoo Kim
3, Jin-Hyeop Jeong
4and Jongwoo Jung
5*1Division of Eco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Eco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3Division of Life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4Medical IT based RNA Research Center, Soonchunhyang Institute of Medi-Bio Science, Asan 31538, Korea 5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요약: 본 논문은 국내 해양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한려해상국립공원의 2019~2020년 절지동물(십각류) 동물상 조사 결과에 대한 종 목록 및 특이사항을 제시하였다. 통영, 거제, 사천, 남해, 여수의 20곳에서 총 24과 39속 57종의 십각류를 발견하였다. 해당 종들의 조사지역별 서식 여부는 기질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2과 3속 8종 35개체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 였고 이 중 2종은 신종 후보종, 6종은 미기록종으로 간주되며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의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해당 분류군의 국내 다양성 현황 을 확인해야 한다.
주요어: 한려해상국립공원, 십각류, 종목록, 기생성 만각류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species list and remarks on the results of the 2019-2020 decapod fauna survey conduct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 report of Korean marine biodiversity. A total of 57 species, 39 genera, and 24 families of decapods were found in 20 locations of Tongyeong, Geoje, Sacheon, Namhae, and Yeosu. The species composition in each survey area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study, the presence of 35 rhizocephalans (decapod parasitic barnacles) of 8 species, 3 genera, and 2 families in Korea was found. Among them, 2 species are considered new species candidates, and 6 species are considered unreported species. The biodiversity of rhizocephalans in Korea should be con- firmed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these areas.
Key word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Decapoda, Species list, Parasitic barnacle
서론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자연생태계와
자연, 문화 경관의 보전을 전제로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환경부장관이 지정,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보호지역”으로 국내 생물종의45%
및 멸종 위기종 65%가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현재
22곳이 지정
및 관리 중이다(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이중
3개의 해상,
해안형 국립공원에 속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은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부터 경상남도 사천시, 남 해군, 통영군 및 거제시 해금강 지구까지 지정되어 있고 전체면적은
535.676 km
2로 76%가 해상 면적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환경 보 존 정도가 우수하여 최근 남해군 지역에서 멸종위기종2급으로 지정된
십각류인 갯게와 흰발농게의 공동 서식처가 발견된 바 있다(Bae, 2017).
Received 6 April 2021; Revised 25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정종우(Jongwoo Jung) E-mail. [email protected]
십각류는 성체시기에 가슴다리를 10개 가진 진화적으 로 고등한 갑각류로 해양의 우점 무척추동물 중 하나이 고
1만2천여 종이 보고되어 있다(Appeltans et al., 2012).
해당 분류군은 여과섭식, 육식, 초식 등 다양한 섭식형태 를 가지고 다수의 부유성 유생을 통해 해양 생물다양성 에 큰 영향을 미치며(Brusca and Brusca, 1990) 고급 식 자재 및 의약품 등으로 생물자원으로의 활용 가치 또한 높다. 한편, 국내에 보고된 970여 종의 십각류는 대부분 이 기수와 해수에 서식하고(NIBR, 2019) 쏙, 칠게와 같이 갯벌에 구멍을 파고 자생하는 종은 갯벌의 산소 순환을 도와 생태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양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십각류의 정확한 종목 록을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
국립공원공단에서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을 파악하고자 십각류를 포함한 생물상 조사를 주기적 으로 수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후 해당지역의 생물 다양성 파악에 도움이 되고자
2019년과 2020년에 걸쳐
수행한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정확한 십각류 종목 록을 제시할 것이고 해당 과정 중 발견된 특이사항에 관 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재료 및 방법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십각류 서식현황을 확인하기 위 해 2019년 7~10월과
2020년 5~9월에
걸쳐 총 20정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Table 1). 경성 기질 조사는 표면 근처의 개체를 핀셋으로 잡거나 잘피를 뜰채로 걸 러서 잡았고 연성 기질 조사는 삽으로 십각류의 서식처 를30
㎖ 파서 근처에 있는 십각류를 확보하였다. 각 정 점별로 상부, 중부, 하부 조간대3곳 총 9곳에서
십각류 를 정량조사하였고 정성조사를 추가 수행하여 정량조사 로 확인되지 않은 종들의 존재를 확인하려 하였다. 확보 한 십각류는 50~250 ㎖ 플라스틱 관병에 넣어 현장에서95%
알코올로 고정하고 장소가 기입된 라벨을 동봉하 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실험실로 운반된 표본들은 형태적으로 분류하고 해부 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으로 갑각과 부속지의 주요 형질을 면밀히 관찰하여 동정하였다. 십각류(deca-
pods)
동정에는 새우류(macrurans)는 Kim (1977)를, 집게 류(anomurans)와 게류(brachyurans)는 Kim (1973)를 주 로 참고하였다. 동정한 표본들은 각 분류군별 동정 문헌 에 따라 상위 계통을 분류하였으며, 각 종의 한국명과 분류체계는 주로NIBR (2019)의 종
목록집을 따랐다.Fig. 1. Map of investigation sites in this study. Red letters: investigation sites in 2019, purple letters: investigation sites in 2020.
결과 및 고찰
20개 조사지역에서 총 24과 39속 57종의
십각류를발견하였다. 확인된 종들 가운데 참게과(Varunidae)가
10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나타냈고, 딱총새우과(Alpheidae)가 8종,
집게과(Paguridea), 부채게과(Xanthidae), 콩게과(Dotillidae)가4종으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해당 종들의 조사지역별 서식여부는 조사지의 기질 종류, 즉 연성 혹은 경성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졌다. HYT-1,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Order Decapoda Latreille, 1803 십각목
Family Penaeidae Rafinesque, 1815 보리새우과 1. Penaeidae sp. 1
Family Palaemonidae Rafinesque, 1815 징거미새우과 2. Palaemon orientis Holthuis, 1950 흰새우 3. Palaemon serrifer (Stimpson, 1860) 줄새우아재비 4. Palaemonidae sp. 1
Family Alpheidae Rafinesque, 1815 딱총새우과 5. Alpheus brevicristatus De Haan, 1844 딱총새우 6. Alpheus bisincisus De Haan, 1849 홈발딱총새우 7. Alpheus japonicus Miers, 1879 긴발딱총새우 8. Alpheus lobidens De Haan, 1849 갯가딱총새우 9. Alpheus sp. 1
10. Alpheus sp. 2
11. Betaeus granulimanus Yokoya, 1927 옴발딱총새우 12. Stenalpheops anacanthus Miya, 1997 예쁜이딱총새우 Family Thoridae Kingsley, 1879 토르꼬마새우과
13. Eualus sinensis (Yu, 1931) 갯가꼬마새우 Family Crangonidae Haworth, 1825 자주새우과 14. Crangon affinis De Haan, 1849 자주새우 Family Laomediidae Borradaile, 1903 가재붙이과
15. Laomedia astacina De Haan, 1841 가재붙이 Family Upogebiidae Borradaile, 1903 쏙과
16. Upogebia major (De Haan, 1841) 쏙 Family Callianassidae Dana, 1852 쏙붙이과
17. Neotrypaea japonica (Ortmann, 1891) 쏙붙이 Family Porcellanidae Haworth, 1825 게붙이과
18. Pachycheles stevensii Stimpson, 1858 게붙이 19. Petrolisthes japonicus (De Haan, 1849) 갯가게붙이 Family Hapalogastridae Brandt, 1850 어리게과
20. Hapalogaster dentata (De Haan, 184) 가시투성어리게 21. Oedignathus inermis (Stimpson, 1860) 두드러기어리게 Family Diogenidae Ortmann, 1892 넓적왼손집게과
22. Paguristes ortmanni Miyake, 1978 털보긴눈집게 Family Paguridae Latreille, 1802 집게과
23. Pagurus filholi (De Man, 1887) 참집게
24. Pagurus lanuginosus De Haan, 1849 털다리참집게 25. Pagurus minutus Hess, 1865 긴발가락참집게 26. Pagurus nigrofascia Komai, 1996 검은참집게 Family Hymenosomatidae MacLeay, 1838 말랑게과
27. Trigonoplax sp. 1
Family Leucosiidae Samouelle, 1819 밤게과 28. Pyrhila pisum (De Haan, 1841) 밤게 Family Epialtidae MacLeay, 1838 뿔물맞이게과
29. Pugettia intermedia Sakai, 1938 중간뿔물맞이게 Family Portunidae Rafinesque, 1815 꽃게과
30.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두점박이민꽃게 31. Charybdis sp. 1
Table 1. Species list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n this study
Family Pilumnidae Samouelle, 1819 애기털보부채게과
32. Pilumnopeus makianus (Rathbun, 1931) 두드러기네톱니부채게 33. Pilumnus minutus De Haan, 1835 애기털보부채게 Family Xanthidae MacLeay, 1838 부채게과
34. Leptodius affinis (De Haan, 1835) 부채게
35. Macromedaeus distinguendus (De Haan, 1835) 꽃부채게 36. Medaeops granulosus (Haswell, 1882) 두드러기부채게 37. Microcassiope orientalis Takeda & Miyake, 1969 작은꽃부채게 Family Grapsidae MacLeay, 1838 바위게과
38. Pachygrapsus crassipes Randall, 1840 바위게 Family Sesarmidae Dana, 1851 사각게과
39. Parasesarma pictum (De Haan, 1835) 사각게 Family Varunidae H. Milne-Edwards, 1853 참게과
40.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1858 애기비단게 41. Eriocheir japonica (De Man, 1835) 동남참게 42. Gaetice depressus (De Haan, 1833) 납작게
43. Helicana japonica (Sakai & Yatsuzuka, 1980) 수동방게 44.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갈게
45. Hemigrapsus penicillatus (De Haan, 1835) 풀게 46. Hemigrapsus sanguineus (De Haan, 1835) 무늬발게 47. Hemigrapsus takanoi Asakura & Watanabe, 2005 털다발풀게 48. Hemigrapsus sinensis Rathbun, 1931 털보꼬마풀게 49. Sestrostoma balssi (Shen, 1932) 큰애기비단게 Family Camptandriidae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과
50. Camptandrium sexdentatum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 51. Deiratonotus cristatum (De Man, 1895) 무당게
Family Dotillidae Stimpson, 1858 콩게과 52. Ilyoplax dentimerosa Shen, 1932 털콩게 53. Ilyoplax pingi Shen, 1932 펄털콩게 54. Ilyoplax pusilla (De Haan, 1835) 넓적콩게 55. Scopimera globosa (De Haan, 1835) 엽낭게 Family Macrophthalmidae Dana, 1851 칠게과
56. Macrophthalmus (Macrophthalmus) abbreviatus Manning &
Holthuis, 1981 길게
57.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an, 1835) 칠게 Table 1. Continued
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 Penaeidae sp. 1 O
2. Palaemon orientis Holthuis, 1950 흰새우 O
3. Palaemon serrifer (Stimpson, 1860) 줄새우아재비 O O
4. Palaemonidae sp. 1 O
5. Alpheus brevicristatus De Haan, 1844 딱총새우 O O O
6. Alpheus bisincisus De Haan, 1849 홈발딱총새우 O O O
7. Alpheus japonicus Miers, 1879 긴발딱총새우 O O
8. Alpheus lobidens De Haan, 1849 갯가딱총새우 O
9. Alpheus sp. 1 O
10. Alpheus sp. 2 O
11. Betaeus granulimanus Yokoya, 1927 옴발딱총새우 O
12. Stenalpheops anacanthus Miya, 1997 예쁜이딱총새우 O O O O
13. Eualus sinensis (Yu, 1931) 갯가꼬마새우 O O O
14. Crangon affinis De Haan, 1849자주새우 O
15. Laomedia astacina De Haan, 1841가재붙이 O O O O O
16. Upogebia major (De Haan, 1841) 쏙 O O O O O O O O
17. Neotrypaea japonica (Ortmann, 1891) 쏙붙이 O O O O
18. Pachycheles stevensii Stimpson, 1858 게붙이 O
19. Petrolisthes japonicus (De Haan, 1849) 갯가게붙이 O O
20. Hapalogaster dentata (De H aan, 184) 가시투성어리게 O
21. Oedignathus inermis (Stimpson, 1860) 두드러기어리게 O
22. Paguristes ortmanni Miyake, 1978 털보긴눈집게 O O O
23. Pagurus filholi (De Man, 1887) 참집게 O
24. Pagurus lanuginosus De Haan, 1849 털다리참집게 O O O O O O O
25. Pagurus minutus H ess, 1865 긴발가락참집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26. Pagurus nigrofascia Komai, 1996 검은참집게 O O O
27. Trigonoplax sp. 1 O
28. Pyrhila pisum (De Haan, 1841) 밤게 O O
29. Pugettia intermedia Sakai, 1938 중간뿔물맞이게 O
30.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두점박이민꽃게 O
31. Charybdis sp. 1 O
32. Pilumnopeus makianus (Rathbun, 1931) 두드러기네톱니부채게 O
33. Pilumnus minutus De Haan, 1835 애기털보부채게 O
34. Leptodius affinis (De Haan, 1835) 부채게 O O O O O O
35. Macromedaeus distinguendus (De H aan, 1835) 꽃부채게 O O
36. Medaeops granulosus (Haswell, 1882) 두드러기부채게 O O
37. Microcassiope orientalis Takeda & Miyake, 1969 작은꽃부채게 O O
38. Pachygrapsus crassipes Randall, 1840 바위게 O
39. Parasesarma pictum (De H aan, 1835) 사각게 O O O O O O
40.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1858 애기비단게 O
41. Eriocheir japonica (De Man, 1835) 동남참게 O
42. Gaetice depressus (De Haan, 1833) 납작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43. Helicana japonica (Sakai & Yatsuzuka, 1980) 수동방게 O O
44.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갈게 O
45. Hemigrapsus penicillatus (De Haan, 1835) 풀게 O O O O O O O O O
46. Hemigrapsus sanguineus (De H aan, 1835) 무늬발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47. Hemigrapsus takanoi Asakura & Watanabe, 2005 털다발풀게 O O O O O O O O O O O
48. Hemigrapsus sinensis Rathbun, 1931 털보꼬마풀게 O O
Table 2. The existence of decapod species in each investigation sit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2, 4, 13~16은 연성에서 주로 보이는
딱총새우류, 가재붙 이, 쏙붙이, 쏙, 콩게류와 칠게류가 나타났다. 한편, 경성 에서 특이적으로 빈번히 나타난 종은 없었으나 연성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한편, 본 조사에서 2과 3속 8종
35개체의 막질 주머니
모양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infraclass Rhizocephala)를 발견하였고 이 중 2종은 신종후보종, 6종은 미기록종으로 여겨진다(Fig. 2, Table 3). 그 동안 기생성 만각류의 기생 Fig. 2. Externae of Parasacculina sp. 6 on the abdomen of Upogebia major. Blue arrow: mantle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 Parasacculina sp. 1 (new species candidate) O O O
2. Parasacculina sp. 2 (new species candidate) O
3. Parasacculina sp. 3 O
4. Parasacculina sp. 4 O
5. Parasacculina sp. 5 O O
6. Parasacculina sp. 6 O O
7. Polyascus sp. O O O O O
8. Sacculina sp. O O O O O O O
Table 3. The existence of rhizocephalan species in each investigation sit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49. Sestrostoma balssi (Shen, 1932) 큰애기비단게 O O O O
50. Camptandrium sexdentatum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 O O
51. Deiratonotus cristatum (De Man, 1895) 무당게 O
52. Ilyoplax dentimerosa Shen, 1932 털콩게 O
53. Ilyoplax pingi Shen, 1932 펄털콩게 O O
54. Ilyoplax pusilla (De H aan, 1835) 넓적콩게 O O O O
55. Scopimera globosa (De H aan, 1835) 엽낭게 O
56. Macrophthalmus (Macrophthalmus) abbreviatus Manning &
Holthuis, 1981 길게 O
57.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an, 1835) 칠게 O O O O
Table 2. Continued
이 보고되지 않던 꽃부채게(Macromedaeus distinguendus) 에는 신종후보종
2종이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
에도 중간뿔물맞이게(Pugettia intermedia)와 털다발풀 게(Hemigrapsus takanoi)도 새로운 숙주로 확인되었으며 쏙(Upogebia major), 바위게(Pachygrapsus crassipes), 납 작게(Gaetice depressus), 무늬발게(Hemigrapsus sangui-neus)에서도
각기 14개체 이하의 기생성 만각류가 발견되었다. 한국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는 Sacculina pinnother-
ae가 북한 원산에서 최초로 발표된 이후(Shiino, 1943)
집 게 기생성 만각류(family Peltogastridae and Peltogasterellidae, Høeg et al., 2019; Jung et al., 2019)
외에는 서식이 학술 적으로 보고된 적이 드물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더 많 은 십각류 표본들을 통해 해당 분류군의 국내 다양성 현 황에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참고문헌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II.
Vertebrates⋅Invertebrates⋅Protozoans.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Pp. 1-909.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Kim HS. 1973. Vol. 14. Anomura, Brachyura. Illustrated en- 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Korean). Pp.
1-694.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Kim HS. 1977. Vol. 19. Macrura.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Korean). Pp. 1-414.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Bae Gun-deuk. 2017. Endangered crab Chasmagnathus convexus prepares a new home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n). Aju Business Daily. https://www.ajunew s.com/view/20171119094629649
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http://www.knps.or.kr/porta l/main/contents.do?menuNo=8000342
Appeltans W, ST Ahyong, G Anderson, MV Angel, T Artois, N Bailly, R Bamber, A Barber, I Bartsch, A Berta, M Błazewicz-Paszkowycz, P Bock, G Boxshall, CB Boyko, SN Branda˜o, RA Bray, NL Bruce, SD Cairns, TY Chan, L Cheng, AG Collins, T Cribb, M Curini-Galletti, F Dahdouh-Guebas, PJF Davie, MN Dawson, O De Clerck, W Decock, S De Grave, NJ de Voogd, DP Domning, CC Emig, C Erse´us, W Eschmeyer, K Fauchald, DG Fautin, SW Feist, CHJM Fransen, H Furuya, O Garcia-Alvarez, S Gerken, D Gibson, A Gittenberger, S Gofas, L Go´ mez-Daglio, DP Gordon, MD Guiry, F Hernandez, BW Hoeksema, RR Hopcroft, D Jaume, P Kirk, N Koedam, S Koenemann, JB Kolb, RM Kristensen, A Kroh, G Lambert, DB Lazarus, R Lemaitre, M Longshaw, J Lowry, E Macpherson, LP Madin, C Mah, G Mapstone, PA McLaughlin, J Mees, K Meland, CG Messing, CE Mills, TN Molodtsova, R Mooi, B Neuhaus, PKL Ng, C Nielsen, J Norenburg, DM Opresko, M Osawa, G Paulay, W Perrin, JF Pilger, GCB Poore, P Pugh, GB Read, JD Reimer, M Rius, RM Rocha, JI Saiz-Salinas, V Scarabino, B Schierwater, A Schmidt-Rhaesa, KE Schnabel, M Schotte, P Schuchert, E Schwabe, H Segers, C Self-Sullivan, N Shenkar, V Siegel, W Sterrer , S Sto¨hr S, B Swalla, ML Tasker, EV Thu esen, T Timm, MA Todaro, X Tu ron, S Tyler, P Uetz, J van der Land, B Vanhoorne, LP van Ofwegen, RWM van Soest, J Vanaverbeke, G Walker-Smith, TC Walter, A Warren, GC Williams, SP Wilson, MJ Costello.
2012. The magnitude of global marine species diversity.
Current biology. 22(23): 2189-2202.
Brusca RC, GJ Brusca. 1990. Invertebrates (2nd edition). Pp.
1-936. Sinauer, New England.
Høeg JT, C Noever, DA Rees, KA Crandall, H Glenner. 2019.
A new molecular phylogeny-based taxonomy of parasitic barnacles (Crustacea: Cirripedia: Rhizocephal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90(2): 632-653.
Jung J, R Yoshida, W Kim. 2019. Diversity of parasitic pelto- gastrid barnacles (Crustacea: Cirripedia: Rhizocephala) on hermit crabs in Korea. Zoological Studies. 58: 33.
Shiino SM. 1943. Rhizocephala of Japan. The Journal of the Sigenkagaku Kenkyusyo. 1: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