Ⅶ다. 장애인
1. 남한의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
Ⅰ
Ⅱ
Ⅲ
Ⅳ
Ⅴ
Ⅵ
Ⅶ
를 제외하고는 대상 집단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
본 연구의 주요 관점인 취약대상별 사업으로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것 도 현실이다.
이러한 제약점에도 불구하고,
취약계층별 사업방향과 추 진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아래에서는 남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북한 취약계층 사업을 분석하 기 위하여
, 2006
년과2007
년에 추진된 사업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대북민간협력협의회 산하의 사회복지-
일반구호 분야 사업 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161100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규모를 늘리는 것에 집중하게 되었다
.
이는 북한 사회 자체가 당국의 철저한 사회통제하에 놓여 있다는 전제하에 특정계층이나 집단에 대 한 집중적인 지원 자체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이라는 입장을 반영 한 것이다.사실상 남북협력기금이라는 재원을 운용하고 있는 정부 차원에서는 대북지원을 통해 남북 간 대화 및 교류를 제고하려는 노력을 병행할 수밖에 없었던 것도 현실이다
.
162 또한 정부 차원의 대북지원은 남북 관계 현실과 국민들의 여론을 반영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북한의 무력 도발 및 남북관계 경색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 사건으로 인한5·24
조치로 인해 전반적인 대북지원이 거 의 중단되는 상황도 초래되었다.
또한 북한의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 일 발사로 인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제재 상황도 전반적인 대북지 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163 남북 간 인도적 사안인 이산가 족 상봉 등을 계기로 한 대북지원 재개와 남북관계 경색으로 인한 지 원 중단이 되풀이되어왔다.
162_1998년 국민의 정부가 출범한 이후 정부는 북경 남북당국대표회담(4월 11~18일)
을 개최하여 직접지원을 논의하였으나, 이산가족문제와 비료지원 간 상호주의 문제 로 인해 결렬되었다. 1999년 당국 간 지원사업도 이산가족문제를 다루기 위한 ‘남북 차관급당국회담’에 대한 합의에 의해 이뤄졌다. 이후 정부는 정상회담, 장관급회담, 군사회담,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 각종 실무접촉 등 당국 간 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차원에서 지원을 실시하게 되었다. 따라서 정부 차원의 직접지원은 북한의 지원소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필요한 규모로 이루어지지 않고, 남북관계 진전 상황에 따라 긴급하게 지원규모와 방식이 결정되었다. 즉 대북 직접지원은 이산가족 상봉 및 면회소 설치 등 남북 간 인도주의사안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되었다.
163_원칙적으로 국제제재에 인도적 지원은 제외될 수 있으나, 대북지원 물품의 반출을 위해서는 우리 정부의 승인이 이루어져야 하며 논란의 여지가 될 만한 품목 반출이 어렵다는 점에서 대북지원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연도 지원
기구 사업번호 사업명 정부지원
액수
2001 WFP DPRK-
01-1/N01
취약계층 대상 긴급구호: Emergency assis- tance for vulnerable groups
(EMOP No.5959.02)
15,291,332
정부는 북한의 공동호소가 이루어진
1995
년 이후 세계식량계획,
유 엔아동기금,
세계보건기구 등 국제기구를 통해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대북지원을 추진하여 왔다. <
표Ⅳ-1>
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 정부는 북한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1년 세계식량계획을 통한 ‘취약 계층 긴급구호사업’을 추진하였다.
1641993년 이후 인구전수조사가 실시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여,
식량난으로 인한 북한인구상황 변화 등 북한에 대한 기본 자료로서 인구조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유엔인구기금(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UNFPA)
165 에2007
년부터2009
년까지414
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하고,
우리 측 전 문가가 조사문항 설계,
조사결과 분석 작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166 인 구조사 지원은 직접적으로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추진한 것은 아니 지만,
국제사회가 북한의 취약계층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정보를 수집 함으로써 사업계획 수립 및 평가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표 Ⅳ-1 국제기구를 통한 남한 정부의 북한 취약계층 지원
(단위: 달러)
164_2013년 현재 유엔 Reliefweb에 탑재된 대북지원사업에 대한 상세한 내역은 2000년
부터 2013년까지의 사업만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1990년대의 지원내역 들은 다루지 못하고 있다.
165_유엔인구기금은 북한 산과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하였다.
166_통일부, 뺷남북협력기금백서뺸, p. 81.
102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연도 지원
기구 사업번호 사업명 정부지원
액수
2003
UNICEF DPRK-
03/H01 필수의약품지원: Essential drugs 210,526 UNICEF DPRK-
03/H04A 예방접종: EPI on immunization 105,263
UNICEF DPRK- 03/H02
긴급영양지원: Emergency nutrition reha- bilitation, prevention of malnutrition & the control of micro-nutrient deficiencies
184,211
2004
UNICEF DPRK- 04/H03
긴급영양지원: Emergency nutrition reha- bilitation, prevention of malnutrition & the control of micro-nutrient deficiencies
538,995
UNICEF DPRK- 04/H02A
전염병: Expanded program on immuniza-
tion 109,999
UNICEF DPRK-
04/H01 필수의약품: Essential medicines 351,006
2006
UNICEF - 기초보건지원: Primary health: Framework
for multi-year assistance 4,700,000
WHO -
북한 영유아 지원: Improving women’s &
children’s health in DPRK-multi-year assis- tance
5,050,612
2007
UNICEF DPRK-
07/WS02 식수 및 위생: Water and sanitation 500,000 UNICEF DPRK-
07/H06
긴급영양지원: Emergency assistance to
respond to nutrition needs 500,000
WHO DPRK-
07/H05
수해지역 필수보건지원: Strengthen pro- vision of essential health services for the flood affected population
1,000,000
2008
UNICEF - 인도적 지원: Humanitarian assistance 4,076,346
WHO -
영유아 지원: Improve women’s & child- ren’s health in DPRK: Framework for 3 year assistance 2008~2010
10,270,000
2009 WHO -
영유아 지원: Improve women’s & child- ren’s health in DPRK: Framework for 3 year assistance 2008~2010
13,116,335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연도 지원
기구 사업번호 사업명 정부지원
액수
2012
UNICEF PRK-12/
H/51580/124
5세 이하 아동 및 산모영양관리: Manage- ment of malnutrition among women and children under 5
3,874,702
WHO PRK-12/
H/51571/122
모자보건사업: Emergency strengthening services, delivery for improving access of mothers and children to essential life saving interventions in DPRK
4,390,002
출처: UNOCHA, Financial Tracking System, “Countries-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http://fts.unocha.org/pageloader.aspx?page=emerg-emergency CountryDetails&cc=prk> 재정리(검색일: 2013.9.30). 2013년 지원결정액은 UN Financial Tracking System (FTS)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가. 임산부와 모자보건 (1) 정부
2003
년 정부는 가장 취약한 계층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라는 차원에 서 유엔아동기금을 통해 임산부에 대한 백신 및 면역의약품 지원과 임 산부에 대한 영양식지원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여성을 명확하게 북 한 내 취약계층으로 설정하게 된 것은2006
년「
영유아 지원계획」
수립 부터이다.
북한의 영유아 사망률이 심각하여 이를 줄이기 위해 모자보 건을 위한 건강관리시스템을 복구한다는 차원에서 산모관리를 지원하 기로 하였다.
이 사업은 미래의 성장동력을 출산할 산모 및 수유부98
만 명을 정책대상으로 설정하였다. 2세 이하 영유아의 어머니 전체 중55.8%가 저체중 상태, 33.6%가 빈혈상태이며 모성사망률(Maternal
Mortality Rate: MMR)
이10
만 명당70
명 정도로 우리보다3〜5
배높은 상황이라는 점이 심각하게 고려되었다
.
또한 의료시설 낙후 및 의 약품 부족 등으로 인해 산모에 대한 정기검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104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일시 주요 경과 부
문 상세내용
2004.12.
~2005.01.27.
* 북한 어린이 및 산모 영양지원 사업안 마련 및 제안
* 남북한 인구 및 건강수준 관련 대통령 보고
- 통일부 중심 대책 마련 지시
대통령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
2005.03.24. 통일부의 「북한 영유아 지원계획」 NSC보고
2006.03.28. * 세계보건기구와 북한 영유아 지원 2개년 사업 MOU체결
국 제
1차년도(2006) 1,068달러 2차년도(2007) 938만 달러를 북한 의료시설개선, 의료인력 역량개발 등을 위해 지원
* 6월 유엔아동기금(25억 달러 규모) 기금의결
2006.10.17.
~10.19.
* 영유아 사업 중간점검회의(북경) - 2006년 사업진행 평가 및
2007년 사업계획 검토 - 우리 정부와 세계보건기구
간 협력체계 구축 방안 민 간
참석 (총 14명)
- 세계보건기구 본부 3명, SEARO 1명, 세계보건기구 DPRK 4명, 북한 3명, 남한 3명(통일부 2명, 복지부 1명) 2007.02.28.
~03.03.
* 영유아 지원사업 전문가회의 (평양)
민 간
한다는 상황이 감안되었다
.
수혜대상에 대한1
차적인 접근이 가능한 의 료시설부터 산모·
수유모 건강관리, ‘
모자보건센터’
설립·
운영 등 사업 우선순위가 설정되었다.
시·
군단위 병원에 산모 건강진단을 위한 국내 중고 의료기자재 일부를 지원하고 왕진가방을 호담당의사에게 지급하 고자 하였다. 또한 산모 철분제 등을 음식의 일종이 아니라 치료제 일환 으로 산모에게 지원되도록 하였다.
표 Ⅳ-2 북한 영유아 사업 경과
Ⅰ
Ⅱ
Ⅲ
Ⅳ
Ⅴ
Ⅵ
Ⅶ
일시 주요 경과 부
문 상세내용
2007.05.19.
~05.25.
* 몽골 IMCI 회의- IMCI mission from South and North Korea
국 제
남북 전문가, 세계보건기구 전문가 참여
2007.08.13. * 영유아 지원사업 남북실무자 협상(개성)
민 간
* 영유아 지원사업 1차년도 사업 민
간 회령지역 영유아 사업-JTS
2007.08.29.
~09.01.
* 영유아 지원사업 남북실무자 협상(평양, 남포, 대안군)
민 간
남포산원-우리민족서로돕기, 남포어린이병원-어린이어깨동무 대안군 인민병원-한국복지재단 남포영양지원시설-굿네이버스 기타 1곳-월드비전
* 민화협-민간단체 간 협약서 작성 2007.09.08.
~09.15.
* 세계보건기구 영유아 사업 방북 모니터링(평양 등)
국 제
* 세계보건기구 본부/지역사무소 관계자 4명
* 병원설계 기술자문단 방북 민 간 2007.10.02.
~10.04. * 제2차 남북정상회담 * 주요 협력 사업으로 설정
2007.12.17. * 국제기구, 민간단체 합동 워크숍(서울)
국 제
* 세계보건기구, 유엔아동기금 및 국내 민간단체
2008.02.21. * 남포산원 건축 협의 민
간 * 남포시 건설사업단(산원, 어린이 병원, 대안군)이 함께 진행 2008.03.04.
~03.06.
* 세계보건기구 영유아 사업 협의(북경)
국 제 2008.02.25. 이명박정부 출범
민간단체를 통한 지원 중단 세계보건기구를 통한 지원 4차분 일부 금액 집행 중단 2008.07.11.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망
2010.02. * 남북한 관계자 회의(델리) 국 제 2010.03.25. 천안함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