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일반 국민들의 취약계층 인식

Ⅶ2. 국제기구에서의 취약계층

3. 일반 국민들의 취약계층 인식

남북 관계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에 대해서 남한 내에는 다양한 의견들이 있다. 대북 인도적 지원의 원칙적 필요성에 대해서는 상대적 으로 크게 이론이 없으나 그 범위 및 내용

,

구체적 방법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견해들이 존재한다

.

따라서 성공적인 대북 인도적 지원 을 통해 북한 취약계층의 인권을 실질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관 련 국내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고 충분한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을 통해 대북지원에 대한 일정한 내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

이러한 맥락에서

,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 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

)

리서치 앤 리서치에 의뢰해

2013

5

18

일 부터

23

일까지 제주를 제외한 전국 만

19

세 이상 성인남녀

1

천 명을

26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대상으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여론조사는

95%

신뢰수 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는

±3.1%

포인트이고

,

성별

,

연령별

,

지역별 로 할당표본추출

(Quota Sampling)

을 적용하였으며

,

구조화된 설문지 와 CATI(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시스템을 활용 한 전화면접조사 방법을 채택하였다.

아래에서는 여론조사 내용 중 본 장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북한의 취약계층 대상

’, ‘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상

북한 어린이 가운데 가장 불쌍한 대상

이란 질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소개한다

.

가. 북한의 취약계층 대상

먼저 일반 국민들이 생각하는 북한 내 취약계층에 대해 질문한 결과 아동을 중심으로 장애인

,

노인

,

여성 등 앞서 언급한

4

개 부류 모두에 서 골고루 약

70%

대 이상의 높은 인정 비율이 나왔다

.

귀하는 현재 북한에서 취약계층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는 대상은 누구라고 생각하십 니까? 취약계층에 해당된다고 생각되는 대상은 모두 골라주세요.

아동 82.9% > 장애인 72.4% ≒ 노인 71.6% ≒ 임산부를 포함한 여성 67.7%

그림 Ⅱ-1 북한의 취약계층 대상

(단위: %, N=1,000, 중복응답)

이는 북한의 전반적인 경제상황이 안 좋은 상황에서 통상적으로 취 약계층으로 분류된 집단 간에는 큰 구별 없이 그 취약성이 인정된다는 견해로 보인다

.

다만

,

상대적으로 언론 노출 빈도가 높은 아동에 대한 인정 비율이 약간 더 높은 것이 눈에 띄는데, 이는 인도적 견지에서 봐 도 타당한 결과로 보인다. 기타 응답으로는 하층, 20~30대, 저소득 계 층

,

청소년

,

일반 북한 주민

,

더 빈곤한 사람들 등이 있었다

.

나.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상

복수 응답이 가능했던

1

번 문항과 달리 인도적 지원의 우선 대상 한 가지를 묻는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2/3를 넘는 대다수의 응답자들 이 어린이를 선택하였다.

귀하는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상을 하나만 꼽으라면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어린이 71.5%

그림 Ⅱ-2 북한에서 인도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대상

(단위: %, N=1,000)

28 인도적 지원을 통한 북한 취약계층 인권 증진 방안 연구

어린이라는 단어가 아동과 유사한 개념이면서도 더 좁은 범위의 아 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까지 함께 고려하면

,

우리 국민들은 나이가 어린 아동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또한, 장애인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지 않게 나온 점도 주목할 만하다. 기타 응답으로는 국군포로, 북한 주민 전체, 북한의 취 약계층 등의 의견이 있었다

.

다. 북한 어린이 가운데 가장 불쌍한 대상

아동 내지 어린이 가운데서도 구체적인 지원의 우선 대상을 묻는 질 문에 과반수의 응답자들은 거리의 고아(꽃제비)를 선택하였다. 영유아 및 고아원 어린이에 대한 지원 필요성에도 많은 응답자들이 동의하였다.

귀하는 언론 등을 통하여 접한 북한의 현실을 감안할 때, 북한 어린이 가운데 가장 불쌍하다고 생각되는 대상은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거리의 고아(꽃제비) 55.3% > 영유아 26.7%

그림 Ⅱ-3 북한 어린이 가운데 가장 불쌍한 대상

(단위: %, N=1,000)

꽃제비에 대한 국제적 접근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두 번째로 높게 나온 영유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특히 주목된다

.

이는 실제로 여러 국제기구의 대북지원이 영유아에 집중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영유아를 북한 취약계층의 대표적 집단으로 상정하고 있 는 점과도 일맥상통한다. 기타 응답으로는 모두 다, 장애인 등의 의견 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