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中宮寺 弥勒菩薩半跏思惟像 D. 藤ノ木古墳

서 론

C. 中宮寺 弥勒菩薩半跏思惟像 D. 藤ノ木古墳

법륭사(法隆寺) 서쪽 근교에 있는

藤ノ木古墳은 1970년 후반에 발굴

시 횡혈식석실안에 석관이 발견되었는데 그 석관뒤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호화로운 말안장이 나왔는데 그 무늬가 구갑무늬모양으로 백제무령왕릉 에서 나온 유물의 모양과 비슷하다.

또한 금동제신발과 금관

,

동경이 나왔는데 이 금관은 천계, 인동초를 소재로 제작한 것으로 봐서는 당시 백제와 깊은 연관이 있는 신분으로 생 각된다.

Ⅲ.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 분포 및 관리 현황 103 현재 이 무덤의 치장자는 숭준천황(崇埈天皇)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도 굴을 한번도 당하지 않고 온전하게 보존된

6세기의 천황릉(天皇陵)에서

백제의 유물들이 가득 담은 채로 발견되었다

(라) 東大寺와 그 周辺 A. 東大寺

a. 大仏 b. 行基堂 c. 開山堂 d. 三月堂

동대사는 세계 최대의 목조대불전과 함께 좌상으로는 최대불상(16미

)이 안치되어 있는 곳이다.

신라 의상대사의 제자였던 심상대덕은 백제

양변스님의 초청으로 화엄불교를 강설하게 되고 이에 성무천황은

747년

부터 동대사(東大寺)를 짓기 시작했는데 당시 동대사(東大寺) 가람의 총 책임자는 고구려인 고려복신

(高麗 福信)이 맡았으며 대불의 주조는 백제

인 국중마려

(國中麻呂)가 그리고 대불전 건축은 신라인 저명부백세(猪明 部百世)가 만든 것이다.

금당내에 있는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은 화엄경의 설법에 의해서 불 교의 근본인 석가여래로부터 또 그 위의 전우주를 지배하는 부처로서 지 어진 것이다

.

그 부처를 위해서 나라 안의 구리를 모두 동원했고 연인원

51

만명이 동원돼서 10년만에 완성했으나 불상에 칠할 금이 없어 애를 타 고 있을 때 백제왕 경복이 이 소식을 듣고 일본 최초로 무쓰국(임지

-지

금의 아오모리)에서 금을 캐서 그가 황금 9백냥을 바쳐 겨우 불상에 금도 색을 했다고 한다

.

대불전(金堂)은 대불을 안치하는 건물로 높이가

50미터 되는 세계 최

대의 목조건물로서 지금의 모습은 에도

((江戶)시대때 복원된 것이다. (동

57미터,

남북 50미터 그리고 높이

49미터)

B. 正倉院과 所藏品

a. 紺瑠璃坏 b. 佐波理 c. 金銅剪子 d. 新羅琴 e. 黑․螺鈿鏡

f. 鵲尾形柄香炉 g. 高笠麻呂과

「天蓋莊嚴雲花形裁文」

정창원은 창건연대는 쇼무왕(聖武王)대인 덴뵤(天平) 연간(729~749)

104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에 대한 공동 연구와 관리

으로 추정되며 왕실의 유물창고이다. 쇼소인(正創院)은 세계에서 가장 큰

大佛이라고 일본인들이 자랑하는 금동좌불상이 있는 도다이지(東大寺)에

서 약 300m 거리에 있다. 지금은 모두 없어지고 1동만 남아 있다. 756년 쇼무왕이 죽자 왕비는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숟가락을 비롯한 칼․거 울

․무기 ․목칠공예품․

악기 등

600여 종의 애장품을 49제 (齋)에 맞춰

헌납하였다

.

가치 있는 미술․공예

․기록 ․생활 등 각 방면에 걸친 물품들이 소장

되어 있다. 8세기 나라시대부터 일본문화를 구체적으로 전하는 수많은 유 품과 한국

·중국·인도의 고대 유물에 이르기까지 9천여 점이 소장되어 있

어 일본이 세계 제일의 보고로 자랑하는 곳이다. 그 가운데는 구양 순(歐

陽詢)의 진적(眞蹟)

병풍, 왕희지(王羲之)․헌지

(獻之)

부자의 진적, 신 라민정(民政)문서 등도 있다.

또한 가위․유리잔․칼․사리기(舍利器) 등 외형

,

또는 새겨진 무늬만 으로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임을 알 수 있는 것들이 많고, 일본에서는 백 제금이라고도 하는 신라금과 금동가위, 신라먹, 신라종 등이 소장되어 있

. 752년 도다이지 대불 개안식에 참석한 신라의 사절이 기증한 문화재

들도 상당수 있다

.

일본 학자들은 이들 유물이 대륙으로부터 직접 또는 한국을 거쳐 들어 온 것이라고 하나 8세기 일본의 공예품 제작 능력, 재료의 생산 여부, 일 본의 조선(造船)․항해

(航海)

수준, 일본 사신(使臣)이 당에서 가져온 물 품

,

출토된 통일신라시대의 공예품과 비교해 볼 때 이들 유물이 당나라 제품이기보다는 통일신라의 제품일 가능성이 더 크다는 주장도 한다.

이곳에 소장된 총 667권 5책의 ‘쇼소인문서

가운데 ≪신라장적(新羅帳

籍)≫

으로 부르는 신라민정문서가 있는데, 755년경의 것으로 추정된다.

1950년대 일본 쇼소인 소장의 유물을 정리하다가 화엄경론(華嚴經論)의

(帙)

속에서 발견되었다. 신라 농촌사회의 구조와 토지제도 등을 연구 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Ⅲ.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 분포 및 관리 현황 105

(마) 百濟王神社

이 신사는 백제가 불상과 경전을 전해준 것을 기리기 위하여 서기 737 년에 백제왕사묘와 백제사를 세우고 백제왕을 제사하기 시작하였다. 서방

(西方寺)에 보전되어 있는〈

백제왕영사묘유래기

百濟王靈詞廟由來

記〉에 의하면 백제의 마지막왕인 의자왕의 직계 후손 남전(南典)이 병

에 걸려 죽자 이를 슬퍼한 세이무왕[聖武王]이 백제왕사묘(百濟王祀廟) 및 백제의 사찰올 주큐(中宮)에 건립하도록 명하여 백제왕씨족의 선조 영

(靈)을 그곳에다 안치하게 하였다고 한다.

이것으로 미루어 이 신사는 이

곳에서 정착하여 살았던 백제의 귀족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이곳은 의자왕의 아들이라고 전해지는 선광(善光)의 증손 인 경복(敬福)이 백제에서 이주하여 살던 난바[難波]에서 그의 씨족을 이 끌고 다시 옮겨 살았던 지역이다. 이들은 이곳에 백제사

(百濟寺)도 건립

하였다.

(바) 藥師寺

약사사는 삼국을 통일하고 발해와 함께 남북국시대를 이루었던 후기신 라시대의 문화가 일본에 전해진 하쿠호문화(白鳳文化)의 정수로

慶州의 四天王寺

와 같이 雙木塔을 가지고 있다. 약사사는 680년, 천무천황이 황 후의 병이 완쾌되기를 염원하면서 건립했다고도 전해지고 있다. 불교문화 를 대표하는 사원이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상륜부가 하나는 금으로 다른 하나는 은으로 이루어져있다

.

(사) 高安山城跡

44

지금으로부터 약 1300년 전, 唐과 동맹을 맺어

百濟를 멸망시키려 한

신라에 干涉戰에서 완패한 일본이, 그 반공을 두려워하여 방비하기 위해, 신라와 대항관계에 있던 백제인 망명기술자의 협력을 받아, 대마

,

북구주,

44박종명, 步いて知る朝鮮と日本の歷史 (滋賀, 奈良, 京都, 九州 편, 明石書 店) 및 백제문화연구회(www.paekche.or.kr/) 참조.

106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에 대한 공동 연구와 관리

중국

,

사국, 그리고 고안성 등

20여개의 조선식 산성을 쌓았다.

백제도래 축성기술자가 조선식산성 구축을 직접 담당하였다

.

高安城

667年

에 쌓았다는 것은

判然하지만, 築城者의 이름은 기록

이 없다. 또한 高安山城築城記錄은 있지만, 그 소재의 정확한 위치, 실태 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표 Ⅲ-5> 日本 古代 山城 一覽

區分 名稱 所在地 國名

文 獻 古 代山 城

1 雷 山 福岡県 糸島郡 前原町 筑前

2 鹿 毛 馬 福岡県 嘉穗郡 頴田町 筑前

3 把 木 福岡県 朝倉町 把木町 筑前

4 高 良 山 福岡県 久留米市 御井町 筑後

5 女 山 福岡県 山門郡 瀬高町 筑後

6 御所ケ谷 福岡県 行橋市 豊前

7 帶 隈 山 佐賀県 佐賀市 久保泉 肥前

8 おつぼ山 佐賀県 武雄市 橘町 肥前

9 石 城 山 山口県 熊毛郡 大和町 周防

10 永 納 山 愛媛県 東予市 伊予

11 城 山 香川県 坂出市西庄町 他 讚岐

12 鬼 ノ 城 岡山県 總社市奧坂 肥中

13 大廻․小廻 岡山県 岡山市草ヵ部 肥前

14 (仮) 安芸城 広島県 豊田郡 安芸津町 安芸

文獻 古代 山城

1 金田城 長崎県 下県郡 美津島町 黑瀬城山 対馬 2 ◆土城 福岡県 糸島郡 前原町 高祖山 筑前

3 大野城 福岡県 大野城市 他 筑前

4 水 城 福岡県 筑紫郡 太宰府町 他 筑前

5 基肄城 佐賀県 三養基郡基山町 肥前

6 鞠智城 熊本県 鹿本郡 菊鹿町 肥後

7 長門城 山口県 下関市 周辺 ? 長門

8 常 城 広島県 芦品郡 新市町常 肥後

9 茨 城 広島県 福山市 藏王町 ? 肥後

10 屋嵨城 香川県 高松市 屋島 讚岐

11 高安城 大阪県 八尾市 高安城 他 河內

Ⅲ.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 분포 및 관리 현황 107

<그림 Ⅲ-2>

일본고대산성 분포

(4) 京都

지역

교토의 역사는 794년 나라에서 이곳으로 수도를 옮겨오면서 시작되었

. 9세기에 들어서며 신라,

당과 교역이 이루어졌고, 도시의 구획정리가

시작되었다

.

그리고 이즈음부터 유명한 사찰들이 다시 지어지기 시작하였

. 10~11

세기에 귀족문화가 탄생하면서 화려한 문화의 꽃을 피우기 시

작했는데, 이 기간을 헤이안(平安) 시대로 분류한다. 불교가 번성하여 곳 곳에 절이 세워졌고, 학자도 많이 배출되었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 이르러 가마쿠라

(鎌倉)에 쇼군 정부가 세워지고

교토에는 미나모토 장군의 세력이 확장되었다. 특히 무로마치와 아즈치모 모야마 시대 초기에 이르러 더욱 발전을 보였는데

,

이 시기에 그 유명한 금각사, 은각사가 세워겼다. 또 다양한 수공예품과 예술품들이 생산되기 도 했다

.

(가) 京都博物館

45

교토국립박물관은 도쿄

,

나라 국립박물관과 함께 일본

3대 박물관이다.

45京都國立博物館(www.kyohaku.go.jp/indexe.htm) 데이터베이스 참조.

108 동북아 공동의 문화유산에 대한 공동 연구와 관리

1897년에 ‘제국교토박물관’이란 이름으로 개관한 이 박물관은 이후 ‘교토

황실박물관

’, ‘은사교토박물관’이란 이름을 거쳐 1952년에 현재의 이름으

로 불려지고 있다

.

르네상스식 벽돌건물인 본관을 비롯하여 신관의 두 개 의 진열관이 있으며 본관건물은 주로 특별전의 전시관으로 사용된다. 일 본미술품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미술품, 역사적 유물, 공예품 등을 전시 하며

,

특히 빨간 벽돌 정문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표 Ⅲ-6> 京都國立博物館 所藏 目錄

作品名 國名 世紀

1 有柄式磨製石剣 國銅器

2 瓦質土器 甕 原三國

3 双耳壺 三國 3~5世紀

4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5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6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7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8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9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10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11 軒丸瓦 高句麗 2~3世紀

12 新羅土器 高杯 統一新羅 5~6世紀

13 銅造如来立像 統一新羅 8世紀

14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15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16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17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18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19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20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21 軒丸瓦 統一新羅 2~3世紀

22 施釉土器 長頸壷 統一新羅~高麗 5~6世紀

23 新羅 高麗土器 扁平壷 統一新羅~高麗 5~6世紀