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Ⅱ
Ⅲ
Ⅳ
Ⅴ
Ⅵ
Ⅶ
36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
여성권리보장법」
은「
북조선 남녀평등권에 대한 법령」, 「
사회주의 노동법」, 「
노동보호법」, 「
형법」, 「
형법부칙 일반범죄」, 「
가족법」
등 여 성 권리 및 보호에 관한 선행 법령들에 규정되어 있는 여성 권리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나아가 「여성권리보장법」은 여성들의 권익 보호와 권리 신장을 위한 제도 및 조치들을 보다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특히 여성권리보장을 위한 기본계획과 연차별 세부계획을 수립 및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기관,
기업소,
각급 지방인민위원회 근로단체,
법기관 등의 여성권리보장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선행 법령들에는 없는 규정들이다.
또한 여성 차별 금지를 명시하거나 여성 들의 특성 또는 편의에 부합하는 시설을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 를 들어 교육기관은 여학생의 육체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며 여성을 위한 해당 시설을 갖출 것,
보건기관은 여성을 위한 전문의료시설을 갖 출 것,
결혼,
임신,
산전·
산후 휴가,
젖 먹이는 기간 등을 이유로 여성을 직장에서 내보내지 말 것 등의 내용을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북한이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한 당사국으로서 여성차별철폐협약을 반영하여‘
여성’
을 권리의 주체로 설정하고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 한 독자적 입법을 한 점을「
여성권리보장법」
제정의 의의라고 볼 수 있다.
57 특히「
여성권리보장법」
에서는 사회정치적 권리,
교육·
문화·
보 건 분야,
치료 분야,
노동 분야,
결혼 및 가족 분야 등 여성의 평등한 권리 향유를 보다 구체화하는 등 법적으로 긍정적 조치를 취하고 있다.
(나) 임산부와 모자보건 정책
여성은 일반적으로 취약한 계층으로 규정되고 있지만 임산부
,
모유57_위의 책, pp. 13~14.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수유 산모가 보다 취약한 계층으로 구분되고 있다
.
북한은 사회주의헌법을 정비하면서 임산부와 모자보건 관련 조항들을 구체화하고 있다.
첫째,
산전·
산후 휴가를 보장하고 있다.
둘째,
아동을 둔 여성의 노동시간을 배려하고 있다. 셋째, 아동을 위한 보육 및 양육시설을 규정하고 있다.북한은 임산부를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법률을 정비하고 있다.
첫째
,
사회주의헌법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여성권리보장법」 (
제33
조), 「
사회주의노동법」(
제66
조), 「
노동보호법」(
제40
조), 「
어린이 보육교양법」(
제20
조)
등을 통해 정기휴가 및 보충휴가 이외에 산전60
일,
산후90
일간의 산전·
산후 휴가를 보장하고 있다.
58 둘째,
산전·
산후 휴 가에 해당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 야간노동을 금지(
사회주의노동법 제59
조)
시키고,
힘든 일을 금지(
어린이보육교양법 제20
조)
시키는 등 보호조치를 취하고 있다.
셋째, 「
인민보건법」(
제11
조), 「
어린이보육교 양법」(
제20
조)
등을 통해 임신한 여성에게 식량,
의료 등 다양한 혜택 을 주도록 규정하고 있다.「인민보건법」에서는 여성과 어린이들의 건
강보호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도록 규정하고 있다(
제11
조).
특히 해산 한 여성의 건강권을 보장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료로 해산을 지원하고 산후 건강을 보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넷째,
북한은 형사적인 측면에서도 임산부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두고 있다.
먼저 임산부에 대해서는 비록 범죄를 저질렀다고 하더라도‘
구류구속처분’
을 면제하고 있다(
형사소송법 제179
조).
그리고 임산부의 경우 형이 확정 되었다고 하더라도 형집행을 중지 또는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판결판 정집행법 제18
조).
북한은 유아를 키우는 여성에 대한 보호를 뒷받침하기 위해 다양한
58_관련 규정은 부록에 첨부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이다.
38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법률을 정비하고 있다
. 「
가족법」
에서는 어린이를 건전하게 양육하고 교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제6
조).
그리고「
어린이보육교양법」
에서는“
국가는 어린이를 가진 어머니 를 특별히 보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20조). 특히 여러 명의 어린 이를 키우는 어머니에 대해 특별한 혜택을 주고 있다.유아를 키우는 여성에 대해 노동 분야에서 특별한 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
첫째,
젖먹는 아이를 가진 여성에게 야간노동을 금지시키고(
사회 주의노동법 제59
조),
수유 시간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어린이보 육교양법 제20
조).
둘째,
다수의 어린이를 키우는 여성의 노동시간을 줄여주고 있다. 「
사회주의노동법」
에서는“3
명 이상의 어린이를 가진 여성노동자들의 하루 노동시간은6
시간”
으로 규정하고 있다(
제16
조).
(2) 임산부와 모자보건 실태
북한 내 영양실태에 대해서는 다양한 보고서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본 과제에서는 세계식량계획과 유엔아동기금이 북한 중앙통계국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CBS)
과 공동으로 실시한 영양실태조사를 통해 임산부와 모자보건 실태를 정리하기로 한다
.
표 Ⅲ-1 북한 영양실태 조사보고서조사년도 1998년 2000년 2002년 2004년 2009년 2012년 보고서
발간기관
EU, UNICEF,
WFP
CBS UNICEF,
WFP, CBS CBS CBS, UNICEF
UNICEF, WFP, WHO, CBS
첫째
,
여성·
어머니에 대한 비타민A
공급률 실태이다.
비타민A
공급률 은2000
년부터2004
년까지 전체 어머니의1/3
이하 수준을 유지하다가Ⅰ
Ⅱ
Ⅲ
Ⅳ
Ⅴ
Ⅵ
Ⅶ
2009
년에97.5%
로 급격하게 상승했다. 2000
년에는1
년 이내에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중 자녀가 태어난 지
8
주가 되기 전에 비타민A
를 공급받은 적이 있는 여성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조사대상1
천238
명 중20.2%가 비
타민A를 공급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도시-지방 간 비타
민A 공급률을 살펴보면 도시와 지방 간 공급률의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 나
,
도시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592009
년에는2
년 이내에 출산경험이 있는 여성 중 유아가8
주가 되기 전에 비타민A
를 공급받은 경험이 있는지 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854
명의 조사대상 중97.5%
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2000
년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공급률을 보여주고 있다.
602002
년에는2
세 미만 아동을 둔 여성2
천771
명을 대상으로 비타민A
공급 상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33.1%
가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 다.
그런데 평양은 비타민A
공급률이51.1%
로 전체 공급비율에 비하 여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612004
년에도2
세 미만 아동을 둔 여성2천10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평양(52.1%)과 함경북도
(26.4%)
의 격차에서 보여주듯이 지역별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있다
.
또한 도시(40.0%)
와 지방(23.3%)
간에도 공급률의 차이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62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평양과 도시 중심으로 우선 적으로 비타민A
가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59_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nstitute of Child Nutri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2005), p. 55.
60_CBS and UNICEF, “DPR Korea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9,”
(2010), pp. 68~69.
61_WFP, “Nutrition Assessment 2002 DPR Korea,” (2003), p. 35.
62_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nstitute of Child Nutri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p. 62.
40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둘째
,
여성의 빈혈 실태이다.
임신 중 빈혈은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 의 위험을 높이며,
신생아의 빈혈을 수반할 가능성이 크다. 12.0g/dL
을 기준으로 헤모글로빈 수치가 이보다 낮을 경우 빈혈로 보며,
헤모글 로빈 수치가9.0g/dL
미만이 되면 빈혈이 심각하다고 볼 수 있다.2002년에는 2세 미만 영유아를 둔 여성 608명을 대상으로 빈혈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임산부의33.6%
가 빈혈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 다.
특이할 점은 평안북도(21%)
와 황해남도(22%)
가 가장 낮은 빈혈 유병률을 보인 반면 함경남도(48.6%)
와 평양(46.5%)
이 가장 높은 유 병률을 보였다는 것이다.
63 평양은 대부분의 영양평가 결과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빈혈 유병률은 상당히 높게 나 타났는데,
조사결과만으로 원인을 알기는 어렵다.
2004
년에는 연령별,
교육수준별,
지역별,
도시-
지방별,
섭취 식품군 별로 빈혈 유병률을 조사했다.
조사결과 연령의 경우 나이가24
세 미 만이거나35
세 이상인 여성들의 빈혈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교육수준의 경우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들의 빈혈 유병률이 낮게 나타났다.64 지역별 빈혈 유병률 차이는 상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전체 평균 빈혈 유병률이34.7%
인데,
유병률이 가장 높은 평안남도는
61.3%,
함경남도와 평양은 약22%,
황해남도는 유병률이15.8%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4
년에는 비타민A
로 유발되는 야맹증의 유병률에 대한 조사도 실시되었다
. 2
천109
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 임신 중 야맹증에 걸렸던 비율은5.7%
로 나타났다.
또한 상완위(Mid-Upper-Arm Circumference: MUAC)
가 낮은 여63_WFP, “Nutrition Assessment 2002 DPR Korea,” p. 28.
64_Central Bureau of Statistics Institute of Child Nutriti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Survey Results,” p. 55.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성과 양강도
(6.6%)
에서 임신 중 야맹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652012
년에도 빈혈 유병률 조사를 실시했다.
그런데2012
년 조사의 경 우 이전 조사들과 달리 임신한 경우 11.0g/dL 이하, 임신하지 않은 경우
12.0g/dL
이하로 빈혈의 기준을 세분화하여15~49
세의 여성5
천843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66 조사결과,
전체 여성의 빈혈 유병률은31.2%
로2002
년, 2004
년에 비해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98
명이 임신한 상태였는데,
이들 중37.8%
가 빈혈이었으며,
임신하지 않은 여성5
천745
명의31.1%
가 빈혈이었다.
이러한 수치에 서 보듯이 임신한 여성의 빈혈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섭취 식 품의 다양성,
철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식품의 섭취와 빈혈의 연관관계 를 조사하였다.
672012
년 조사에서는6~59
개월 아동2
천773
명을 대 상으로 한 성별, 지역별, 연령별 빈혈 유병률에 대한 조사도 동시에 이루어졌다
.
조사결과, 6~59
개월 아동 중 헤모글로빈 수치가11.0g/dL
미만인 아동은 전체
28.7%
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빈혈 유병률의 경 우 여아보다 남아의 빈혈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유병률의 경우 평양23.9%,
강원도39.3%,
함경남도35.1%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유병률이6~11
개월45.4%, 12~23
개월47.9%, 24~35
개월22.9%, 36~47
개월19.1%, 48~59
개월15.1%
로 나타났다.
68셋째
,
산모에 대한 산전관리 실태이다. 2000
년에는 산전관리를‘
누 구’
의 도움을 받았는지, 2002
년, 2004
년에는 임산부가 산전관리를 받65_Ibid., p. 63.
66_WFP, UNICEF and WHO,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Nutrition Survey 2012, September 17th to October 17th 2012,” p. 51.
67_상관관계 분석이 없어서 관련성이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Ibid., pp. 60, 62.
68_Ibid., p.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